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唐 中葉의 四人의 澄觀 - 노재성(헤남) 1995.pdf
초록 |
中國 華嚴宗의 第四祖라고 불리어지는 淸凉 澄觀의 전기는 확실하지 않은 점이 많다. 예를 들면 『송고승전』은 70여 세를 말하는데 11세기의 契崇은 國師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12세기 이후에 생겨난 『會解記』와 『會玄記』는 배휴가 지었다는 「妙覺塔記」를 인용하여 「天下大僧錄」, 「僧統」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래서 12세기경에는 四人의 징관이 있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특히 韓愈가 지은 「送僧觀」이라는 詩를 놓고 많은 논쟁이 일어났다. 이에 小論은 이러한 四澄觀說과 「送僧澄觀」 詩와 그것을 둘러싼 모든 논쟁의 전모를 밝히고 여러 종류의 淸凉 澄觀의 전기가 말하는 그의 生沒年代 및 그의 행적을 살펴 봄으로써 泗州地方에 詩僧澄觀이 한 사람 實存하였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唐大和尙東征傳」에 나오는 澄觀은 확실히 同名異人임을 입증하고 「送僧雲」을 둘러 싼 논쟁이 곧 유교와 불교의 교섭의 한 단면임을 지적하였다. |
목차 | 1. 머리말 2 『韻語陽秋』의 四人의 澄觀說 3.『昌黎集』의 「送僧澄觀」에 대하여 4. 한유의 「送僧澄觀」에 대한 송대 이후의 논쟁에 대하여 5. 淸凉澄觀의 生沒年代와 泗州澄觀 6. 맺는말 |
목차 | Ⅰ. 머리말 Ⅱ. 臨濟禪風 1. 臨濟의 生涯 2. 臨濟의 禪風 1) 無修無證의 선풍 2) 殺佛殺祖의 선풍 3) 無依道入의 선풍 4) 示敎接化의 綱要 Ⅲ. 西山禪風 1. 西山의 生涯 2. 西山의 禪風 1) 祖師禪宗旨의 禪風 2) ????修行의 禪風 3) 福國利生의 禪風 Ⅳ. 兩 禪風의 비교 Ⅴ. 맺음말 |
朝鮮時代 禪門法統說에 대한 考察 - 서정문 1992.pdf
목차 | 머리말 Ⅰ. 曹溪宗 法統論의 槪觀 Ⅱ. 朝鮮時代에 보이는 法流說 1. 儀式文에 보이는 歷代祖師 2. 懶翁法統說 3. 太古法統說 4. 普照法統說 Ⅲ. 各 法統說 問題點 1. 儀式文에 보이는 歷代祖師의 法統性 問題 2. 懶翁法統說의 問題點 3. 太古法統說의 問題點 4. 普照法統說의 問題點 Ⅳ.앞으로의 연구과제 1. 禪再門 法統說에 대한 再認識 2. 韓國 佛敎史에 대한 再認識 맺음말 |
초록 |
본 논문은 朝鮮後期의 念佛觀에 대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조선후기 염불관을 고찰하게 된 것은 淨土學의 연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조선불교에 대하여 좀더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먼저 조선불교가 처한 문화적 배경과 불교 종파의 변천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선 후기에 찬술된 詩歌文·勸讚文·批評文을 통해서 염불관의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끝으로 조선 후기의 염불관에 의해서 조선불교의 특징을 개관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 보이는 염불관은 ‘自性彌陀·唯心淨土·禪念一心(禪淨一致)’으로 요약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禪宗의 宗旨에 의해서 형성된 염불관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조선시대에 불교종파가 폐합되고 불교세력이 심히 위축되면서 교종은 각자의 종지를 상실하고 선종은 순수한 가풍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이기 매문이었다. 그래서 禪을 기본이념으로 하면서도 念佛·看經·誦??등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교종의 의례·의식을 儀行하면서도 정토종·화엄종·神印宗 등의 교종이념에 의하여 하지 못하고 선종의 禪旨에 의해서 儀行한 것이다. 그리하여 조선불교는 교종과 선종이 모두 순수성을 지키기 어려웠다. 이는 ‘禪敎兩宗’의 불교가 갖는 한계점일 수밖에 없었다. 조선불교의 이 같은 한계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과제로 인지되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는 일이 바로 불교의 중흥을 이루는 기반이 된다는 점을 본 논문의 논지로서 피력하였다. |
목차 | 1. 朝鮮時代 佛敎 宗派의 變遷 2. 詩歌文에 보이는 念佛觀 3. 勸讚文에 보이는 念佛觀 4. 批評文에 보이는 念佛觀 5. 念佛觀으로 본 朝鮮佛敎 |
목차 | Ⅰ. 머리말-시대적 배경 Ⅱ. 智儼의 師承關係와 思想的 基礎 1. 지엄의 생애와 師承關係 2. 지엄의 思想的 基礎 Ⅲ. 華嚴敎學의 基礎確立 1. 著書를 통해 본 華嚴祖師로서의 位置 2. 華嚴敎學을 통해 본 敎判思想 Ⅳ. 智儼敎學의 海東傳敎 1. 義湘의 入唐求法 2. 義湘 華嚴敎學 Ⅴ. 맺는말 |
지장경에 나타난 社會福祉思想 - 조광환 1992.pdf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한 硏究 - 서정문 1994.pdf
초록 |
본 논문은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해서 연구한 논문이다. 논자는 지금까지의 태고에 대한 연구가 주로 法統論과 宗祖論에 집중됨에 따른 다음의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그것은 태고에 대한 관심이 법통설·종조설로 논쟁이 계속된다면 태고에 관한 이해를 태고 자체속에서 하지않고 태고의 외적인데서만 찾는 모순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논문 앞부분에서 이점을 지적하고, 다음으로 태고의 禪思想을 고찰함에 있어서는 生涯부분과 禪風부분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태고의 생애에는 1)求道期 2)外遊期 3)敎化期로 서술했는데, 태고는 외국에 가기전에 국내에서 悟道의 체험이 있었으며, 외유기에 더 많은 견문을 넓혔고, 石屋과의 만남에서 禪旨가 契合하여 印可를 받았다. 48세에 귀국한 태고는 82세까지 34년간 많은 교화를 했으니 여기서 태고의 선풍은 선명하게 드러난다. 태고의 선풍은 1)超佛越祖의 本分禪 2)惺惺歷歷의 看話禪 3)自性彌陀의 念佛禪 4)雜華三味의 華嚴禪 5)??法敎化의 願力禪 6)報恩祐世의 同事禪으로 파악하였다. 태고의 이같은 선풍은 臨濟·石屋의 선풍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것임을 論旨로 개진하였다. |
목차 | Ⅰ. 머리말 Ⅱ. 太古에 대한 기존관심의 경향과 그 문제점 Ⅲ. 太古의 生涯 1. 求道期 2. 外遊期 3. 敎化期 Ⅳ. 太古의 禪思想 1. 超佛越祖의 本分기 2. 惺惺歷歷의 看話禪 3. 自性彌陀의 念佛禪 4. 雜華三味의 華嚴禪 5. ??法敎化의 願力禪 6. 報恩祐世의 同事禪 Ⅴ. 맺음말 |
목차 | 緖言 Ⅰ. 原始海東天台의 源流 1. 大覺國師의 見解 2. 元??敎判과 天台敎判과의 관계 Ⅱ. 傳記에 보이는 初期의 天台法華 硏究者 1. 傳記의 內用과 誤謬 2. 初期의 天台法華 硏究者 Ⅲ. 復興期 海東天台의 源流 1. 義通과 諦觀 2. 天台合法脈과 義天 結語 |
초록 |
대승불교의 근본이념인 空의 이론은 般若經典 아래의 각 대승경전의 사상의 핵심이 되어 왔으며, 이는 또한 原始佛敎 이래의 緣起觀과의 表裏를 이루면서 그 의미가 이해되어 왔던 것이다. 華嚴觀法을 思想史的인 측면에서 고찰함에 있어서 가장 근본에 空觀을 놓고, 空의 체득을 통하여 연기법을 관찰하며 연기의 實性을 파악하므로써 空과 緣起가 二이면서 不二인 華嚴圓融의 觀法을 체달하게 되는 것이며 이 圓融의 세계가 바로 法界 그 자체로서 法界에 편만한 비로자나(Vairocana)로서 상징화 되었다고 본다. 이와같은 과정을 空→緣起→見法→見佛이라고 하는 路程을 설정하고 華嚴觀法은 이 모두를 圓融으로서 眺望하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華嚴觀法의 가장 근본에 놓이고, 최종적으로 圓融의 의미를 도출해 낼 수 있는 力用이 바로 空觀이라고 보고 그의 意義를 밝히고자 하였던 바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空觀은 般若思想에 있어서의 空觀의 성격과 화엄사상에 있어서의 空觀의 성격은 근본적으로 同質的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전개되는 양상에 있어서는 각기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먼저 지적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면 船若空觀의 궁극목표는 아뇩다라삼막삼보리에의 向上一路에 있으며 이는 三三말를 중심으로 無所得·無自性으로서 특징지을 수 있다면 華嚴空觀은보살이 一心의 전개를 중시하고 중생을 향하여 向下的으로 보살도의 대비실천이 중심이 되어 있다고 성격지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華嚴空觀은 특히『華嚴經』의 十廻向品의 廻向行과 十地品 제6현전지의 一心에 의한 緣起觀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논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이와같은 空觀은 중국의 華嚴祖師에 있어서는 어떻게 수용되고 전개되었는가를 살피기 위하여 智嚴·法藏·澄觀을 중심으로 그들의 敎學思想에 끼친 空觀의 의미를 고찰하므로써 그들 華嚴敎學의 특성의 한 단면을 살펴볼 수가 있었던 것이다. 끝으로 華嚴觀法에 있어서의 空觀의 의의는 華嚴敎學의 궁극적인 원리인 圓融無碍의 사상이 바로 이 般若 이래의 空觀을 매개로 하며 형성·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을 결론으로서 이끌어 내는 데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
목차 | Ⅰ. 問題의 소재 Ⅱ.『般若經』에 있어서의 空觀의 考察 1. 三三말를 中心으로 2. 般若空觀의 性格 Ⅲ.『華嚴經』에 있어서의 空觀의 追究 1. 華嚴空觀의 성격 2. 緣起觀으로서의 一心觀 3. 空觀으로서의 廻向行 Ⅳ. 華嚴空觀의 전개 1. 智嚴에 있어서의 空觀 2. 法藏에 있어서의 空觀 3. 澄觀에 있어서의 空觀 Ⅴ. 結論 |
'<♣ 학술자료 ♣> > 학술논문자료 모음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불교 붐 (0) | 2009.03.27 |
---|---|
정도전의 배불사상에 대한 연구 정도전의 배불사상에 대한 연구.pdf (5M) (0) | 2009.03.27 |
中央增伽大學論文集 (2001~2003) 권9~10호 논문선별Pdf.파일 (0) | 2009.03.27 |
中央增伽大學論文集 (1996~1999) 권5~8호 논문선별Pdf.파일 (0) | 2009.03.27 |
無我에 대한 一考察(Ⅱ) -有無와 是非를 중심으로- / 崔 晶 圭 (0) | 2009.03.27 |
無我에 대한 一考察 (-'非'의 論理 -) / 崔 晶 圭 <백련불교논집 제2집> (0) | 2009.03.27 |
고려시대 釋讀 口訣의 <尸*ㄹ>에 대한 고찰 - 남풍현 (단국대) hwp. (0) | 2009.03.27 |
동양철학학위논문 목록 hwp. (0) | 2009.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