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스크랩] Ghanta, Vajra, Phurba, Kundika, Stupa, manicha, Gandha, 사리함 등

화엄행 2017. 7. 2. 18:24

Gandha (향로)

나쁜 냄새를 없애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향은 범어로는 Gandha이며, 건타(乾陀)ㆍ건두(健杜) 등으로 음역된다.

향을 피우지 않고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거나 의식을 행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도 없는 일이다.

그만큼 향은 불교 의례에서 중요하며, 그렇기 때문에 소향(燒香) 용기인 향로 또한 없어서는 안 될 불구(佛具)로 간주되고 있다.

향로는 법구(法具)로서 막중한 상징성을 갖고 있기에 불자들은 깊은 신앙심으로 향로를 부처님께 바쳤다.

옛 불자들이 만든 향로 중에는 기능성을 뛰어 넘는 심오한 상징성과 높은 예술미를 갖춘 걸작품들이 적지 않다.


불단 위에는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 의식 용구가 올려진다. 불을 켜는 두 개의 촛대, 꽃을 꽂는 두 개의 화병, 향을 피우는 향로 한 개가 그것이다. 이를 함께 일러 오구족(五具足)이라고 부르는데, 말 그대로 이 다섯 가지가 모두 갖춰져야 정상적인 예불이나 의식이 진행될 수 있다고 불자들은 생각한다. 그런데 오구족 중에서 특별히 향로가 중요시되는 이유는 향을 태우는 공양기라는 점 때문이라는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면 불교의식에서 소향(燒香)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금강명경(金剛明經)〉 사천왕품에서 부처님은 소향의 영험과 공덕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였다.

“손으로 향로를 받들고 경전에 공양할 때에 그 향기가 잠깐 동안에 삼천대천세계의 백억 해와 달과 백억 큰 바다와 백억 수미산과 백억 큰 철위산(鐵圍山), 작은 철위산과 모든 산왕(山王)과 백억 천하, 백억 사천왕, 백억 삼십삼천과 나아가 백억 비상비비상(非想非非想)천까지 두루 퍼진다.

이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백억 삼십삼천과 온갖 용ㆍ귀신ㆍ건달바ㆍ아수라ㆍ가루라ㆍ긴나라ㆍ마후라가들의 궁전과 허공에 여러 가지 향기의 일산(日傘)이 가득 차고 그 일산의 금빛은 궁전까지 비출 것이다.”

향을 피우면 향훈(香薰)이 백천만억 부처님 세계까지 널리 퍼져 여러 부처님들이 향기를 맡고 법문을 듣거나 공양하는 이들을 실제로 보고 알게 되는 큰 공덕이 있는 것이다.

향(香)ㆍ등(燈)ㆍ차(茶)ㆍ화(花)ㆍ과(果)ㆍ미(米) 등 여섯 가지를 공양하는 것을 육법공양이라고 하는데, 육법공양 중에서 향공양을 제일로 치는 것도 향공양이 갖는 상징적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한편 부처님이 갖추신 다섯 가지 공덕을 찬탄하는 의식인 오분향례(五分香禮) 때에 부처님의 공덕, 즉 계신(戒身)ㆍ정신(定身)ㆍ혜신(慧身)ㆍ해탈신(解脫身)ㆍ해탈지견신(解脫知見身)의 오분법신을 향에 대비시켜 계향ㆍ정향ㆍ혜향ㆍ해탈향ㆍ해탈지견향으로 부른다.

이때의 소향(燒香) 공양은 모두가 부처님의 법신과 설법 내용을 향에 비유한 것으로 그 근본적인 뜻은 소향의 신성(神聖)으로써 종교 의식의 내실을 기하려는 데 있다.

향과 관련된 풍습으로 매향(埋香)의 풍습이 있다.

매향이란 미래세의 미륵불에게 올릴 향을 강이나 바다 가까운 개펄에 묻어 두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미륵하생신앙과 관련이 깊다.

옛 향도(香徒 : 불교 신앙 활동을 위해 결성한 신도들의 단체)들은 미래세에 미륵 용화회(龍華會)가 열릴 때 미리 준비해 두었던 침향(沈香)으로 미륵부처님께 향공양을 올릴 수 있기를 기대했고, 미륵불과 함께 미륵정토에서 나서 행복하게 살 수 있기를 빌었다.

지금도 다수 전해지고 있는데, 고성 삼일포매향비, 정주매향비. 사천매향비, 암태도매향비, 해미매향비 등이 그것이다.

삼일포 매향비 기록에 의하면 1500개의 침향목(沈香木)을 개펄에 묻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통해 당시 불자들의 미륵 하강에 대한 절실한 기원을 알 수 있다.


Kundika (정병, 淨甁)

정병은 이름 그대로 정화용(淨化用) 물을 담아 두는 병, 또는 의식 장소를 청정도량으로 조성키 위해 물을 뿌릴 때 사용하는 물병이다.

도를 비롯한 남방 열대지방 사람들이 사용하는 kundika(쿤디카), 또는 kendi(캔디)에 기원을 두고 있다.

감로병 또는 보병(寶甁) 등으로 불리는 정병은 향로와 더불어 공양구 가운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힌두교에서의 정병은 브라만과 시바에 대한 경건한 마음의 상징으로 간주되며, 불교에서는 범천, 천수관음보살, 수월관음보살, 대세지보살의 지물 혹은 도상(圖像)적 특징으로 나타난다.


〈법화경〉 권 하에 의하면 원래는 승려가 반드시 지녀야 할 18물(物) 중의 하나였던 것이 점차 불전에 바치는 깨끗한 물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중국 당나라 고승인 의정(義淨)의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제1에 "무릇 물에는 정(淨)과 촉(觸)이 있어 2종류의 병이 있는데 정수(淨水)는 토기로 만든 정병, 촉수(觸水)는 동과 철로 만든 촉병에 각각 넣는다.

정수는 먹을 수 있는 물이고 촉수는 손을 씻는데 사용하는 물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그 용도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나 〈다라니집경 陀羅尼集經〉 제3에는 대범천이 오른손에 병을 들고 있다고 되어 있으므로 정병은 부처님 앞에 바치는 공양구의 하나일 뿐 아니라 불·보살이 가지는 지물(持物)로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밀교에서는 칼, 창, 약합(藥盒), 석장 등 세속적인 기물이 종교적으로 승화되어 불.보살이나 신중의 삼매야형(三昧耶形)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삼매야형이란 부처와 보살의 존격(尊格)이나 내적 깨달음의 내용, 서원, 공덕 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범천 등의 삼매야형이 바로 정병이다.



Stupa (pagoda)

반구형의 탑파는 인도에서 불교 이전부터 존재했던 무덤 양식에서 기원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탑파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불교 이전부터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불사리탑으로서의 성격을 지닌 탑파는 석가모니가 구시나가라(Kusinagara)의 사라쌍수(沙羅雙樹) 밑에서 열반한 후 그 사리가 8개의 나라로 나누어져 탑파를 쌓기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2~3세기 무렵에는 인도 아소카 왕이 8만 4,000개의 탑파를 만들었다고 한다.


따라서 탑파는 단순한 무덤이 아니라 부처의 사리를 안치하는 성스러운 구조물로서 불교의 전파와 함께 각 지역에 세워졌는데 나라와 시대에 따라 그 의미와 양식이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유물이 기리는 성인이라는 개념과 동일시되고 또 탑파 자체와 동일시되는 탑파의 기본적 상징성은 일관되게 이어지고 있다.


탑파 숭배는 흔히 해의 진행방향(pradakṣiṇā)을 따라 탑을 돌면서 걸어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탑파는 다른 건물 안에 세워지더라도 언제나 독립된 기념물로 간주된다.


인도에서 BC 2~1세기경 축조된 산치의 대탑은 복발형(覆鉢形)으로 마치 분묘와 같은 형태이다.

이는 원형의 기단(基壇) 위에 알 또는 태반을 연상시키는 돔 모양의 거대한 탑신(塔身 aṇḍa)이 놓여져 있고 그 위에 우산 모양의 덮개(chatra)가 씌워져 있다.


대탑 주위에는 전체를 난간이 둘러싸고 있으며 4개의 문이 있는데, 이 문들은 석가모니불의 생애에 있었던 사건들, 그의 전생(前生)에 관한 설화들, 신화에 나오는 인기 있는 영웅 등을 묘사한 돋을 새김 조각으로 장엄하게 꾸며져 있다.

그러나 점차 시대가 내려갈수록 기단부(基壇部)·탑신부(塔身部)·상륜부(相輪部)의 3부분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탑파형식이 이루어졌다. 탑파는 그 형태에 따라 복발형탑(覆鉢形塔)·감탑·주탑(柱塔)·안탑(雁塔)·라마탑(喇麻塔)·다보탑(多寶塔)·보협인탑(寶篋印塔)·오륜탑(五輪塔)·무봉탑(無縫塔) 등으로 나누어지며, 재료에 의해서 목탑(木塔)·전탑(塼塔)·석탑(石塔)·이탑(泥塔)·철탑(鐵塔)·금은탑(金銀塔)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특히 중국에서는 전탑, 한국에서는 석탑, 일본에서는 목탑이 각각 발달하여 주류를 이루었는데 한국에서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4세기 후반부터 세워지기 시작하여 인도·중국과는 다른 독특한 형식의 탑파가 만들어졌다.














사리함 (舍利函)

사리 또는 불제자() 성승() 유골 넣는 용기. 불탑 안에 넣어 두었다.


Dorje (Vajra, 금강저, 金剛杵)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교 용구의 하나. 저(杵)는 인도 고대의 무기 가운데 하나이다.

제석천이 아수라와 싸울 때 코끼리를 타고 금강저를 무기로 삼아 아수라의 무리를 쳐부순다고 한 신화에서 그 신비한 힘이 유래되었다.

그리고 인도의 여러 신과 역사(力士)들이 이 무기로써 적을 항복시킨다고 한다.

뒤에 밀교에서 적을 쳐부수는 의미로 이 무기를 불구(佛具)로 채용하여 여러 존상의 지물(持物)로서, 또는 수행의 도구로 사용하게 되었다


Vajra Dorje 로 불린다 .. Vajra 는 '금강' 의 뜻이다 .. 금강저를 '바즈라' 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주 제왕의 상징으로서의 권장(權杖), 혹은 무기로서의 바즈라 형태는 중앙아시아 등의 고대 문명에서 천둥 번개의 상징인 삼지창에서 유래됐다.

바즈라의 성격은 게르만족의 천신인 뇌신(雷神) 토르(Tor)의 운석 망치, 그리스의 천신 제우스의 천둥 번개와 비슷하다.

이들 천신이 가진 불멸의 번개와 천둥은 던져진 창처럼 불과 빛의 소용돌이 속에서 유성의 불덩이처럼 타오른다고 고대인들은 생각했다.

인도의 고대 전설에 의하면, 우주 최고의 신 인드라(Indra) 신의 무기가 천둥 번개이고, 인드라는 이 무기의 힘으로 적과 악의 화신들을 수없이 죽였다.

이 강력한 천둥 번개 무기가 바로 바즈라인데, 인도의 리그베다에서는 이것을 수 천 개의 갈퀴가 달린 금속 곤봉, 또는 삼지창처럼 생긴 갈퀴가 달린 막강한 힘의 무기로 묘사하고 있다.

인도인들은 인드라 신이 바즈라를 휘둘러 온갖 사악한 무리들을 제거한다고 믿었고, 그러한 신화에 근거해 인도인들이 고안해 낸 무기가 금강저이다.

불교 전설에 의하면 석가모니는 인드라로부터 바즈라를 빼앗아 노기등등한 그를 복종시키고 갈퀴 끝을 오므려 평화로운 부처의 권장(權丈)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불교의 바즈라는 그 이후부터 어떤 번뇌와 장애물이라도 물리칠 수 있는 밀교의 법구로 상징화되었는데, 티베트 불교권에서는 이것을 도르제(Dorje)라고 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중국.일본 불교에서는 금강저라 부르고 있다.


금강저(金剛杵) 또는 바즈라(산스크리트어), 도르제(티베트어)는 불교, 자니교, 힌두교다르마(佛法)에서 사용되는 상징물로, 주로 영혼과 영성의 견실함을 상징한다.

금강저는 본래 인도의 것이었는데, 인도 종교와 문화가 동아시아동남아시아로 전파되면서 금강저의 상징적·의식적 사용도 함께 전파되었다.

산스크리트어 단어‘바즈라’란 원래 낙뢰금강석을 동시에 의미하는 단어이며, ‘도르제’는 티베트부탄에서 흔한 사람 이름이기도 하다.







Phurba (푸르바, Phurpa, Kila)

제사, 의식에 사용되는 칼(Kartika) 이다.

손잡이에 새겨진 형상에 따라 'Hayagriva' 등의 이름이 붙는다

카르티카 는 대한 의식에 사용되는 작은, 기호 초승달 칼 또는 스크레이퍼입니다.

그것은 모든 물질과 세상 결합의 단절을 상징와 함께 선정되어 무지를 파괴라고, 그리고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열쇠이다


 푸르바는 무기의 상징이므로 호법신중을 알아야 한다.

부천님 세계를 지킨는 착한 무신으로 호법선신 이라고도 한다.

8명으로 악귀에 대한 두려움을 일으키기 위해 무섭고 끔찍한 모습으로 표상된다.

호법신중에 대한 경배는 8세기경 성인 파드마삼바바가 티베트의 악신들을 물리치고 불교를 믿도록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호법신중은 힌두교나 본교(티베트 고유종교), 또는 민속신에서도 등장한다.


림이나 조각 또는 가면에 묘사되어 있는 호법신중은 눈이 3개에 머리가 산발이고 해골바가지 왕관과 잘린 머리로 만든 화관을 쓰고 있는 모습이다.

호법신중은 여자와 함께 있는 남자를 짓밟고 있는 모습이 많다.


호법신중의 여덟 선신은 라모(라사의 여신으로 여덟 선신 중 유일한 여신임)·창스파다카르포·베그체·야먀(죽음의 선신으로서 주로 여동생인 야미와 함께 다님)·쿠베라(부의 신으로서 여덟 선신 중 유일하게 사나운 모습을 하고 있지 않음)·마하칼라·하야그리바·야만타카('야마 또는 죽음의 정복자'라는 뜻) 등이다.


호법신중의 경배실은 반지하(半地下)이고 그 방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박제된 야생 야크(들소의 일종)나 표범이 수문장으로 놓여져 있다.

제관은 특별한 복장을 입고 사람의 가죽이나 뼈로 만든 예식 도구를 사용했다.

경배의식에는 가면을 쓴 춤(참)이 포함되어 있었다.


아래 사진에는 손잡이 모양에 따라 얍윰 푸르바, 하야그리바 푸르바 등 호법신중들의 무기가 따로 묘사된다.
8명의 호법신중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 과 사진을 올릴 것 입니다.



하야그리바 푸르바

얍윰 푸르바


Dilbu (Ghanta, 금강령, 金剛鈴)

종(鐘)의 형태에 번뇌를 없애준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금강저의 형태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불교의 의식법구를 말한다. 즉 불교의식 때 소리를 내어 여러 불·보살들을 기쁘게 해주고 어리석은 중생의 불성을 깨닫게 하여 성불의 길로 이끌어주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그 연원은 인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불교에 수용되어밀교의식을 행하기 위한 특수한 법구가 된 것은 8세기 중엽 중국 당나라 때부터이다.

이와 같이 밀교 법구로 출발한 금강령은 늦어도 8세기말 통일신라시대에는 밀교와 함께 우리나라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밀교가 하나의 종파로 발전하지 못하고 다른 종파에 습합되는 불교사상의 시대별 추이에 따라 금강령도 점차 종파의 구별없이 일반 불교의식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간따(ghanta)를 쳐서 대중을 모았다'고 경(經)에 나오는, 간따는 조그만 종이거나 좀 클 경우 징(鉦) 정도에 해당하는 쇠로 만든 악기였다.

원래 전쟁의 신호로 사용된 것이었으니 징에 더 가까운 것이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잡이의 형태에 따라 독고령·3고령·5고령·9고령·보주령·탑령 등으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3고령과 5고령 정도만 볼 수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9고령을 제외한 나머지를 합하여 5종령이라 하고 금강저와 함께 금강반 위에 안치하여 밀교대단의 중앙 및 사방에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몸체에는 주로 불법을 수호하는 오대명왕을 비롯하여 사천왕, 범(梵)·석사천왕, 팔부중 등 호법신장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밖에 중국이나 일본의 예에서는 볼 수 없는 용을 표현한다든가 명왕과 독고저를 교대로 배치한 특이한 형식의 금강령도 전해지고 있다






Prayer wheels, manicha, 경통(經筒), 법륜(法輪), 전경통(轉經筒), 전경기(轉經器), 마니차(摩尼車)

이 기구는 보통 아름답게 장식된 속이 빈 금속 원형통에 손잡이 막대가 끼워졌고 필사된 신성한 진언이 그 속에 들어 있다. 손으로 바퀴를 한 번 돌릴 때마다 기도자가 입으로 진언을 한 번 외우는 것과 똑같은 효과가 있다. 손으로 다루는 소형인 것 외에 풍차나 물레방아에 연결해 계속해서 돌아가게 만든 대형 전경기도 있다. 깃발에 진언을 필사하여 바람의 힘으로 펄럭이게 만든 경기도 있다.


마니차(摩尼車)는 주로 티베트 불교에서 사용되는 불교 도구이다. 마니차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만트라가 새겨져 있다.

내부에는 롤로 경문이 새겨겨 있다. 크기는 다양하며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부터 큰 것은 몇 미터에 달하는 마니차가 사원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출처 : 불교 불상
글쓴이 : 본래면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