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자료 ♣>/경전자료

[스크랩] 신심명 강설(信心銘 講說) 5 - 三祖 僧璨大師

화엄행 2009. 12. 29. 15:36
36. 생각에 얽매이면 참됨에 어긋나서
    혼침함이 좋지 않느니라.

    계념     괴진     혼침   불호
    繫念하면 乖眞하야 昏沈이 不好니라

우리가 모든 집착심을 놓아 버리면 대도가 현전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번뇌망상은 그만두고, 대도 중도 부처라는 등의 생각에 조금이라도 생각이 얽매이면 바로 진리와는 어긋나므로, 중도도 깨져 버리고 부처도 죽어버리게 됩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부처라는 생각과 중도라는 생각, 참되다는 생각 등 어떤 생각이든지 이런 생각이 추호라도 마음에 남는다면 근본은 모두 깨지고 맙니다. 이처럼 생각에 얽매이지 말라 했다 해서 아무 것도 모르는 멍텅구리처럼 앉아만 있으면 되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라는 말입니다. 생각에 얽매여도 병이고, 혼침해도 병이므로, 이 모두를 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37. 좋지 않으면 신기를 괴롭히거늘
    어찌 성기고 친함을 쓸 건가.

    불호노신     하용소친
    不好勞神커든 何用疎親가

쓸데없이 정신을 쓰지 말아라, 정신을 쓰면 점점 더 멀어진다는 것입니다. '어찌 성김과 친함을 쓸까보냐'하는 것은 그럴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성김이란 멀리한다는 뜻이니 세간법과 악을 버림이고, 친함이란 가까이한다는 뜻으로서 세간법과 악을 취한다는 것입니다. 악을 버리고 선을 취하려 하지도 말며, 세간법을 버리고 불법(佛法)을 취하려고 하지도 말아야 합니다. 이리하여 양변 변견을 버리지도 취하지도 않을 때, 우리가 무상대도를 성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38. 일승으로 나아가고자 하거든
    육진을 미워하지 말라.

    욕취일승       물오육진
    欲趣一乘이어든 勿惡六塵하라

우리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일승(一乘)이란 무상대도를 말합니다. 무상대도를 성취하려거든 객관의 대상인 육진을 버리지 말며 미워하지도 말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육진을 이대로가 전체로 진여대용이기 때문입니다. 모르는 사람이 볼 때는 육진이지만, 아는 사람에게는 육진이 아니라 진여대용(眞如大用)의 육용(六用)이라는 것입니다. 중생이 집착심을 가지면 육진이 되고 눈 밝은 사람이 바로 쓰면 육용(六用)으로서 진여의 대용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육진을 버리고서 어찌 무상대도를 구할 수 있겠느냐고 하는 말입니다.


39. 육진을 미워하지 않으면
    도리어 정각과 동일함이라

    육진   불오     환동정각
    六塵을 不惡하면 還同正覺이라

진여대용인 육진을 미워하지 않으면 바로 정각(正覺)이라는 말입니다. 육진을 버리고 정각을 성취하려는 사람은 마치 동쪽으로 가려고 하면서 서쪽으로 가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육진을 바로 보라는 것입니다.          


40. 지혜로운 이는 함이 없거늘
    어리석은 사람은 스스로 얽매이도다.

    지자   무위    우인   자박
    智者는 無爲어늘 愚人은 自縛이로다

지혜있는 사람은 아무 것도 할 것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대도가 현전하여 버릴래야 버릴 것이 없고 취할래야 취할 것이 없는데, 무슨 할 일이 있겠습니까? 잘 모르는 사람은 공연히 취하려고 애쓰며 버리려고 고생을 합니다. 어리석은 사람은 근본 대법을 모르기 때문에 스스로 취사심에 묶여서 엎어지고 자빠지며 지옥으로 갔다 극락으로 갔다 하며 온갖 전도(顚倒)를 거듭합니다.

그러면 '본래 스스로 함이 없다(本自無爲)'고 하여 손도 꼼짝않고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 될 것 아니냐고 할런지 모르지만, 이것도 무위법에 떨어진 것이 됩니다. '함이 없다(無爲)'고 했지만 실제는 함이 없는 것을 찾아 볼 수도 없고 중도를 깨쳐도 중도도 찾아볼 수 없는 구경에서 하는 말이지, '함이 없다'고 해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41. 법은 다른 법이 없거늘
    망령되이 스스로 애착하여

    법무이법       망자애착
    法無異法이어늘 妄自愛着하야

법은 다른 법이 없어서 중생이 생각하고 집착할 특별한 법이 없는데, 공연히 스스로 애착할 뿐이라는 말입니다. 세법을 버리고 불교를 해야겠다, 교학을 버리고 참선을 해야겠다, 반대로 참선하면 무슨 소용있나, 교(敎)나하지 하는 것 등이 모두 애착입니다. 그러므로 쓸데없이 선이니, 교니, 중생이니,  부처니, 마구니니 하는 분별들은 모두 망견인 변견으로서 애착심입니다. 그러니 그 모두를 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42.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쓰니
    어찌 크게 그릇됨이 아니랴.

   장심용심     기비대착
   將心用心하니 豈非大錯가

'쓸데없이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쓰고 있으니 어찌 크게 잘못됨이 아니겠는가'하는 것입니다. 참으로 알고 보면 우리가 성불하려고 애를 쓰고, 참선하려고 애를 쓰고, 경을 배우려고 애를 쓰는 것 전부가 마치 머리위에 머리 하나를 더 얹으려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대도는 본래 스스로 원만히 갖추어져서 그 진여광명이 일체에 현성(現成)해 있으므로, 우리가 피할래야 피할 수 없고 숨을래야 숨을 수도 없습니다.

그런데 자꾸 마음으로 잡으려 하고 성취하려고 하면 점점 더 멀어지기 때문에 이것이 가장 잘못된 일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해서든 바로 깨치면 그만입니다만, 그러나 깨쳤다는 생각도 병입니다. 더구나 깨치지 않았다면 참으로 집착심을  떠날 수 없는 것이므로, 깨치지 않으면 안될 것입니다. 우리가 눈을 뜨지 않고서는 광명을 볼 수 없듯이 깨치지 못하면 밤낮으로 현저한 이 진여광명을 절대로 볼 수 없습니다.


43. 미혹하면 고요함과 어지러움이 생기고
    깨치면 좋음과 미움이 없거니

    미생적란     오무호오
    迷生寂亂이요 悟無好惡어니        

미혹할 때는 고요함과 혼란함이 생기나 깨치면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없다는 것입니다. 좋다, 나쁘다 하는 감정은 취사심이므로 미혹할 때는 집착심이 있지만 깨치면 취사심이 없다는 것입니다.


44. 모든 상대적인 두 견해는
    자못 짐작하기 때문이로다.

    일체이변   양유짐작
    一切二邊은 良由斟酌이로다

모든 치우친 두 가지 견해, 즉 양변을 다 버려야만 무상대도인 일승으로 나아갈 수 있는데, 우리가 쓸데없는 생각과 계교심을 일으켜 이리 따지고 저리 따진다는 것입니다. 본래 법에는 양변이 있는 것이 아닌데도 마음으로 이것은 좋고 저것은 나쁘다는 분별을 내는 것을 짐작(斟酌)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짐작인 취사심만 버리면 전체가 현전하여 대도(大道) 아님이 없다는  것입니다.  
  

45. 꿈 속의 허깨비와 헛꽃을
    어찌 애써 잡으려 하는가.

    몽환공화   하로파착
    夢幻空華를 何勞把捉가

'꿈 속의 허깨비와 헛꽃'은 일체의 변견을 말합니다. 성불하려는 것도 꿈 속의 불사(佛事)이니, 성불한다는 것도 중생 제도한다든지 하는 것도 모두 꿈이며 헛꽃이라는 것입니다. 중생이니 부처니 하는 생각과 불법이니 세법이니 하는 것도 다 놓아 버려야 하는데, 왜 이를 잡으려고 애를 쓰느냐 하는 것입니다.


■ 신심명 강설(信心銘講說) ⑥ 로... ■
※ 출처 : 佛紀 2545. 8 .19일. 법보종찰 해인사

출처 : 유리산 무량사
글쓴이 : 천상천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