분류 전체보기 1990

화엄학의 실천행에 대한 논평 - 정순일(원광대).

2006/02/24 오 전 12:31 [화엄학의 실천행]에 대한 논평] 정 순 일(원광대 원불교학과 교수) Ⅰ 깨달음과 자비의 실천이라는 두 가지 테마는 불교를 지탱해 온 軌轍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화엄도 이 두 가지의 길 위에 존재하는 것이라 할 때 화엄학의 실천행은 충분히 논의되어야 할 대상이라고 본다. 그러..

澄觀의 海印三昧觀 대하여 - 서정엄.hwp

2006/02/22 오 전 1:46 ☆ 澄觀의 海印三昧觀 대하여 - 서정엄.hwp ☆ 澄觀의 海印三昧觀 대하여 - 서정엄.hwp   Ⅰ. 序言  Ⅱ. 大乘經典에서의 海印三昧의 위치   1. 海印의 어원적 고찰    2. 諸經典에 나타난 海印三昧의 의미   Ⅲ. 『華嚴經』에 나타난 海印三昧   Ⅳ. 화엄교학자들이 파악한 海印三..

내가 본 선재의 깨달음과 수행 - 해주 스님/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2006/01/15 오후 5:06 내가 본 선재의 깨달음과 수행 해주 스님/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승가대학에서 경을 배우거나 배운 학인스님들에게 수행의 모델이 되는 분으로 화엄경의 선재동자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수행의 길목에서 볼 때 더욱 그러하다. 선재는 중생계가 끝날 때까지 보현원행을 계속한..

★ 통일신라 화엄사상 及 기타 등등 ... 모음선 ★

2006/01/12 오 전 3:42 ★ 통일신라 화엄사상 及 기타 등등 ... 모음선 ★ http://www.yongkungsa.or.kr/ykboard/read.cgi?board=budd_BOARD&nnew=2&y_number=16 이름: 관리자 (dragon@yongkungsa.or.kr) 2002/8/31(토) 1)통일신라 화엄사상 1)통일신라 화엄사상 신라땅이 불보살의 상주설법도량으로서 연화장 불국정토라는 신라인들의 믿음과 ..

균여의 周側學(주측학) 1. 2. / 고 영 섭 - 백련 불교논집 : 제 9집

2006/01/12 오 전 3:30 ▲ 목차 위치 균여의 周側學(주측학) Framework of Zhou-Zhai in Kyunyeo -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의 틀 - / _백련 불교논집 : 제 9집_ 고 영 섭 (Ko Yeong-seop):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강사 mansan@unitel.co.kr 목 차 1. 인간과 세계를 보는 눈 1.1. 본성(性)과 표상(相)의 융회 1.2. 성스러움(聖)과 속스러움(俗)..

불교 華嚴의 修行觀 / 高 榮 燮 / / 청호불교논집 제1집(1997)

2006/01/12 오 전 3:18 http://www.koyoungseop.pe.kr/reboard/content.php3?id=112 불교 華嚴의 修行觀 高 榮 燮 / 2003/12/01 / 청호불교논집 제1집(1997) I. 화엄의 인간 이해 1. 發心하는 존재 2. 誓願하는 존재 II. 화엄의 수행관 1. 普賢의 願行 1) 菩薩道의 전개 2) 修行 階位 2. 華嚴 觀法 1) 三種法界觀과 理事無碍觀 2) 十重唯識..

◐ 朱子와 王陽明 및 丁若鏞의 大學說 小考 / 華嚴行 ◑

2006/01/06 오 전 3:38 ◐ 朱子와 王陽明 및 丁若鏞의 大學說 小考 / 華嚴行 ◑ 朱子와 王陽明 및 丁若鏞의 大學說 小考 (三綱領과 八條目을 중심으로) 2002년 6월 20일 - 華嚴行 小考 목 차 Ⅰ. 序論 Ⅱ. [大學]의 名稱解釋에 관한 3人의 比較 1. 朱子의 解釋 2. 王陽明의 解釋 ⑴ 朱子와 王陽明의 心學的 比較 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