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사자성어) 사전 <우> http://deungdae.hihome.com/gosasungeo4-1.htm 한자성어-우 home back 가 나~다 마~바 사 아 우 자 차~타 파~하 愚 公 移 山 우공이산(愚公移山)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큰 일이라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의 비유. 어리석을 우 귀인 공 옮길 이 뫼 산 優 曇 華 우담화(優曇華) : 3천년에 한 번 .. <♣ 학술자료 ♣>/<사전모음> ▶ 불교학 * 한자 * 기타 2009.10.25
한자성어(사자성어) 사전 <아> http://deungdae.hihome.com/gosasungeo4.htm 한자성어-아 Home Back 가 나~다 마~바 사 아 우 자 차~타 파~하 我 歌 査 唱 아가사창(我歌査唱) : 내가 부를 노래를 사돈이 부름. 나에게 책망을 들어야 할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침 = 적반하장(賊反荷杖), 주객전도(主客顚倒) 나 아 노래 가 사돈 사 노래 창 兒 童 走 卒 아.. <♣ 학술자료 ♣>/<사전모음> ▶ 불교학 * 한자 * 기타 2009.10.25
한자성어(사자성어) 사전 <사> 한자성어-사 Home Back 가 나~다 마~바 사 아 우 자 차~타 파~하 蛇 蝎 視 사갈시(蛇蝎視) : 뱀과 전갈을 보듯, 남을 나쁘게 여겨 몹시 싫어함 뱀 사 전갈 갈 볼 시 四 苦 사고(四苦) : 사람의 네 가지 괴로움. 즉 生老病死(생노병사). 넉 사 괴로울 고 四 顧 無 親 사고무친(四顧無親) : 사방을 둘러보아도 아는 .. <♣ 학술자료 ♣>/<사전모음> ▶ 불교학 * 한자 * 기타 2009.10.25
한자성어(사자성어) 사전 <마~바> 한자성어-마~바 Home Back 가 나~다 마~바 사 아 우 자 차~타 파~하 麻 姑 搔 痒 마고소양(麻姑搔痒) : '마고'라는 손톱 긴 선녀가 가려운 데를 긁어 준다는 말로, 일이 뜻대로 됨을 비유 = 마고파양(麻姑爬痒) 삼 마 여자 고 긁을 소 종기 양 磨 斧 爲 針 마부위침(磨斧爲針)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 <♣ 학술자료 ♣>/<사전모음> ▶ 불교학 * 한자 * 기타 2009.10.25
한자성어(사자성어) 사전 <나~다> http://deungdae.hihome.com/gosasungeo1.htm 한자성어-나~다 Home Back 가 나~다 마~바 사 아 우 자 차~타 파~하 羅 雀 掘 鼠 나작굴서(羅雀掘鼠) : 그물로 참새를 잡고 땅을 파서 쥐를 잡는다는 뜻으로, 최악의 상태에 이르러 어찌할 방법이 없음을 비유. 그물 라 참새 작 팔 굴 쥐 서 落 膽 喪 魂 낙담상혼(落膽喪魂) : 몹.. <♣ 학술자료 ♣>/<사전모음> ▶ 불교학 * 한자 * 기타 2009.10.25
한자성어(사자성어) 사전 <가> http://deungdae.hihome.com/gosasungeo.htm 한자성어(사자성어)-가 Home Back 가 나~다 마~바 사 아 우 자 차~타 파~하 家 家 戶 戶 가가호호(家家戶戶) : 집집마다 집 가 집 가 집 호 집 호 家 給 人 足 가급인족(家給人足) : 집집마다 살림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의식(衣食)에 부족함이 없음 집 가 넉넉할 급 사람 인 넉넉.. <♣ 학술자료 ♣>/<사전모음> ▶ 불교학 * 한자 * 기타 2009.10.25
기초 時事 * 常用한자 http://deungdae.hihome.com/gichohanja.htm 기초 時事·常用한자 홈으로 이전으로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가관可觀 [가히 가, 볼 관] ①볼 만함 ② 꼴불견임. 가교架橋 [건너지를 가, 다리 교] 다리를 놓음. 가교假橋 [임시 가, 다리 교] 임시로 놓은 다리 가동稼動 [일할 가, 움직일 동] 사람이나 .. <♣ 학술자료 ♣>/한자 & 한문 공부방 2009.10.25
千字文(천자문) http://deungdae.hihome.com/chunjamun.htm 千字文(천자문) Home Back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많은 천자문을 참고하여 잘못된 점이나 미비한 곳을 개인적으로 약간의 수정을 하였습니다. 사자소학(四字小學) 명심보감(明心寶鑑) 天 地 玄 黃 天地玄黃(천지현황) : 하늘은 위에 있으니 그 빛이 검고 그윽하며, 땅은 아래 .. <♣ 학술자료 ♣>/한자 & 한문 공부방 2009.10.25
추구(推句) http://deungdae.hihome.com/chugu.htm 추구(推句) back home "推(추천할 추), 句(글귀 구)"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추구(推句)는 오언(五言)으로 된 훌륭한 시(詩) 구절로 이루어져 있어 자녀들이나 학생들의 정서 함양에 많은 도움을 주는 글이다. [추구 1] [추구 2] [추구 3] [추구 4] [추구 5] [추구 6] [추구 7] [추구 8.. <♣ 학술자료 ♣>/한자 & 한문 공부방 2009.10.25
사자소학(四字小學) http://deungdae.hihome.com/sajasohak.htm 사자소학(四字小學) Home Back 효행(孝行) 부부/형제(夫婦/兄弟) 사제(師弟) 붕우(朋友) 수신(修身) 천자문(千 字 文) 명심보감(明心寶鑑) 효행(孝行) 父 生 我 身 父生我身(부생아신)하시고 : 아버지는 내 몸을 낳으시고 아비 부 날 생 나 아 몸 신 母 鞠 吾 身 母鞠吾身(모국오.. <♣ 학술자료 ♣>/한자 & 한문 공부방 2009.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