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일대기 http://myhome.shinbiro.com/~thddudqo/ccc.htm 부처님일대기 도솔래의상(挑率來儀相) -도솔천에서 내려오시다. 호명보살이 10바라밀 수행을 닦고 도솔천에 머물고 있던 어느 날 모든 하늘 세계의 천인들이 보살의 처소에 모여들었다. 존귀하신 스승이시여, 당신이 10바라밀을 행하심은 제석천이나 마왕, 범천, 전륜..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09.04.03
십대제자 십대제자 지혜제일 사리불(智慧第一舍利佛) 신통제일 목건련(神通第一目建連) 두타제일 마하가섭(頭陀第一摩訶迦葉) 천안제일 아나율(天眼第一阿那律) 다문제일 아난(多聞第一阿難) 지계제일 우바리(持戒第一優婆離) 설법제일 부루나(說法第一富樓那) 해공제일 수보리(解空第一須菩提) 논의제일 가..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09.04.03
★ 草書硏究 Home 바로가기 ★ http://www.choseo.pe.kr/tt.htm 초서원전급해설 | 한시연구 | 고전번역작품 | 왕희지초결가 지난회보기 347차08월26일 洪 錫 龜 편 346차08월19일 丁 昌 燾 편 345차08월12일 睦 來 善 편 344차08월05일 李 仲 先 편 343차07월28일 丁 時 翰 편 342차07월22일 羅 良 佐 편 341차07월14일 韓 元 震 편 340차07월08일 韓 元 震 편 339차0.. <♣ 문화의 향기 ♣>/♧ 문화와 예술 ♧ 2009.04.03
漢詩의 理論 ㉮.漢詩의 定義 漢詩는 말할 것도 없이 한자를 표현수단으로 한 詩를 말한다. 詩인지라 作者의 思想과 感情이 韻律을 빌어서 문자로 표현한 것이다. ㉯.漢詩의 起源 중국 고대의 시를 최초로 시집으로 편찬한 <詩經>에서 그 유래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 <詩經>을 집대성한 孔子는 이렇게 말했.. <♣ 문화의 향기 ♣>/♧ 고전의 향기 ♧ 2009.04.03
<七言古詩> ♣ 白居易 ♣ <長恨歌> - 화엄행 <七言古詩> ♣ 白居易 ♣ <長恨歌> - ⊙ 번역 - 華嚴行 ⊙ ; 白居易는 杜甫의 영향을 받아 社會詩를 많이 썼는데, 이 [長恨歌]는 7言 120句의 長篇古詩로서 唐의 玄宗과 楊貴妃간의 사랑과 安祿山의 亂으로 인한 楊貴妃의 죽음 과 玄宗자신의 그리워함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사실 .. <♣ 문화의 향기 ♣>/♧ 고전의 향기 ♧ 2009.04.03
♣ 中華人 - (中國傳奇類 등등 모음선) ♣ http://www.greatchinese.com/ 中華帝國興亡史 郵傳千里 中華百家姓 一休禪堂 <♣ 학술자료 ♣>/고전자료검색 2009.04.03
◈ 中華帝國興亡史 ◈ http://www.greatchinese.com/emperors/table.htm 中華帝國興亡史 約前 3000 上古 約前 2033 約前 2033 夏 約前 1562 前 1562 商 前 1066 前 1066 西周 前 770 春秋 東周 前 256 前 476 前 475 戰國 前 221 前.221 秦朝 前.206 前.206 西楚 前.206 前.202 前.202 西漢 8 8 新 23 25 東漢 220 220 魏 221 蜀漢 222 吳 265 263 280 265 西晉 304 316 439 五胡十六國.. <♣ 문화의 향기 ♣>/♧ 역사의 향기 ♧ 2009.04.03
불상의 이해... http://mahan.wonkwang.ac.kr/culture/2002-1/2002-1report/kimmin.htm 불상의 이해... 불상 불타는 곧 여래라고도 하는데, 진리를 체득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원시불교에서는 교주인 석가불만을 불타라 하지만 불교교리의 발전과 함께 많은 종류의 불이 예배되고 또 조상되었다. 그러나 어느 시대이건 실제로 신앙되고 즐..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09.04.03
불상의 일반적 형식 http://mahan.wonkwang.ac.kr/culture/98spr/bul.htm 불상의 일반적 형식 부처님의 존상을 보고 일견하여 어느 부처님이라고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은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절을 순례하여야 생기는 것이나 차후에 그러한 능력을 가지기 위하여 불상의 일반적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존상..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09.04.03
★ <사단법인>신라문화진흥원 - 문화재의 이해 ★ http://www.shilla.or.kr/culture_help/culture_help_2.asp main 탑의 기원, 의미 불상의 발생 보살의 개념 불상-조상기본 석등의 의미 부도의 의미 비의 기원, 종류 경주사적지입장료 문화재해설자소개 문화재이해도우미 경주추천답사안내 편집 : 최 민희 1. 불상의 발생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쿠시나가라.. <♣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2009.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