馮承素(627 ~ 649)의 《王羲之 蘭亭集序》 摹本 횡권 전체 2007/12/29 오후 8:15 | 기타 관련자료 모음 王羲之蘭亭集序(馮承素摹本) 횡권 전체 중국싸이트 설명 http://www.dpm.org.cn/big5/phoweb/Relicpage/2/R895.htm 馮承素(627 ~ 649) 慕名而至香港藝術館欣賞國寶,那知售票處人頭湧湧,清明上河圖專館參觀時間每小時發售....結果是一干人等決定跑.. <♣ 문화의 향기 ♣>/♧ 문화와 예술 ♧ 2009.04.02
《蘭亭序》刻本 / 定武肥本、定武瘦本 《蘭亭序》刻本 中國 東方新聞報道 《蘭亭序》刻本 - 定武肥本、定武瘦本 東方網6月26日報道:王羲之書法《蘭亭敘》在唐代盛極一時,真跡是個謎,眾說紛 。 傳世的摹本有褚遂良、馮承素、歐陽詢三家墨跡,時下因有影印流傳,為現代學者所熟知。 在一千年前的宋代,延唐代舊制,對《蘭亭》亦.. <♣ 문화의 향기 ♣>/♧ 문화와 예술 ♧ 2009.04.02
虞世南 558∼638 우세남 (虞世南 558∼638) 虞世南《汝南公主墓志》 중국싸이트 http://www.artist.org.cn/artist/4/200509/23831.html 요약 중국 당나라 문인. 자는 백시. 웨저우 위야오현 출신. 설명 중국 당(唐)나라 문인. 자는 백시(伯施). 웨저우 위야오현[越州餘姚縣(월주여요현)] 출신. 어릴 때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옥편(玉篇)》.. <♣ 문화의 향기 ♣>/♧ 문화와 예술 ♧ 2009.04.02
★ 한국불교학회 논문자료실 ★ http://www.hanbulhak.or.kr/ http://hanbulhak.or.kr/image/menu_s4bg.jpg); BACKGROUND-REPEAT: repeat-x" vAlign=top width=165 rowSpan=3> 한국불교학회 소개/연락처 회 칙 임원진 회원명부 학회비/후원금 안내 학회비/후원금 납부현황 연 보 원고모집 안내 편집 및 심사규정 논문제출 게시판 학회앨범(사진/영상자료) 전체 글 보기/검색.. <♣ 학술자료 ♣>/학술논문자료 모음선 2009.04.02
★ 약쑥을 이용한 스팀미용 쉽게 하는 법 ★ ★ 약쑥을 이용한 스팀미용 쉽게 하는 법 ★ 1. 질그릇으로 된 큰싸이즈의 도자기주전자를 구입한다. (질그릇으로 된 그릇에 끓여야 약쑥의 약효가 더욱 발휘되기 때문이며, 쇠로된 그릇은 피하는 것이 좋다.) . 2. 국내에서 채취된 쑥뜸용 약쑥이나, 또는 강화약쑥을 구입한다. (시중에선 대부분 중국산.. <♣ 휴게실 ♣>/건강 2009.04.02
re: 천연비누를 만들기 http://kdaq.empas.com/qna/view.html?n=8005261&sq=%C3%B5%BF%AC%BA%F1%B4%A9%B8%B8%B5%E9%B1%E2 re: 천연비누를 만들기 08.04.08 16:29 안녕하세요. 루시다 천연비누와 천연화장품 입니다. 비누를 만들어 보신적이 없으신가봐요. 핸드메이드 비누는 크게 MP/CP/HP비누로 나눌 수 있는데요. MP비누의 경우 가장 손쉽게 만들 수 있고, 눈으.. <♣ 휴게실 ♣>/건강 2009.04.02
궁녀들의 피부관리 궁녀들의 피부관리 1. 수증기 쐬기 밥김이 솟아오를 때 얼굴을 데지 않을 정도로 가까이 대고 그 김을 쐬는 것인데요, 지금의 스킨케어실에서 하는 스팀타월과 같은 효과로 묵은 각질을 벗겨내는 것은 물론 곡물팩의 효과도 볼 수 있답니다. 2. 쌀뜨물 세수 쌀뜨물로 얼굴과 손을 씻는 것은 궁중뿐 아니.. <♣ 휴게실 ♣>/건강 2009.04.02
천연재료를 이용한 약탕목욕 http://kdaq.empas.com/knowhow/view.html?num=1208484&sq=%BE%E0%BE%A6%C0%C7+%C8%BF%B4%C9 천연재료를 이용한 약탕목욕 lovedksdustjq | 08.09.27 00:39 | 의견 0 |-->조회 9 -->목욕은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도 효과가 크다. 37~44℃의 뜨거운 물은 근육을 느슨하게 풀어주고 피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 32~36℃의 따뜻한 물.. <♣ 휴게실 ♣>/건강 2009.04.02
正祖御眞 국왕의 초상화인 어진(御眞)에서 '진(眞)'이란 터럭하나, 곰보자국 하나라도 완전하게 표현하려 했던 우리 초상화의 성격을 읽어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초상화는 정확성에 그 초점을 맞추었던 것이다. 또한 인물의 모습뿐만 아니라 그 사람만의 특징이나 성격을 정확 히 파악하여 화면에 담아야 했기 .. <♣ 문화의 향기 ♣>/♧ 문화와 예술 ♧ 2009.04.02
月田 張遇聖 화백 月田 張遇聖 화백 1912년생 1932~40 이당 김은호 사사 1941~44 선전 연속 4회 특선(총독상 1회, 창덕궁상 2회) 1944 선전 추천작가 1946~6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역임 1949~76 국전 초대작가, 심사위원 및 로마 국제 미전 참가 1950~94 개인전 16회(국내 7회, 국외 정부초청 등 9회) 1959 서울시 문화상 수상 19.. <♣ 문화의 향기 ♣>/♧ 문화와 예술 ♧ 2009.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