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자료 ♣>/<사전모음> ▶ 불교학 * 한자 * 기타

한자성어(사자성어) 사전 <나~다>

화엄행 2009. 10. 25. 02:01

http://deungdae.hihome.com/gosasungeo1.htm

 

한자성어-나~다            Home  Back

    나~다   마~바              차~타   파~하

 나작굴서(羅雀掘鼠)
 : 그물로 참새를 잡고 땅을 파서 쥐를 잡는다는 뜻으로, 최악의 상태에 이르러 어찌할 방법이 없음을 비유.

그물 라

참새 작

팔 굴

쥐 서

 낙담상혼(落膽喪魂)
 : 몹시 놀라 정신이 없음

떨어질 락

쓸개 담

죽을 상

넋 혼

 낙락장송(落落長松)
 : 가지가 축축 늘어진 큰 소나무

떨어질 락

떨어질 락

길 장

소나무 송

 낙목한천(落木寒天)
 : 나뭇잎이 다 떨어진, 겨울의 춥고 쓸쓸한 풍경, 또는 그러한 계절.

떨어질 락

나무 목

찰 한

하늘 천

  낙미지액(落眉之厄)
 : 눈썹에 떨어진 재앙. 뜻밖의 다급한 재앙.

떨어질 락

눈썹 미

갈 지

재앙 액

 낙송자칭원(落訟者稱寃)
 : 송사(訟事=소송)에서 진 사람이 억울함을 중언부언하듯이 이치에 맞지 않는 변명을 늘어놓음.

떨어질 락

송사할 송

놈 자

일컬을 칭

원통할 원

 낙양지귀(洛陽紙貴)
 : 낙양의 종이 값을 올린다는 뜻. 진나라 左思(좌사)의 저서 <三都賦(삼도부)>가 낙양에서 호평을 받아 종이가 귀한 때에 책이 많이 팔리므로 그만큼 종이 값이 상승했다는 말 = 낙양지가(洛陽紙價)

강 이름 낙

볕 양

종이 지

귀할 귀

 낙장불입(落張不入)
 : 한번 내놓은 패는, 이를 물리기 위해 다시 집어들이지 못함.

떨어질 락

베풀 장

아닐 불

들 입

 낙정하석(落穽下石)
 : 함정에 빠진 자에게 밧줄을 건네주기는커녕 오히려 돌을 던짐. 남의 어려움에 다시 위해(危害)를 준다는 말.

떨어질 락

함정 정

아래 하

돌 석

 낙화유수(落花流水)
 : ①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 가는 봄의 정경(情景) 또는 쇠잔영락(衰殘零落)을 나타내는 말  ② 남녀간의 그리운 심정

떨어질 락

꽃 화

흐를 류

물 수

 난공불락(難攻不落)
 : 공격하기가 어려워 좀처럼 함락되지 않음

어려울 난

칠 공

아닐 불

떨어질 락

 난상공론(爛商公論)
 : 여러 사람이 모여 충분히 의논함

문드러질 란

헤아릴 상

공변될 공

말할 론

 난상토의(爛商討議)
 : 충분히 의견을 나누어 토의함

너무 익을 란

헤아릴 상

찾을 토

의논할 의

 난신적자(亂臣賊子)
 : 나라를 어지럽게 하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

어지러울 란

신하 신

도둑 적

아들 자

 난형난제(難兄難弟)
 :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인지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어느 것이 낫고 어느 것이 못하다고 할 수 없음 = 莫上莫下(막상막하), 伯仲之勢(백중지세), 互角之勢(호각지세), 優劣難分(우열난분), 大同小異(대동소이),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어려울 난

맏 형

어려울 난

아우 제

 남귤북지(南橘北枳)
 : 강남의 귤을 강북으로 옮기면 탱자로 변한다. 환경에 따라 선하게도 악하게도 된다는 뜻.

남녘 남

귤나무 귤

북녘 북

탱자나무 지

 남가일몽(南柯一夢)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 = 一場春夢(일장춘몽)

남녘 남

나뭇가지 가

한 일

꿈 몽

 남남북녀(南男北女)
 : 우리나라에서 남쪽에는 잘생긴 남자들이, 북쪽에는 예쁜 여자들이 많다는 말

남녘 남

사내 남

북녘 북

계집 녀

 남녀노소(男女老少)
 : 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 곧 모든 사람.

사내 남

계집 녀

늙을 로

적을 소

 남대문입납(南大門入納)
 : 겉봉에 주소도 이름도 없이 '남대문'이라고만 쓴 편지. 주소도 이름도 모르면서 집을 찾음.

남녘 남

큰 대

문 문

들 입

들일 납

 남부여대(男負女戴)
 : 남자는 짐을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나 재난을 당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것을 말함.

사내 남

질 부

계집 녀

일 대

 남선북마(南船北馬)
 : 옛날 중국에서 남쪽은 강이 많아 배를 이용하고, 북쪽은 산이 많아 말을 많이 이용했다는 말에서, 바쁘게 여기저기를 돌아다님.

남녘 남

배 선

북녘 북

말 마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 남아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 분량의(즉, 많은) 책을 읽어야 한다.

사내 남

아이 아

모름지기 수

읽을 독

다섯 오

수레 거

글 서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
 : 남자의 말 한마디는 천금처럼 무겁고 가치가 있다.

사내 남

아이 아

한 일

말씀 언

무거울 중

일천 천

황금 금

 남원북철(南轅北轍)
 : 수레의 긴 채는 남쪽으로 가고 바퀴는 북쪽으로 간다는 말로, 행동이 마음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가리킴.

남녘 남

끌채 원

북녘 북

바퀴 자국 철

 남전북답(南田北畓)
 : 밭은 남쪽에, 논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논밭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

남녘 남

밭 전

북녘 북

논 답

 남전생옥(藍田生玉)
 : 남전에서 옥이 나온다는 말. 남전은 서왕모가 산다는 옥산(玉山)을 뜻한다. 현명한 아버지가 재능 있는 아들을 낳은 것을 칭찬하는 뜻.

쪽 람

밭 전

날 생

옥 옥

 남정북벌(南征北伐)
 : 남쪽의 적을 치고, 연이어 북쪽의 적을 침. 여기저기서 전쟁을 치르느라고 편안한 날이 없음.

남녘 남

칠 정

북녘 북

칠 벌

 남좌여우(男左女右)
 : 음양설에서, 남자는 왼쪽을, 여자는 오른쪽을 소중히 여기는 일. 맥, 손금, 자리 같은 것도 남자는 왼쪽을, 여자는 오른쪽을 취함.

사내 남

왼 좌

계집 녀

오른 우

 남존여비(男尊女卑)
 : 사회적으로 남자를 높게 여기고 여자를 낮게 여기는 것

사내 남

높을 존

계집 녀

낮을 비

  납채(納采)
 : 장가들일 아들을 가진 집에서 색시가 될 집으로 혼인을 청하는 의례 = 納幣(납폐)

들일 납

캘 채

  납폐(納幣)
 :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일, 또는 그 예물.(보통 붉은 비단과 푸른 비단을 보냄)

들일 납

비단 폐

 낭중지추(囊中之錐)
 : 주머니 속에 든 송곳처럼 유능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자연히 그 존재가 드러나게 됨

주머니 낭

가운데 중

갈 지

송곳 추

 낭중취물(囊中取物)
 : 주머니 속의 물건을 꺼내는 것처럼 매우 쉬운 일

주머니 낭

가운데 중

취할 취

만물 물

 내명부(內命婦)
 : 조선 시대 궁중의 여관(女官)으로서 품계를 가졌던 사람. 빈(嬪), 귀인(貴人), 소의(昭儀), 숙의(淑儀), 소용(昭容), 숙용(淑容), 소원(昭媛), 숙원(淑媛) 등의 신분을 말함.

안 내

명할 명

아내 부

 내우외환(內憂外患)
 : 나라 안팎의 근심 걱정

안 내

근심 우

밖 외

근심 환

 내유외강(內柔外剛)
 : 겉으로는 강하게 보이나 속은 부드러움

안 내

부드러울 유

밖 외

굳셀 강

 내허외식(內虛外飾)
 : 속은 비고(내용은 없고) 겉치레만 번지르르함. '빈 수레가 요란하다'

안 내

빌 허

밖 외

꾸밀 식

 노갑이을(怒甲移乙)
 : 어떤 사람에게서 받은 노여움을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 가서 눈 흘긴다'

성낼 노

첫째 갑

옮길 이

아무개 을

 노기충천(怒氣沖天)
 : 화난 기색이 하늘을 찌를 것 같음. 잔뜩 성이 나 있음.

성낼 노

기운 기

날아오를 충

하늘 천

 노류장화(路柳墻花)
 : 아무나 쉽게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들과 울타리에 핀 꽃이라는 뜻으로 창녀(娼女)를 이르는 말.

길 로

버들 류

담 장

꽃 화

 노마지지(老馬之智)
: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으로, ① 노인들의 지혜와 경험이 소중하여 결코 무시할 수 없음. ② 아무리 쓸모 없이 생각되는 사람의 지혜라도 언젠가는 요긴할 때가 있음.

늙을 로

말 마

어조사 지

지혜 지

 노발대발(怒發大發)
 : 크게 성을 냄

성낼 노

낼 발

큰 대

낼 발

 노발충관(怒髮衝冠)
 : 심한 분노로 곤두선 머리털이 머리에 쓴 관을 치켜올린다는 말로 대단히 성이 난 모습을 이르는 말

성낼 노

터럭 발

찌를 충

갓 관

 노방잔읍(路傍殘邑)
 : 오고 가며 들르는 높은 벼슬아치들을 접대하느라고 피폐해진 작은 고을

길 로

곁 방

해칠 잔

고을 읍

 노변담화(爐邊談話)
 : 화롯가에서 서로 허물없이 주고받는 세상 이야기

화로 로

가 변

말씀 담

말할 화

 노생지몽(盧生之夢)
 : 인생은 한 바탕의 꿈과 같이 허무함 = 邯鄲之夢(한단지몽)

검을 로

날 생

갈 지

꿈 몽

 노소부정(老少不定)
 : 죽음에는 노소의 선후가 없음. 늙은이가 꼭 먼저 죽는 것만은 아님.

늙을 로

적을 소

아닐 불

정할 정

 노승발검(怒蠅拔劍)
 : 성가시게 구는 파리를 보고 칼을 뽑는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화를 내는 사람을 비웃는 말. →견문발검(見蚊拔劍)

성낼 노

파리 승

뺄 발

칼 검

 노심초사(勞心焦思)
 : 애를 쓰고 속을 태움. 몹시 마음을 졸이는 것

일할 로

마음 심

탈 초

생각할 사

 노안비슬(奴顔婢膝)
 : 남자 종의 아첨하는 얼굴, 여자 종의 무릎걸음. 노비와 같은 태도, 곧 남과의 사귐에서 지나치게 굽실거리는 비굴한 태도를 말함.

종 노

얼굴 안

여자종 비

무릎 슬

 노요지마력(路遼知馬力)
: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안다는 뜻으로, 벗도 오래 사귀어야 그 마음을 알 수 있다는 뜻.

길 로

멀 요

알 지

말 마

힘 력

  녹림(綠林)
 : 중국 후한(後漢) 말, 왕광, 왕봉 등이 녹림산(綠林山)을 근거로 도적이 되었다는 고사에서, 도둑의 소굴을 말함.

푸를 록

수풀 림

 녹림호걸(綠林豪傑)
 : 도둑 또는 산적을 가리키는 말

푸를 록

수풀 림

호걸 호

뛰어날 걸

 녹양방초(綠楊芳草)
 : 푸르게 우거진 버들과 향기로운 풀

푸를 록

버들 양

꽃다울 방

풀 초

 녹엽성음(綠葉成陰)
 : 초록빛 잎이 그늘을 만든다는 말로, 여자가 결혼하여 자녀가 많은 것을 비유

푸를 록

잎 엽

이룰 성

그늘 음

使

 녹의사자(綠衣使者)
 : 푸른 옷을 입은 사자라는 말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푸를 록

옷 의

하여금 사

놈 자

 녹의홍상(綠衣紅裳)
 : 연두 저고리에 다홍치마. 곱게 차려 입은 젊은 여인의 옷차림

푸를 록

옷 의

붉을 홍

치마 상

 논공행상(論功行賞)
 : 세운 공의 크고 작음을 논하여 상을 줌

말할 론

공 공

다닐 행

상줄 상

 농와지경(弄瓦之慶)
 : 딸을 낳은 경사 ↔ 弄璋之慶(농장지경)

노리개 롱

기와 와

갈 지

경사 경

 농장지경(弄璋之慶)
 : 아들을 낳은 경사 ↔ 弄瓦之慶(농와지경)

장난감 롱

반쪽 홀 장

갈 지

경사 경

 농조연운(籠鳥戀雲)
 : 갇힌 새가 구름을 그리워함. 속박을 당한 몸이 자유를 그리워하는 마음.

대그릇 롱

새 조

사모할 련

구름 운

 뇌성벽력(雷聲霹靂)
 : 우레(천둥) 소리와 벼락 = 雷霆霹靂(뇌정벽력)

우레 뢰

소리 성

벼락 벽

벼락 력

 누란지위(累卵之危)
 : 알을 쌓아 놓은 것과 같이 매우 위태함 = 累卵之勢(누란지세)

묶을 루

알 란

갈 지

위태할 위

 능견난사(能見難思)
 : 눈으로 볼 수는 있으나 보통 이치로는 아무리 생각해도 모를 일이라는 뜻.

능할 능

볼 견

어려울 난

생각할 사

 능곡지변(陵谷之變)
 : 언덕과 골짜기가 뒤바뀜. 세상일의 변천이 극심함.

언덕 릉

골짜기 곡

갈 지

변할 변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 곧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데 종이나 붓 따위의 재료 또는 도구를 가리는 사람이라면 서화(書畵)의 달인이라고 할 수 없다는 말.

능할 능

쓸 서

아닐 불

가릴 택

붓 필

 능소능대(能小能大)
 : 재주와 주변이 좋아 모든 일에 두루 능함. 남들과 사귀는 수단이 아주 능함.

능할 능

작을 소

능할 능

큰 대

 능지처참(陵遲處斬)
 : 대역(大逆) 죄인에게 내리는 극형으로 머리와 몸, 손과 발을 도막내서 죽임.

짓밟을 릉

더딜 지

처할 처

벨 참

 다기망양(多岐亡羊)
 : 달아난 양을 찾으려 하나 길이 여러 갈래여서 양을 잃어버림. 너무 방침이 많아 갈 바를 모름 = 亡羊之歎(망양지탄)

많을 다

갈림길 기

망할 망

양 양

 다다익선(多多益善)
 :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많을 다

많을 다

더할 익

좋을 선

 다문박식(多聞博識)
 : 견문이 넓고 학식이 많음

많을 다

들을 문

넓을 박

알 식

 다사다난(多事多難)
 : 여러 가지 일도 많고 어려움도 많음

많을 다

일 사

많을 다

어려울 난

 다사다망(多事多忙)
 : 일이 많아 몹시 바쁨

많을 다

일 사

많을 다

바쁠 망

 다재다병(多才多病)
 : 재주가 많은 사람은 흔히 몸이 약하고 잔병이 많음

많을 다

재주 재

많을 다

병 병

 다전선고(多錢善賈)
 : 밑천이 많은 사람이 장사도 잘한다는 말

많을 다

돈 전

좋을 선

장사 고

 다정불심(多情佛心)
 : 정이 많은, 자비로운 마음

많을 다

정 정

부처 불

마음 심

 단금지교(斷金之交)
 : 쇠를 자를 정도로 절친한 친구 사이를 말함 = 단금지계(斷金之契), 기리단금(其利斷金)

끊을 단

쇠 금

갈 지

사귈 교

 단기지계(斷機之戒)
 : 학문을 중도에 그만 두는 것은 짜고 있던 베를 칼로 자르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맹자 어머니의 훈계 = 孟母斷機(맹모단기)

끊을 단

틀 기

갈 지

경계할 계

 단도직입(單刀直入)
 : ① 혼자서 칼을 휘두르며 적진으로 곧장 쳐들어 감  ② 요점을 바로 말하여 들어감

홀로 단

칼 도

바로 직

들 입

 단사표음(簞食瓢飮)
 : 도시락밥과 표주박의 물. 변변치 못한 살림 또는 청빈한 생활을 말함.

도시락 단

먹일 사

표주박 표

마실 음

漿

 단사호장(簞食壺漿)
 : 도시락밥과 병에 담은 음료수. 간소한 음식을 마련하여 군대를 환영함.

도시락 단

먹일 사

병 호

음료 장

 단순호치(丹脣皓齒)
 : 붉은 입술과 하얀 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이르는 말.

붉을 단

입술 순

흴 호

이 치

 단장취의(斷章取義)
 : 남의 글 중에서 작가의 본뜻이나 전체의 뜻에 구애되지 않고 자기가 필요한 부분만을 끊어 내어 빌려 쓰는 일.

끊을 단

글 장

취할 취

뜻 의

 단표누항(簞瓢陋巷)
 : 도시락과 표주박과 누추한 거리. 소박한 시골 생활을 비유.

도시락 단

표주박 표

좁을 루

거리 항

 담대심소(膽大心小)
: 담력은 커야 하지만 마음을 쓰는데는 조심해야 한다는 말.

담력 담

큰 대

마음 심

작을 소

 담호호지, 담인인지(談虎虎至, 談人人至)
 : 자리에 없는 사람의 말을 하면 공교롭게도 그 사람이 옴.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

말씀 담

범 호

범 호

이를 지

말씀 담

사람 인

사람 인

이를 지

 당구풍월(堂狗風月)
 : 서당개가 풍월을 읊음. 무식한 자도 유식한 자와 같이 있으면 다소 유식해짐 또는 무슨 일을 오래 보거나 듣다 보면 자연히 할 줄 알게 된다는 뜻. 당구삼년 폐풍월(堂狗三年 吠風月:서당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집 당

개 구

바람 풍

달 월

 당랑거철(螳螂拒轍)
 : 사마귀가 앞발을 들어 수레에 맞섬. 제 분수도 모르고 강적에게 반항함 = 螳螂之斧(당랑지부)

사마귀 당

사마귀 랑

막을 거

바퀴 자국 철

 당랑박선(螳螂搏蟬)
 : 사마귀가 매미를 잡는다는 말로, 이익을 탐하여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지 않는 것을 뜻한다. = 당랑포선(螳螂捕蟬), 당랑재후(螳螂在後)

사마귀 당

사마귀 랑

잡을 박

매미 선

 당랑재후(螳螂在後)
 : 매미를 노리는 사마귀가 뒤에서 저를 노리는 참새가 있음을 알지 못한다는 말로, 욕심에 눈이 어두워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지 않는 것을 뜻한다 = 螳螂捕蟬(당랑포선)

사마귀 당

사마귀 랑

있을 재

뒤 후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의 이름 높은 여덟 명의 문장가. 당의 한유· 유종원, 송의 구양수· 왕안석·증공·소순·소식·소철.

당나라 당

송나라 송

여덟 팔

큰 대

집 가

 대간사충(大奸似忠)
 : 매우 간사한 사람은 아첨하는 수단이 아주 교묘하여 마치 크게 충성하는 사람처럼 보임.

큰 대

간사할 간

같을 사

충성 충

 대경실색(大驚失色)
 :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변함

큰 대

놀랄 경

잃을 실

빛 색

 대기만성(大器晩成)
 : 크게 될 인물은 보통 사람보다 늦게 대성한다는 말

큰 대

그릇 기

늦을 만

이룰 성

 대대손손(代代孫孫)
 :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자손 = 世世孫孫(세세손손), 子子孫孫(자자손손)

세대 대

세대 대

손자 손

손자 손

 대동소이(大同小異)
 : 큰 것은 같고 작은 것만 틀리니 비슷비슷함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큰 대

같을 동

작을 소

다를 이

 대부인(大夫人)
 : 남의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 = 母堂(모당), 慈堂(자당)

큰 대

지아비 부

사람 인

 대불개안(大佛開眼)
 : ① 불상을 다 만들어 갈 때 베푸는 의식  ② 슬기로운 눈을 뜨게 한다는 뜻으로 최후의 완성을 의미 = 화룡점정(畵龍點睛)

큰 대

부처 불

열 개

눈 안

 대서특필(大書特筆)
 : 특히 드러나게 큰 글자로 적어 표시함

큰 대

쓸 서

특별할 특

붓 필

 대성지행(戴星之行)
 : 별을 이고 가는 길이라는 뜻으로, 객지에서 부모의 부음(訃音)을 받고 밤을 새워 집으로 돌아가는 일.

일 대

별 성

갈 지

갈 행

 대언장어(大言壯語)
 : 제 주제에 당치 아니한 말을 희떱게 지껄임. 또는 그러한 말

큰 대

말씀 언

씩씩할 장

말씀 어

 대역무도(大逆無道)
 : 왕권을 침해하거나 부모를 살해하는 큰 죄를 범함으로써 사람의 도리에서 벗어난 막된 행위

큰 대

거스를 역

없을 무

도리 도

 대의멸친(大義滅親)
 : 대의를 위해서는 친족도 멸한다는 뜻으로, 국가나 사회의 대의를 위해서는 부모 형제의 정도 돌보지 않는다는 말.

큰 대

옳을 의

멸할 멸

친할 친

 대의명분(大義名分)
 :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나 본분, 또는 떳떳한 명목.

큰 대

옳을 의

이름 명

나눌 분

 대처승(帶妻僧)
 : 아내를 두고 살림을 하는 중 = 화택승(火宅僧) ↔ 비구승(比丘僧)

띠 대

아내 처

중 승

 도로무익(徒勞無益)
 : 애만 쓰고 이로움이 없음

헛될 도

일할 로

없을 무

더할 익

 도로아미타불(徒勞阿彌陀佛)
 : 보다 낫게 하려고 애쓴 일이 보람도 없이 처음과 마찬가지로 됨

헛될 도

일할 로

언덕 아

두루 미

험할 타

부처 불

 도리행화(桃李杏花)
 : 복숭아와 자두와 살구꽃

복숭아 도

오얏 리

살구나무 행

꽃 화

 도불습유(道不拾遺)
 : 길에 떨어진 것도 줍지 않음. 생활에 여유가 생기고, 믿음이 가득 차 있는 세상의 아름다운 풍속.

길 도

아닐 불

주울 습

잃을 유

 도상연습(圖上練習)
 : 지도상으로 하는 군사 훈련. 圖上訓練(도상훈련), 圖上作戰(도상작전)

그림 도

위 상

익힐 련

익힐 습

 도외시(度外視)
 : ① 가외(加外)의 것으로 봄. 안중에 두지 않고 무시함.  ② 문제삼지 않음. 불문에 붙임.

법도 도

밖 외

볼 시

 도원결의(桃園結義)
 :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가 도원(복숭아밭)에서 형제의 의를 맺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

복숭아 도

동산 원

맺을 결

옳을 의

 도원경(桃源境)
 : 선경(仙境), 이상향(理想鄕)

복숭아 도

근원 원

지경 경

  도참(圖讖)
 : 미래의 길흉에 관하여 예언하는 술법, 또는 그러한 내용이 적힌 책. 圖讖秘記(도참비기)

그림 도

참서 참

 도청도설(道聽塗說)
 :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뜬소문 = 유언비어(流言蜚語)

길 도

들을 청

진흙 도

말씀 설

 도탄지고(塗炭之苦)
 : 진 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듯한 고생. 백성들이 몹시 고생스러움을 말함.

진흙 도

숯 탄

갈 지

괴로울 고

 독로시하(篤老侍下)
 : 일흔이 넘은 어버이를 모시고 있는 처지

도타울 독

늙을 로

모실 시

아래 하

 독불장군(獨不將軍)
 : 남의 의견은 묵살하고 저 혼자 모든 일을 처리하는 사람. 외톨이.

홀로 독

아닐 불

장수 장

군사 군

 독서망양(讀書亡羊)
 : 책을 읽다가 지키던 양을 잃어버림. 다른 일에 정신을 빼앗겨 중요한 일을 소홀히 함.

읽을 독

글 서

망할 망

양 양

 독서백편 의자현(讀書百遍 義自見)
 : 글을 백 번 읽으면 뜻이 저절로 통한다는 말로 어려운 글도 많이 읽으면 그 뜻을 깨우치게 된다는 것 = 독서백편 의자통(讀書百遍 義自通)

읽을 독

글 서

일백 백

두루 편

옳을 의

스스로 자

나타날 현

 독서삼도(讀書三到)
 : 중국 송나라의 주희(朱熹)가 독서하는 데는 눈으로 보고(眼到), 입으로 읽고(口到), 마음으로 깨우쳐(心到), 마음과 눈과 귀를 오로지 글읽기에 집중하여야 한다는 말.

읽을 독

글 서

석 삼

이를 도

 독서삼매(讀書三昧)
 : 오직 책 읽기에만 빠져있는 경지

읽을 독

글 서

석 삼

새벽 매

 독서삼여(讀書三餘)
 : 책 읽기에 알맞은 세 가지 여가, 곧 겨울과 밤과 비가 내릴 때.

읽을 독

글 서

석 삼

남을 여

 독서상우(讀書尙友)
 : 책을 읽음으로써 옛 현인(賢人)과 벗이 될 수 있다는 말

읽을 독

글 서

높일 상

벗 우

 독수공방(獨守空房)
 : 여자가 남편 없이 혼자 밤을 지냄

홀로 독

지킬 수

빌 공

방 방

 독야청청(獨也靑靑)
 : 홀로 푸름. 홀로 절개를 지켜 늘 변함이 없음

홀로 독

어조사 야

푸를 청

푸를 청

 돈수재배(頓首再拜)
 : 머리가 땅에 닿도록 두 번 절함. 경의를 표한다는 뜻의 편지 끝에 쓰는 말.

조아릴 돈

머리 수

두 재

절 배

西

宿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 먹을 곳 잘 곳이 없이 떠도는 사람 또는 그런 짓

동녘 동

집 가

먹을 식

서녘 서

집 가

묶을 숙

 동가홍상(同價紅裳)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고, 같은 조건이면 더 좋은 것을 선택함

같을 동

값 가

붉을 홍

치마 상

 동고동락(同苦同樂)
 :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함

같을 동

쓸 고

같을 동

즐길 락

 동남동녀(童男童女)
 : 사내아이와 계집아이. 소년 소녀.

아이 동

사내 남

아이 동

계집 녀

西

 동도서말(東塗西抹)
 : 이리저리 간신히 꾸며대어 맞춤

동녘 동

칠할 도

서녘 서

바를 말

西

 동두서미(東頭西尾)
 : 제사상을 차릴 때 생선 등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놓아 차림

동녘 동

머리 두

서녘 서

꼬리 미

 동두철액(銅頭鐵額)
 : 구리 머리와 쇳덩이 이마. 성질이 모질고 거만한 사람 = 銅頭鐵身(동두철신)

구리 동

머리 두

쇠 철

이마 액

 동량지재(棟樑之材)
 : 기둥이나 대들보가 될 만한 훌륭한 인재. 한 집이나 한 나라의 큰 일을 맡을 만한 사람. 棟樑(동량)

용마루 동

대들보 량

갈 지

재목 재

西

 동문서답(東問西答)
 : 동쪽을 묻는데 서쪽을 대답한다는 뜻으로, 묻는 말에 대하여 전혀 엉뚱한 대답을 하는 것.

동녘 동

물을 문

서녘 서

대답할 답

 동문수학(同門修學)
 : 한 스승 밑에서 또는 한 학교에서 같이 학문을 닦고 배움.

같을 동

문 문

닦을 수

배울 학

 동방예의지국(東方禮義之國)
 : 예의를 잘 지키는 동쪽의 나라. 우리나라를 말함.

동녘 동

모 방

예도 례

옳을 의

갈 지

나라 국

 동병상련(同病相憐)
 : 같은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동정하고 도움.

같을 동

병 병

서로 상

불쌍히 여길 련

西

 동분서주(東奔西走)
 : 사방으로 바쁘게 돌아다님.

동녘 동

달릴 분

서녘 서

달릴 주

 동빙한설(凍氷寒雪)
 : 얼음이 얼고 눈보라가 치는 매서운 추위

얼 동

얼음 빙

찰 한

눈 설

 동상이몽(同床異夢)
 : 같은 잠자리에서 서로 다른 꿈을 꿈. 곧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딴 생각을 가짐

같을 동

평상 상

다를 이

꿈 몽

西

 동서고금(東西古今)
 : 옛날과 지금, 동양과 서양, 즉 모든 시대와 모든 지역.

동녘 동

서녘 서

옛 고

이제 금

 동선하로(冬扇夏爐)
 : 겨울 부채와 여름 화로라는 뜻으로, 때에 맞지 않아 쓸데없는 사물을 비유.

겨울 동

부채 선

여름 하

화로 로

 동성상응(同聲相應)
 : 같은 무리끼리 서로 통하여 응함. = 동기상구(同氣相求), 초록동색(草綠同色)

같을 동

소리 성

서로 상

응할 응

 동심지언(同心之言)
 : 같은 마음에서 나온 말. 절친한 친구 사이

같을 동

마음 심

갈 지

말씀 언

 동안거(冬安居)
 : 중이 음력 10월 16일부터 석 달 동안 한곳에 모여 수행하는 일

겨울 동

편안할 안

있을 거

 동장군(冬將軍)
 : 겨울 장군. 겨울의 매서운 추위.

겨울 동

장수 장

군사 군

西

 동정서벌(東征西伐)
 : 여러 나라를 이리저리 정벌함

동녘 동

칠 정

서녘 서

칠 벌

尿

 동족방뇨(凍足放尿)
 : 언 발에 오줌 누기. 일시적인 도움이 될 뿐 곧 효력이 없어져 더 나쁘게 되는 일.

얼 동

발 족

놓을 방

오줌 뇨

 동족상잔(同族相殘)
 : 같은 겨레(민족)끼리 서로 싸우고 죽이는 일

같을 동

겨레 족

서로 상

해칠 잔

 동주상구(同舟相救)
 : 같은 배에 탄 사람[이해타산(利害打算)을 같이 하는 사람]은 서로 돕게 됨

같을 동

배 주

서로 상

도울 구

 두문불출(杜門不出)
 : 세상과 인연을 끊고 집 밖으로 출입을 하지 않음

막을 두

문 문

아닐 불

날 출

  두각(頭角)
 : 머리의 끝이란 뜻으로, 여럿 중에서 특히 뛰어난 학식이나 재능을 말함.

머리 두

뿔 각

 두남일인(斗南一人)
 : 천하에서 가장 어진 사람. 두남(斗南)은 북두칠성의 남쪽 천지, 곧 온 천하를 말함. 두남재(斗南才)는 천하에서 으뜸가는 재주.

말 두

남녘 남

한 일

사람 인

 두주불사(斗酒不辭)
 : 말술을 사양하지 않는다는 말로, 주량이 매우 센 것을 뜻함.

말 두

술 주

아닐 불

사양할 사

 둔필승총(鈍筆勝聰)
 : 둔필(글 쓰는 재주가 둔함)의 기록이 총명한 기억보다 낫다는 말.

무딜 둔

붓 필

이길 승

총명할 총

 득롱망촉(得望蜀)
 : 중국 한나라 때 광무제가 농()나라를 정복한 뒤 다시 촉(蜀)나라를 쳤다는 데서 나온 말로, 끝없는 욕심을 나타냄

얻을 득

땅 이름 롱

바랄 망

촉나라 촉

滿

 득의만면(得意滿面)
 : 뜻한 바를 이루어 기쁜 표정이 얼굴에 가득함

얻을 득

뜻 의

찰 만

낯 면

 득의양양(得意揚揚)
 : 바라던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내는 모양

얻을 득

뜻 의

오를 양

오를 양

 득의지추(得意之秋)
 : 바라던 일이 뜻대로 이루어질 좋은 때

얻을 득

뜻 의

갈 지

가을 추

 등고자비(登高自卑)
 : ① 높은 곳에 이르기 위해서는 낮은 곳부터 밟아야 한다. 일을 하는데는 반드시 차례를 밟아야 한다는 말  ② 지위가 높아질수록 스스로 몸을 낮춤

오를 등

높을 고

스스로 자

낮을 비

 등용문(登龍門)
 : 잉어가 중국 황하강의 용문이라는 곳에 올라가면 용이 된다는 데서 나온 말로, 출세하기 어려운 관문을 나타냄.

오를 등

용 용

문 문

 등하불명(燈下不明)
 : 등잔 밑이 어둡다. 가까이 있는 것이 오히려 알아내기가 어려움

등불 등

아래 하

아닐 불

밝을 명

 등화가친(燈火可親)
 : 가을이 되어 서늘하면 밤에 불을 가까이 하여 글읽기에 좋다는 말

등불 등

불 화

옳을 가

친할 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