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手經』「神妙長句大陀羅尼」念誦의 方法과 功德 『千手經』「神妙長句大陀羅尼」念誦의 功德 陀羅尼는 呪文으로, '되게끔 해주는 眞言'이다. 神妙長句大陀羅尼는 '신기하고 妙한 긴 문장의 큰 다라니'라고 풀이할 수 있다. 모든 다라니의 시작이면서 모든 다라니를 거두어 들이는 다라니이며, 99억 모든 부처님의 비밀한 章句이다. 眞理는 본래 모양.. <♣ 학술자료 ♣>/경전자료 2011.08.23
永明延壽禪師 『萬善同歸集』 : <中道頌> 『萬善同歸集』 : <中道頌> - 永明延壽 선사 (904~975) - * 연수 선사는 904년 여항에서 태어나 불법에 뜻을 두어 오신채를 먹지 않았다. 20세부터는 하루 한 끼를 먹으며 묘법연화경을 읽었으며 염불종의 개조가 되었다. 천태산에 들어가 1만여 명에게 계를 주었으고 975년 나이 72세, 법랍 42.. <♣ 학술자료 ♣>/경전자료 2011.08.23
실천없는 서원보다 동전하나 보시가 공덕 /월성스님<정중선원 선원장> http://cafe.daum.net/hwaeomsa/FBCt/861?docid=13E36|FBCt|861|20071214062526&q=%BF%F9%BC%BA%BD%BA%B4%D4 중생은 한가족 다투고 헐뜯을 일 아닙니다 <약력> ·1934년 보은 生 ·53년 해인사로 출가 ·백양사, 통도사, 해인사, 봉암사 등 선원서 정진 ·서울 영등포와 경기도 송탄의 성관사 주지역임 ·現 전북 장수에서 성관사 ..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11.08.14
義湘大師의 後身 <전북 장수 성관사 대각선원장> 월성 스님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 신라시대의 고승(高僧).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성은 김씨. 한신(韓信)의 아들이다. 19세 때(29세에 출가하였다는 설도 있 으나, 최근의 고증을 따랐음.) 경주 황복사(皇福寺)에 출가하였다. 얼마 뒤 중국으로 가기 위하여 원효(元曉)와 함께 요..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11.08.14
隨喜功德歌 - 均如, http://www.bulkwang.co.kr/bbs/board.php?bo_table=ca_month&wr_id=16142 迷悟가 同體라! 緣起의 이치를 깨달으니 부처와 중생, 그 모두……. 어디 내 몸 아닌 남이 있겠습니까. 임께서 닦으시던 공덕 내가 지금 닦아 만나는 사람마다 남이 없나니 모든 사람들의 善業 功德이야 어찌 아니 기쁨이릿까. 아아 이와 같이 생각..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11.08.14
九星法 개요 / 周易八卦 http://www.gnnews.co.kr/index.html?section=KNEJ&flag=detail&code=116923&cate1=KNE&cate2=KNEJ 경남일보 홈 >>지난 연재기사-성재권의 풀어쓰는 풍수 84.九星法 개요(상) 구성(九星)의 기본인 팔괘(八卦)의 절반인 건(乾) 곤(坤) 감(坎) 이(離) 등 네 개의 괘(卦)는 우리나라 태극기에 들어있어 친근감이 있다. 이처럼 태극기의..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11.03.08
37助道品 37조도품과표[1].hwp 37조도품과표.HWP 37助道品 四 念 處 四 正 勤 四 如意足 五 根 五 力 ① 관 신 부 정 ⌢ 觀 身 不 淨: ‥ 몸 은 깨 끗 하 지 않 다 고 봄 ⌣ ② 관 수 시 고 ⌢ 觀 受 是 苦 ‥ 감 각 작 용 은 괴 롭 다 고 봄 ⌣ ③ 관 심 무 상 ⌢ 觀 心 無 常 ‥ 마 음 은 영 원 하 지 않 다 고 봄 ⌣ ④ 관 법 무..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11.03.07
東師列傳 第三四 <懶庵講師傳> http://buddha.dongguk.edu/search_result.aspx 東師列傳 第三四 ᅠᅠ懶庵講師傳 師名勝濟 號懶庵 綾州雙峯寺人 雪潭自優之嗣 暮隱智薰之孫 華月玄玉之曾 霽月守一之玄 逍 遙太能之裔 嘗於頭輪山精進堂 設華嚴大講會 四衆數百餘人 慈弘曰 懶庵禪師 受四敎圓覺般若起信楞嚴 於雪潭自優受華嚴於雪坡常彦 大蒙雪.. <♣ 학술자료 ♣>/경전자료 2010.12.29
★한국불교문화종합시스템★ <한국불교전서><한글대장경><불교사전> http://buddha.dongguk.edu/bj.aspx http://buddha.dongguk.edu/hd.aspx http://buddha.dongguk.edu/bs_list.aspx <♣ 학술자료 ♣>/경전자료 2010.12.29
설담집 (雪潭集)(18C) http://e-kyujanggak.snu.ac.kr/MOK/CONVIEW.jsp?cn=GG43523_00&lclass=01&ntype=mj&ptype=list&subtype=mj&type=HEJ 문집명 설담집 (雪潭集)(18C) 간략서지 雪潭 自優의 시문집. 2권 1책. 〈古 3428-604〉․〈가람 819.54-J32s〉 간략해제 이 문집은 조선 후기의 승려 雪潭 自優의 시문집이다. 권두에는 睦萬中․蔡濟恭․松陰老人의 序가 있고,.. <♣ 학술자료 ♣>/경전자료 201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