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203.232.187.1/~msseo/index01.htm
1. 장식문양에 깃든 상징의 세계 사찰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문양 가운데 연꽃이 있다. 불·보살이 앉아 있는 연화좌(蓮華座)를 비롯해서 불전을 구성하는 불단과 천장, 문살, 공포, 공포벽 등은 물론이고 탑, 부도, 심지어는 기와의 암·수막새에 이르기까지 연꽃이 장식되지 않는 곳이 거의 없다. 또한 사찰 장식의 여러 소재 중에서 연꽃만큼 내밀(內密)한 불교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도 드물다. 연꽃문양은 주로 시각적으로 반응하는 현대인들의 눈에는 단순한 치레 정도로 비칠 수 있으나, 진실로 그것은 불교의 정신세계와 불자들의 부처를 향한 신앙심을 짙게 투영하고 있는 상징적인 존재이다.
연화 화생―극락왕생의 기원 연꽃은 인도의 고대신화에서부터 등장한다. 불교가 성립되기 이전 고대 인도 브라만교의 신비적 상징주의 가운데 혼돈의 물 밑에 잠자는 영원한 정령 나라야나(Narayana)의 배꼽에서 연꽃이 솟아났다는 내용의 신화가 있다. 이로부터 연꽃을 우주 창조와 생성의 의미를 지닌 꽃으로 믿는 세계연화사상(世界蓮華思想)이 나타났다. 세계연화사상은 불교에서 부처의 지혜를 믿는 사람이 서방정토에 왕생할 때 연꽃 속에서 다시 태어난다는 연화화생(蓮華化生)의 의미로 연결되었다. 모든 불 · 보살의 정토를 연꽃 속에 들어 있는 장엄한 세계라는 뜻의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라고 하는 것도 세계연화사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연종보감(蓮宗寶鑑) 권8을 보면, "정토에 나서 그 연태(蓮胎)에 들어가 모든 쾌락을 얻는다"라고 했다. 이때 연태는 연꽃을 의미한다. 염불로 아미타불의 정토에 왕생하는 사람들은 연꽃 속에서 화생하는데, 이 모습이 어머니의 자궁에서 태어나는 것과 흡사하기 때문에 연태라고 하였다. 한편 석가모니가 마야부인의 겨드랑이에서 태어나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걸을 때 그 발자국마다 연꽃이 피어났다고 한다. 이는 바로 연꽃이 화생의 상징물임을 나타낸다. 사찰 벽화나 불단 장식 중에서 동자가 연꽃 위에 앉아 있거나 연밭에서 놀고 있는 모습 역시 연꽃이 화생의 상징임을 묘사한 것이다.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뒤쪽 판벽(板璧)에 그려진 벽화를 보면, 수십 송이의 만개한 연꽃마다 보살과 동자가 앉아 있는데, 이것은 연꽃을 연화 화생의 상징형으로 표현한 좋은 예이다. 사바세계의 번뇌와 집착을 벗고 극락정토에 왕생하기를 바라는 것은 불자들의 공통된 소망이다. 그런데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는 모태(母胎)가 필요했다. 그래서 창조와 생성의 의미를 지닌 연꽃이 그 모태의 상징형이 된 것이다.팔엽원―불법의 진리로 모이는 여덟 장의 꽃잎 연꽃문양 가운데 여덟 장의 꽃잎을 가진 8엽 연꽃은 불교 교의(敎義)와 신앙 체계를 나타내는 상징형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네 가지 지혜 큰 거울에 삼라만상이 그대로 비치는 것처럼 원만하고 분명한 대원경지(大圓鏡智), 모든 법과 자타가 평등함을 깨닫는 평등성지(平等性智), 모든 사물의 모양을 관찰하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묘관찰지(妙觀察智), 모든 것을 완성하여 인도하는 성소작지(成所作智)를 말한다. |
[1][2][3][4][5][6][7][8][9][10][11][12][13][14]
'<♣ 학술자료 ♣> > 기타 관련자료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佛門人物 (0) | 2009.04.02 |
---|---|
壁畵와 尋 牛 圖 (0) | 2009.04.02 |
▶ 삼성문화재단 [문화와 나] - 각종목록 링크주소보기 ◀ (0) | 2009.04.02 |
우리나라의 丹 靑 (0) | 2009.04.02 |
대웅보전 (0) | 2009.04.02 |
한국의 石 塔 (0) | 2009.04.02 |
국보 & 보물 & 사적 (0) | 2009.04.02 |
박물관 종합정보안내 (0) | 200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