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자료 ♣>/기타 관련자료 모음

부도와 탑비, 장보고와 留學僧 세력의 합작품

화엄행 2013. 11. 2. 23:51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5/05/25/200505250500009/200505250500009_1.html



[최완수의 우리문화 바로보기 25] <신동아, 2001년 7월호>

부도와 탑비, 장보고와 留學僧 세력의 합작품


보조(普照)선사 체징(體澄, 804∼880년)이 헌안왕(憲安王, 857∼861년)의 귀의를 받아 헌안왕 4년(860)에 장흥(長興) 가지산(迦智山)에 보림사(寶林寺)를 지어 우리나라 최초의 선문(禪門)인 가지산문(迦智山門)을 개설하고 나자, 이를 뒤따라 사방에서 차츰 선문을 설립하고 국가로부터 공인받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대개는 각 지방의 실력자들이, 당나라의 선문 조사(祖師; 선종의 한 문파를 일으키거나 이의 법통을 계승할 만한 자격을 갖춘 우두머리 선승)로부터 인가를 받고 돌아와 선문 개설 자격을 갖춘 선사들을 후원하여 우선 자기 지방에 선문을 개설해 놓은 다음 국가로부터 인정을 받아내는 절차를 거쳤다.

가지산문의 경우도 장사(長沙; 장흥의 옛이름)현의 부수(副守; 부군수)이던 김언경(金彦卿)이 보조선사를 헌안왕에게 추천하여 헌안왕으로 하여금 왕사(王師; 국왕의 스승)로 초빙하게 했는데, 보조선사가 이를 사양하자 왕명으로 가지산에 주석(駐錫; 승려가 산에 들어가 머물러 사는 일)토록 하는 절차를 거쳤던 것이다. 물론 가지산에 터를 잡아 보조선사로 하여금 가지산문을 개설하도록 주선한 것은 이 지방의 실력자 김언경이었다. 이 사실은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도판 1)의 비문 내용에서 밝히고 있다.

우리는 그 사실을 바로 전회의 ‘신라 선종과 비로자나불 출현’에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보조선사가 이곳 가지산에서 20년 동안 주석하며 선지(禪旨)를 전파하다가 헌강왕 6년(880)에 77세로 열반에 들자 그 사리탑과 비석을 국가에서 세워주도록 요청했던 것이다. 이에 헌강왕은 그 10년(884)에 보조선사 시호와 함께 창성탑(彰聖塔)이란 탑호를 왕명으로 내리고 묘탑인 부도(浮屠)와 탑비를 세우게 한다. 그리고 남종선의 시조인 6조대사 혜능(慧能, 638∼713년)이 남종선의 본산으로 짓고 살았던 보림사란 이름도 그대로 옮겨줌으로써 이곳이 우리나라 남종선의 총본산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해 준다.

그런데 선종은 보통 양(梁)나라 때 보리달마(菩提達磨, ?∼528년)가 인도로부터 석가세존의 의발(衣; 가사와 발우를 말하며 정법의 법통을 이어가는 상수제자에게 전해주는 상징물임)을 전수받아 중국에 들어와 설립한 종파로 알려져 왔다. 그가 마하가섭 이래 28대조에 이르는 전법제자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 선종의 시조가 되니, 중국 선종에서는 그가 가지고 들어온 의발이 중국 선종의 제6조 혜능에게까지 전수되었으므로 이들을 합쳐 33조사(祖師)라고 부른다.

그러나 중국 선종은 인도로부터 전해 왔다기보다 중국에서 중국적인 사고의 영향으로 출현한 혁신 이념이라고 보아야 한다. 논리의 늪에 빠진 교종 불교를 건져내기 위해 초논리(超論理)의 방법으로 탈논리(脫論理; 논리를 벗어남)를 시도하여 개혁에 성공한 일종의 개신교(改新敎)인 셈이다. 불립문자(不立文字; 문자를 내세우지 않음)를 내세워 문자로 기록된 복잡한 경(經), 율(律), 논(論)의 논리체계에서 벗어나고 직지인심(直指人心; 곧장 마음으로 터득함)으로 깨달음을 직접 성취하자는 취지였다. 곧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은 방법을 그대로 본받아 바로 실천해 나가자는 것이었다.

사실 1500여 년 동안 수많은 천재들에 의해 불교 논리가 전개되어 왔다면 그 이론체계가 아무리 극명한 것이었다 하더라도 자체 논리의 늪에 빠지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그 늪 속에서 벗어나는 길은 처음으로 돌아가는 길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은 각질화한 껍데기를 생살과 함께 벗겨내는 것과 같은 고통이 수반되므로 감히 엄두를 내기 힘든 일이라 대개는 그대로 함께 늙어 죽는 것으로 끝마치게 마련이다. 원시불교가 일어난 중인도나 대승불교가 일어난 서북인도에서 불교가 소멸한 이유가 바로 그것이었다.



부도는 중국식 사당 성격의 건축물


그런데 중국문화권에서는 사계(四季)가 분명하여 아무리 무성한 산천(山川) 초목(草木)이라도 서리 한 번만 내리면 일시에 시들어 떨어지는 것을 매해 경험하고 산다. 그래서 여기서 사는 사람들은 아무리 복잡한 논리체계라도 필요하다면 일시에 부정하는 것을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 사고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중국적인 사고가 과감하게 불립문자, 직지인심을 내세워 종교개혁을 단행할 수 있게 하였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사불란한 중앙집권적 절대권 유지라는 중국적 사회관이 만들어놓은 정통사상(正統思想; 올바른 계통만이 대를 이어가야 한다는 생각)과 종법사상(宗法思想; 적장자가 대를 이어가야 한다는 생각)이 불교에 영향을 끼쳐 의발전수(衣傳授; 가사와 발우를 전해줌)라는 비불교적이고 비인도(印度)적인 법통(法統) 계승법을 수용하게 했을 것이다. 따라서 선종의 이런 요소들이 선종을 중국화된 혁신 이념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게 하는 반증으로 작용하게 된다.

종법 이념에 따라 대종(大宗; 큰집 종가), 소종(小宗; 작은집 종가)의 분파를 인정하게 되므로 정통제자와 무수한 방계제자를 인가할 수 있게 되니, 선종의 법맥 체계는 마치 중국의 제왕들이 자제를 분봉(分封)하는 것과 같은 질서를 가지면서 확장되어 나갈 수 있었다.

그러므로 중국 선종의 초조인 달마대사부터 그 묘제(墓制)도 중국식으로 바꿔 화장을 하지 않고 탑 안에 시신을 그대로 안치했던 것이니, 북송 진종(眞宗) 경덕(景德) 원년(1004)에 도원(道原)이 지은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권3 제28조 보리달마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단정하게 있다가 돌아가니 후위 효명제 태화 19년 병진(필자주; 무태 원년 무신, 528년의 잘못임) 10월5일이었다. 그해 12월28일 웅이산(熊耳山)에서 장사지내고 탑을 정림사(定林寺)에 세웠다. 3년 뒤에 송운(宋雲)이 서역으로 사신 갔다 돌아오다가 달마대사를 총령(蔥嶺, 파미르고원)에서 만났다. 손에 신발 한 짝을 들고 훨훨 날 듯 혼자 걸어가는 것을 보고 송운이 ‘대사께서 어디로 가십니까’ 하고 묻자 달마대사는 ‘서천으로 간다’ 하고 이어서 ‘네 임금은 이미 죽었다’ 한다.

송운이 듣고 정신없이 대사와 이별하고 동쪽으로 달려와 복명하니 명제는 이미 돌아가고 효장제가 즉위해 있었다. 송운이 그 일을 갖추어 아뢰자 황제가 묘광을 열어보게 했더니 오직 빈 관에 신발 한 짝만 남아 있었다. 온 조정이 놀라서 조칙을 받들어 남은 신발을 가져다 소림사(少林寺)에 두고 공양하였다.

당 개원(開元) 15년(727) 정묘에 이르러 신도(信都)라는 사람이 훔쳐다가 오대산 화엄사에 두었다 하는데 지금은 그 소재를 알 수 없다. 처음에 양무제가 대사를 만났으나 인연이 맞지 않았는데 위나라에 가서 교화를 행한다는 소문을 듣고 드디어 스스로 대사의 비문을 지으려 했지만 겨를이 없더니 뒤에 송운의 일을 듣고 이에 이루어내었다. 대종이 원각(圓覺)대사라 시호를 내리고 탑은 공관(空觀)이라 하였다.”

이로 보면 시신을 그대로 탑 속의 관에 안치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 풍습대로 황제가 직접 비문을 지어 비석을 세우고 시호와 탑호를 내리고 있다. 탑호는 곧 묘호(廟號)와 같은 성격이니 탑, 즉 부도를 사당(廟)으로 생각하였던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조사의 전신사리(육신)나 화장해서 얻은 사리를 봉안하는 사리탑, 즉 부도는 당연히 사당의 성격을 갖는 건축물이어야 한다.

그래서 초기에는 불타의 사리를 봉안하는 솔탑파(率塔婆, stupa), 즉 불탑(佛塔)처럼 층탑 형태의 건축구조를 가졌던 것이 아닌가 한다. 당 고종 총장(總章) 2년(669)에 세워진 <흥교사 현장법사탑>(도판 2)에서 그 형태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점차 승탑은 불탑과 구별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해지면서 선종이 널리 퍼지기 시작하는 8세기 중엽경부터는 단층집 형태의 승탑, 즉 사리탑 양식이 출현하는 듯하니 중국 하남성 등봉현 회선사(會禪寺)에 남아 있는 <회선사 정장(淨臧)선사사리탑>(도판 3)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단층 팔각당형의 건축물로 동·서 양면에 앞·뒷문이 설치되어 있고 그 좌우에 해당하는 4면에 격자창이 표시되어 있다. 앉아서 열반에 든 육신을 봉안하기에 알맞은 구조다.

‘경덕전등록’ 권3 제31조 도신(道信, 580∼651년)대사조에서도 육신을 그대로 탑 안에 봉안했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 내용은 이렇다.

“고종 영휘(永徽) 신해년(651) 윤 9월4일에 이르러 갑자기 문인들에게 경계하는 말을 다음과 같이 내린다. ‘일체 모든 법으로부터 벗어나서 너희는 각자 제 생각을 지켜 미래를 시류에 따라 교화하라.’ 말을 마치고 편안히 앉아서 돌아가니 나이 72세였다. 본산에 탑을 세웠는데 다음해 4월8일에 탑 문이 까닭없이 저절로 열리는데 모습이 살아 있는 듯했다. 이후 문인들이 감히 닫지 못하였다. 대종이 시호를 대의(大醫)라 하고 탑호를 자운(慈雲)이라 하였다.”

남종선의 시조인 6조 혜능대사 역시 육신을 그대로 탑 안에 봉안하였다. 그래서 신라 승려 김대비(金大悲)가 개원 10년(722)에 중국인 장정만(張淨滿)에게 20천금, 즉 돈 2만냥을 주고 육조대사의 머리를 잘라오게 하였지만 미수에 그치고 말았다 한다. 그 내용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선천(先天) 2년(713) 7월1일에 문인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신주(新州)로 가려고 하니 너희는 배를 대도록 하라 한다. 그때 대중이 슬퍼하며 좀더 계시라 하자 이렇게 말한다.

‘여러 부처님이 출현하셨어도 오히려 열반을 보이었다. 왔으면 반드시 가는 것이 당연한 이치다. 내 이 몸뚱이도 반드시 돌아가야 할 곳이 있다.’

‘대사께서 이제 가시면 언제 오시겠습니까.’

‘잎이 떨어지면 뿌리로 돌아가는 것이니 올 날이 없을 것이다.’

‘대사의 법안(法眼; 일체 법을 분명히 살펴볼 수 있는 눈)은 누가 전해 받겠습니까.’

‘도(道) 있는 사람이 얻을 것이고 무심한 사람도 통달하리라.’

‘뒤에 액난이 없겠습니까’.

‘내가 입멸한 뒤 5∼6년 만에 마땅히 한 사람이 와서 내 머리를 가져가리라. 내 예언을 들어보아라. 머리 위로는 부모를 봉양하나, 입 속에서는 음식을 삼켜야 한다. 가득 차는 것을 만나는 액난에, 버드나무가 관리가 되리라(頭上養親, 口裏須餐. 遇滿之難, 楊柳爲官). 또 내가 간 뒤 70년 만에 두 보살이 동방으로부터 올 터인데 하나는 재가신자이고 하나는 출가인일 것이다. 동시에 교화를 일으켜 우리 선종을 건립하고 절을 짓고 제자들을 많이 길러 내리라(필자주; 784년에 도의선사가 당나라에 건너가 처음 남종선을 받아온다).’

말을 마치고 신주 국은사(國恩寺)로 가서 목욕한 다음 가부좌를 틀고 앉아 돌아가니 기이한 향기가 코를 찌르고 흰 무지개가 땅에 닿았다. 그 해 8월3일의 일이다. 11월13일에 탑 안에 들여 모시니 나이 76세였다.(중략)

개원 10년(722) 임술 8월3일 밤중에 홀연히 탑 속에서 철사를 끊는 소리가 들리므로 승려들이 놀라 일어나니 (건 쓴) 상주 한 사람이 탑 속에서 뛰쳐나간다. 대사의 목을 찾아보니 상처가 나 있다. 도적의 일을 갖추어 써서 주현에 알리자 현령 양간(楊侃)과 자사 유무첨(柳無)이 고소장을 보고 잡아들이는 데 힘을 더했다. 8월5일에 석각촌(石角村)에서 도적을 잡아 소주부(韶州府)에 보내 국문하니, 성은 장(張)이고 이름은 정만(淨滿)이며 여주(汝州) 양현(梁縣)사람으로 홍주(洪州) 개원사(開元寺)에서 신라 승려 김대비에게 돈 2만냥을 받았는데 육조대사의 머리를 가져오면 해동으로 돌아가서 공양하겠다고 했다 한다.

유태수가 이 사실을 듣고 나서 형벌을 가하지 못하고 몸소 조계(曹溪)에 이르러 대사의 상족제자인 영도(令韜)선사에게 어떻게 처단했으면 좋겠느냐고 물었다. 영도선사는 이렇게 대답했다.

‘만약 국법으로 논한다면 죽여야 마땅하지만 다만 불교의 자비로 따진다면 원망과 친근이 평등한데 하물며 저 사람이 공양을 드리고 싶어서 구해가려 했다니 죄를 용서하는 것이 좋겠다.’

유태수가 아름답게 여기고 찬탄해 말하기를 비로소 불문이 광대한 것을 알겠구나 하며 그를 놓아주었다(필자주: 육조대사의 알 수 없었던 예언이 모두 들어맞았다. 머리에 건 쓴 상주가 배가 고파 돈을 받고 목을 자르러 왔고 그 도적의 이름이 장정만이며 이를 잡아 다스린 관리가 현령 양간과 자사 유무첨이었던 것이다). (중략) 헌종이 대감(大鑑)선사라고 시호를 내리고 탑은 원화영조(元和靈照)라 하였다.”

우리나라에 선종을 최초로 들여온 이는 산청 단속사(斷俗寺) 신행(神行, 704∼779년)선사로 알려져 있다. 그는 속성이 김씨이고 동경(東京) 어리(御里) 출신이며 급간 상근(常勤)의 아들이라 했으니 진골의 혈통을 이어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그는 보수 성향이 있는 신수(神秀, ?∼706년)계의 북종 선맥을 이어 왔다. 신수의 상수제자인 대조(大照)선사 보적(普寂, 651∼739년)의 제자 지공(志空)화상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돌아온 것이다.

   (계속)



동방으로의 전래


그가 돌아왔을 때는 교종불교가 신라에서 만개한 상태로 불국사와 석굴암 조성이 한창 진행중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가 전수해온 선종 이념은 아무런 주목도 받지 못했고, 그는 지리산 끝자락에 위치한 단속사에 머물면서 인연 닿는 대로 이를 전파하다가 혜공왕 15년(779)에 76세로 이곳에서 열반한다. 그러자 삼륜(三輪)선사를 비롯한 제자들이 선종의 법식대로 화장하여 사리를 수습하고 부도를 세워 이를 봉안하려 하였던 모양이다.

그러나 선종에 대한 이해가 없는 조정에서 왕명으로 이를 세워줄 리 없었다. 30여 년을 기다리다가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와서 현재의 당나라 문화에 대한 이해가 깊은 국상(國相)이며 병부령(兵部令) 겸 수성부령(修城府令)인 이간 김헌정(金獻貞)의 도움으로 헌덕왕 5년(813)에 이르러서야 겨우 부도를 해 세우고 탑비를 건립하게 된다. 그 전말을 현존한 몇 종의 비문 탑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단속사 터가 철저하게 파괴되어 부도나 탑비가 그 흔적조차 남기지 않고 있어 그 형식을 짐작할 수도 없다. 그러나 원성왕(785∼798년)의 손자이며 희강왕(836∼837년)의 아버지로 익성(翌成)대왕으로 추존된 김헌정이 직접 지은 비문에서 분명히 ‘부도를 만들어 사리를 두었다(造浮屠存舍利)’고 하였으니 우리나라에서 선문조사의 부도와 탑비 건립은 신행선사로부터 시작된 것이라 해야 할 듯하다.

그 다음 남종선맥을 최초로 이어온 이가 원적(元寂)선사 도의(道義)다. 오대(五代) 남당(南唐) 원종(元宗) 보대(保大) 10년(952) 천주(泉州) 초경사(招慶寺)의 정(靜)·균(筠) 두 선사가 편찬한 ‘조당집(祖堂集)’ 권17 설악산 진전사(陳田寺) 원적(元寂)선사조에 따르면 본래 도의선사 비문이 있었다 한다. ‘나머지 사실은 비문과 같다(餘如碑文)’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降峴面) 둔전리(屯田里)에 남아 있는 진전사 터에는 비석이 없다. 뿐만 아니라 그 비석의 탁본이나 내용 사본도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도의선사 부도라고 생각되는 <진전사지부도>(도판 4)가 남아 있어 보물 제439호로 지정되어 있을 뿐이다.

비석이 없어져서 비문의 내용을 알 수 없는 현재로서는 이 부도가 언제 세워졌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조당집’ 권17 설악산 진전사 원적선사조의 기록으로, 그가 당 덕종 건중(建中) 5년(784), 즉 선덕왕 5년 갑자에 견당사 김양공(金讓恭)을 따라 당나라로 건너가 서당(西堂) 지장(智藏, 735∼814년)의 심인(心印)을 얻고 백장(百丈) 회해(懷海, 720∼814년)의 인가를 받아 마조(馬祖) 도일(道一, 709∼788년)의 선맥을 모두 아울러 받아 가진 것을 알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이 893년에 ‘문경봉암사지증대사비문’을 지으면서 “장경(長慶, 821∼824년) 초에 이르러 도의라는 승려가 있어서 큰 뜻을 세우고 서쪽으로 배를 타고 가 서당(西堂)의 속마음을 뵙고 지혜 광명을 지장에게 배우고 돌아왔다(長慶初, 有僧道義(缺落4字) 西泛賭西堂之奧, 智光智藏而還)”는 사실을 밝혀 놓았다. 그래서 도의선사가 821년경에 귀국한 것을 알 수 있다.



잘못 기록된 도의선사 행적


그런데 운허(耘虛)대사가 편찬한 ‘불교사전’에는 이후 도의선사가 설악산에 들어가 40년간 수도하다 돌아갔다는 내용이 첨가되어 있다. 이로 말미암아 모든 인명사전에서 이 내용을 그대로 옮겨 적고 있어 필자도 의심 없이 이를 따랐었다. 그러다가 이번 기회에 부도 양식의 변화를 추적하다 보니, 그 설을 인정할 경우 844년에 세워지는 국보 제104호 <염거(廉居)화상탑>(도판 5)보다 이 <진전사지부도>가 20년 가까이 뒤지는 결과가 되어야 하고 그렇게 되면 양식 진전이 전도(顚倒)되는 불합리한 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40년 수도설이 근거 있는 얘기인지, 유관 자료를 모두 뒤지면서 확인하였으나 어디에서도 그런 내용을 찾아볼 수 없었다. 아마 당나라에 있었던 세월이 38년이니 재당 근 40년이란 구절이 사전 편찬 당시에 잘못 끼어들어 이런 결과를 나았던 것 같다.

부도 양식으로 보면 <진전사지부도>가 <염거화상부도>보다 적어도 10여 년은 앞선 것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진전사지부도>는 830년대에 세워져야 하니 흥덕왕(826∼835년) 때 건립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다.

서당 지장 문하에서 배출한 3대 동국선문조사 중의 하나로 남원 지리산 실상산문(實相山門)의 초조가 되는 홍척(洪陟, 또는 洪直)선사가 흥덕왕대에 뒤따라 들어와서 흥덕왕과 그의 아우이며 민애왕(閔哀王, 838∼839년)의 아버지인 선강(宣康)태자의 귀의를 받아 남원 지리산 기슭에 실상사를 짓고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북산의 도의와 남악의 홍척(北山義, 南岳陟)’으로 불리며 존경받았다는 지증대사 비문 내용을 보아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흥덕왕은 그 23년(828)에 바로 장보고에게 1만 군사를 빌려주어 완도에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하게 한 주인공이다. 그러니 장보고 선단을 통해 신속하게 전달되는 당나라 문화에 대한 이해가 남달랐을 것이다. 그래서 장보고 선단을 이용해 귀국한 홍척선사를 왕사로 대우할 만큼 남종선에 대한 이해가 깊었을 듯하다. 그런데 홍척선사의 사형(師兄)인 도의선사가 고령으로 이 어름에 돌아가니 왕명으로 부도와 탑비 건립을 지시하고 시호도 내리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원적선사라는 시호가 그렇게 내려진 것일 터이고 탑호도 있었을 터이나 비석이 파괴되어 그 이름이 무엇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부도는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설악산 기슭의 진전사 터에 거의 온전하게 남아 있다. 그런데 그 형식이 특이하여 이후 8각당형(八角堂形) 부도라고 하는 일반적인 부도 형식과는 사뭇 다르다.

우선 기단부가 일반 석탑 기단부와 다름이 없다. 그리고 그 위에 8각 연화대좌가 만개한 연꽃처럼 받쳐지고 그 씨방 위에 8각당집의 몸체가 8모기둥 모양으로 올려져 있다. 그 위로 8모 지붕이 부드러운 물매와 산뜻한 추녀 끝을 자랑하며 덮여 있고, 지붕마루는 뒤집어진 연꽃잎으로 장식되었는데 그 위로 모란꽃 봉오리 모양의 돌구슬 장식이 올려져 마무리되어 있다. 그 돌구슬 장식 밑둘레에는 위로 핀 연꽃잎이 죽 둘러져 있다.

이런 부도 형식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이 <진전사지부도> 하나뿐이다. 신라 석탑 양식이 통일신라 고유 양식인데 그 석탑의 기단 양식을 그대로 수용하여 그 위에 목조 8각당집을 상징하는 석조 구조물을 올려 놓았으니 다른 나라에 있을 수 없는 고유 형식이 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일반 석탑과 비슷하다는 것은 그것이 아무리 기단부라 할지라도 용납하기 어려웠던 모양이다. 그래서 844년에 돌아가는 염거화상의 부도에서는 그 스승의 부도에서 보이던 기단 처리를 일신하며 새로운 부도 형식을 창안해 놓는다.

이는 보조선사 체징이 837년에 당나라에 건너가 18주를 두루 여행하며 선지식을 만나보고 나서 ‘우리 조사께서 말씀하신 것에 더 보탤 것이 없는데 어찌 멀리 가려고 노력하겠는가(我祖師說, 無以爲加, 何勞遠適)’ 하고 840년에 장보고 선단을 따라 돌아온 뒤의 일이었다. 그러니 보조선사 체징이 당나라의 여러 조사 탑을 친견하고 와서 창안해 낸 독창적인 형식일 수도 있다.



염거화상탑의 독창미


이제 국보 제104호 <염거화상탑>의 형식이 어떻게 독창적인가에 대해 살펴보겠다. 우선 기단부를 사자좌와 연화좌를 중첩하는 방법으로 일신해 냈다. 하단은 8모로 깎아 각면에 사자를 돋을새김으로 표현해 놓았다. 사자좌임을 표방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3단의 층급받침을 통해 간격을 줄여나가다가 그 위에 다시 8모 기둥을 깎아 내었는데, 각면에는 안상(眼象) 안에 보개(寶蓋) 보주(寶珠) 꽃타래 등 7보(七寶) 무늬를 돋을새김해서 장식하였다. 여기까지가 한 돌이다.

그리고 그 위에 상단 연화좌대를 올려 놓았는데 연꽃잎을 두 겹으로 각각 16장씩 둥글게 돌려 새겨 활짝 핀 연꽃 모양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위에 딴 돌로 씨방을 8모로 깎아 다시 올려 놓았다. 8각당집의 몸체를 받치기 위해서다. 그런 다음 연목과 기와골이 분명한 목조 기와지붕을 석조로 번안하여 그 위에 덮어놓았다.

8각당집의 몸체가 한 돌이고 지붕이 또 한 돌이다. 석조적 결구의 효용성을 충분히 살리면서 목조적 8각당집의 의미를 하나도 놓치지 않았다. 8각당의 몸체는 각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우고 기둥 아래 위로는 평방(平枋) 창방(昌枋) 및 하방(下枋)을 상징하는 가로대를 끼워 목조 건축의 벽면 구성을 재현해 놓았다.

앞뒷면에는 앞문과 뒷문을 새겨 놓았는데 자물쇠와 한 쌍의 문고리가 표시되어 두 쪽 문이 닫혀 있는 모습이다. 두 문의 좌우에 해당하는 각 4면에는 사천왕이 양각으로 새겨져서 사천왕이 사리를 외호하고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키고 있다. 탑신석의 받침돌인 8각 씨방돌의 8면에도 안상을 설치하고 그 안에는 주악(奏樂) 천인을 새겨 놓았다. 음악을 연주하여 사리를 즐겁게 하려는 배려인 듯하다.

상단 연화대좌는 <진전사지부도>의 연화 받침석을 확대한 의장이라 할 수 있겠으나 하단 사자대좌는 뜻밖의 발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것들이 모두 불상의 연화대좌나 사자대좌로부터 차용한 것이니 전혀 엉뚱한 발상으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창조는 이렇게 가까이에 널려 있는 수많은 요소를 어떻게 결합하느냐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보조선사가 이런 기단부 도입을 시도하여 성공한 것은 중국 여행중에 장안의 초당사(草堂寺)에서 보았던 <구마라집사리탑>(도판 6)에서 그 발상의 단초를 얻었던 것은 아니었는지 모르겠다.

양식 기법으로 보아 당 현종 천보(742∼755년) 연간에 조성되었으리라고 생각되는 이 사리탑은 구름에 휩싸인 수미산을 상징하는 수미대좌 위에 목조 8각당집이 올려져 있고 그 위로 4각 기와 지붕이 덮여 있는 모습의 석조 번안물이다. 8각의 몸체에 4각 기와지붕이 덮여서 조화가 깨지고, 몸체에 격자창과 아래위 명창 등을 지나치게 표현하여 조잡한 느낌이 들며, 수미단의 반복된 구름장식이 지루하게 다가오지만, 8각당 부도 형식으로는 자못 참신한 의장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보조선사는 아마 이를 보고 조사인 도의선사부도 건립 당시 새로운 부도형식 창안에 고심하던 일을 기억하면서, 전광석화(電光石火; 벼락 불빛이나 부싯돌에서 일어난 불빛)처럼 부도형식에 대한 구상이 뇌리에 떠올라서 이를 기억하였다가 귀국한 다음 그 스승이 돌아가자 <염거화상탑>과 같은 독창적이고 참신한 부도 형식을 창안해냈던 것 같다.

이런 석조 8각당형 부도 형식은 통일신라 초기에 고선사지 3층석탑이나 감은사지 3층석탑에서 이루어낸 신라 석탑 형식만큼이나 획기적인 것이었다. 그래서 이후 우리나라 고유 부도 양식으로 정착되기에 이르니, 우리는 그런 현상을 보물 제273호인 곡성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大安寺寂忍禪師照輪淸淨塔)>(도판 7)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계속)



절정에 이른 탑비미술


적인선사 혜철(慧徹, 785∼861년)은 속성이 박(朴)씨로 본래 서라벌 사람이었다. 그 선대가 벼슬을 버리고 삭주(朔州) 선곡현(善谷縣; 지금의 禮安)으로 낙향한 집안에서 태어나 15세에 부석사로 출가한 분이다.

헌덕왕 6년(814) 8월에 30세로 당나라에 가서 서당 지장선사의 인가를 받고 신무왕 원년(839) 2월에 귀국하였다. 도의, 홍척에 이어 세 번째로 서당의 인가를 받아온 것이다. 이때는 장보고가 청해진 세력으로 신무왕을 등극시키는 등 장보고 세력의 절정기였으므로 당연히 장보고 선단에 의탁해서 청해진으로 귀국하였을 것이다.

여기서 적인선사는 장보고의 후원으로 건립하였을 무주관내 쌍봉사(雙峯寺)로 가서 한 해 여름을 나고 곡성 동리산(桐裏山)에 터를 잡아 대안사(大安寺)를 건립한다. 그리고 여기에 15년 가까이 머물러 살다가 경문왕 원년(861) 2월6일에 77세로 병 없이 앉아서 돌아갔다.

일찍이 문성왕(839∼857년)이 왕사의 예로 자문을 구하고 절의 주변에 살생을 금하는 당(幢)을 세우게 하였던 인연이 있었다. 그래서 경문왕은 즉위 8년(868) 6월에 비문을 짓게 하고 시호를 내려 적인(寂忍)이라 하며 탑호를 조륜청정탑(照輪淸淨塔)이라 짓게 하라는 왕명을 내린다.

이에 그 부도와 비석을 건립하게 되는데 부도는 현재까지 원형 그대로 전남 곡성군 죽곡면(竹谷面) 원달리(元達里) 태안사(泰安寺) 경내에 보존돼 있다. 비석은 비신(碑身)이 파괴된 채 귀부(龜趺; 비석을 짊어지고 있는 거북 받침)와 이수(首; 용으로 장식한 비석 머리)만 부도 곁에 남아 있던 것을 1927년에 새로 비신을 깎아 세워 재조립해 놓았는데, 이수는 광자대사비의 이수를 옮겨다 맞추어서 조화를 잃었다. 다행히 비문 내용은 화엄사에 필사본으로 남아 적인선사의 행장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은 원칙적으로 <염거화상탑> 양식을 철저하게 계승하고 있다. 사자좌를 하단으로 하고 연화좌를 상단으로 한 2중기단 위에 8각당형의 목조가옥 몸체를 올려 놓고 그 위를 연목과 기왓골 표현이 분명한 목조 기와지붕으로 덮은 구조다. 물론 석조를 번안하여 각 부재를 통돌로 깎아서 쌓아가는 축조적(築造的) 방법으로 쌓아 올린 것이다.

그런데 통돌의 배분이 <염거화상탑>과 달라졌다. 하대석·중대석·상대석을 각각 하나의 통돌로 쓰고 있어, 하대석과 중대석을 하나의 통돌로 쓰고 연화좌대와 탑신 받침석을 각각 하나의 통돌로 썼던 <염거화상탑>과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8각당형의 탑신석과 기와 지붕 모양의 옥개석이 각각 하나의 통돌인 것은 서로 같다.

네모난 지대석을 2층으로 넓게 깔고 그 위에 8모로 깎은 하대석을 여유있게 깔아 놓았다. <염거화상탑>에서는 상대석인 연화좌대보다 이 사자좌대의 폭이 좁아 안정감이 없었는데, 여기서는 사자좌대의 폭이 연화좌대의 폭보다 더욱 넓어져서 안정감을 되찾고 있다. 이것이 가장 큰 양식 진전 요소다.

그리고 8면에 사자를 돋을새김 해 입체조각처럼 높게 새기고 생동감을 극대화하여 살아 움직이듯 표현하였다(도판 8). 그러면서 각면에 한 점 군더더기 장식도 보태지 않아 가을하늘처럼 맑고 깨끗한 국면을 만들어 놓았다. 날카롭게 날을 세워 깎아 낸 8모나 층급의 모서리 표현이 산뜻한 느낌을 더해 준다.

아래쪽이 넓고 위로 갈수록 현저하게 좁아지는 상촉하관(上促下寬) 구성이 하단을 더욱 여유롭게 만드는데 날카롭게 깎은 모서리들이 이를 더욱 단단하게 느껴지게 한다. 다만 사자좌대 8각 받침돌의 8면에 각면마다 내부장식 없는 안상(眼象)이 2구씩 낮게 파여 있을 뿐이다. 그러나 사자의 돋을새김이 워낙 두드러져서 이는 거의 인식되지도 않을 정도다.

하대가 이렇게 넓고 높은 데 반해 중대의 8모 기둥은 3단의 층급받침을 한 돌에 나타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짧고 좁게 표현했다. 그리고 8모의 모서리도 하대처럼 시퍼렇게 날을 세우지 않았다. 장단(長短; 길고 짧음)과 강유(强柔; 굳세고 부드러움)의 조화를 염두에 둔 구성과 표현이다.

그랬다가 상대 연화좌대에 가서는 다시 세 겹의 연꽃잎을 둘러낼 만큼 넓고 큰 연꽃받침을 만들어 놓는데 높은 씨방까지 한돌로 처리하였다. 씨방돌은 다른 돌로 처리하였던 <염거화상탑>과 다른 면이다. 그러자니 씨방받침이 낮아져서 안상 안에 주악천을 새겨 장식하던 장식성을 살리기 어려워지자 사자좌대 받침처럼 각 면에 장식 없는 안상 2구씩만 새겨 넣었다.

사자좌대와 연화좌대를 상징하는 사자와 연화의 표현은 강조하면서 나머지 장식은 간소한 것이다. 8각당집의 몸체인 8각 탑신석도 상촉하관 구성으로 안정감 있게 보이는데, 목조 8각당집을 상징하는 기둥이나 아래위 방목(枋木) 및 앞뒷문 표시는 물론 사천왕 조각까지 <염거화상탑>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옥개석도 목조 기와지붕을 그대로 번안하여 기왓골과 당마루, 암수 막새 및 연목과 부연이 자세하게 표현됐는데 추녀 끝이 산뜻하게 들려 올라가서 고온 다습한 남방기후 풍토에 적당한 건축구조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춥고 눈 쌓이는 강원도 지방에서 기와지붕의 처마 끝을 밋밋하고 묵직하게 처리하는 것과 대조를 이루는 표현이다.

상륜부는 석탑의 상륜부처럼 앙화(仰花), 복발(覆), 보륜(寶輪), 보주(寶珠)를 설치했는데 위로 올라갈수록 폭을 줄여감으로써 경쾌하게 마감했다. 상륜부가 늘씬한 느낌을 자아내는 것은 앙화, 복발, 보륜, 보주 등의 간격이 위로 갈수록 늘어난 탓인데 기단부에서 안정감을 추구하느라 약간 답답해진 느낌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산뜻하게 들려 올라간 처마 끝과 늘씬한 상륜부가 보여주는 경쾌성은 예리하고 묵직하여 천근 무게로 눌러 놓은 듯한 기단부 하대의 사자좌 무게를 상쇄하고도 남음이 있다 하겠다.

이렇게 절제미의 극치를 보이던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 양식이 <쌍봉사철감선사탑(雙峯寺澈鑑禪師塔)>(도판 9)에 이르면 장식미의 극치를 나타내 보인다. 하단의 사자좌와 상단의 연화좌를 중대 8모기둥으로 잇던 단순한 기단부가 복잡한 장식문양으로 화려하게 꾸며진 것이다.

우선 하단 사자좌대 아래에 사자좌대보다 더 높고 넓은 운당초(雲唐草; 구름 당초 무늬라는 뜻인데 당초가 실재하는 식물이 아니므로 국화 잎새 구름 무늬라는 현실적인 이름으로 바꿔 부르겠다)무늬 받침돌이 첨가되어 사자좌대의 단순성을 파괴한다. 높은 돋을새김으로 투각(透刻; 맞뚫림 조각)기법을 연상할 만큼 입체감을 살려 구름을 국화 잎새처럼 새겨 돌렸는데 고사리 어린순처럼 끝이 말려 들어간 표현이 많다.

보통 이런 문양을 운당초로 부른다. 이는 <구마라집사리탑>(도판 6)에서 보이던 구름무늬의 도입으로 보아야 할 터이니, 이런 의장의 도입도 철감선사와 생시에 깊은 관계를 맺고 있던 장흥 보림사의 보조선사 체징의 권유에 따른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둥근 고리 모양으로 국화 잎새 구름띠를 둘러놓고 나서 그 안에 8각 띠받침을 좁게 표현하고 사자를 8면에 돋을새김하였는데, 각 모서리에는 국화 잎새 구름무늬를 기둥처럼 한 줄기씩 세워서 구획을 나눠 놓았다. 사자의 표현은 아직 생동감을 크게 잃지는 않았지만 <대안사 적인선사조륜청정탑>의 그것과 비교하면 조금은 도식화한 듯하여 이를 의식하고 새겨낸 듯한 느낌이 든다(도판 10).

여기까지 한 돌로 되어 있다. 그리고 3단의 층급받침 위에 중대석이 역시 좁고 낮게 올려 있는데 8면 모서리에는 하단의 사자좌대에서처럼 국화 잎새 구름무늬를 기둥처럼 한 줄기씩 세워 놓고 각면마다 박쥐처럼 날개를 편 가릉빈가(迦陵頻伽; 사람머리에 새의 몸을 가진 날짐승으로 그 소리가 아름답다. 극락조라고도 부름)를 새겨 넣었다. <염거화상탑>에서는 칠보를 새겨 넣었던 자리다.

그리고 홑겹 연꽃잎이 위로 피어난 연화좌대가 3단의 층급받침 위로 이어지는데 홑겹이라 높이가 아주 낮아 날렵한 느낌을 준다. 두 겹, 세 겹으로 표현했던 <염거화상탑>이나 <적인선사탑>의 연화대석과 비교하면 가장 경쾌한 연화좌대라 하겠다.

그러나 연꽃잎 표면에 만개한 연꽃 한 송이와 굴곡이 심한 꽃잎 받침을 조각하여 장식하였으므로 화려한 장식성은 앞의 두 부도에 비해서 조금도 손색이 없다. 이에 반해 그 위에 탑신 받침으로 솟아난 8각 씨방이 연화좌대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아 주객이 전도된 구성을 보여주는데, 8면에는 2중으로 안상을 깊게 파고 여러 모양으로 날갯짓하며 노래하고 있는 가릉빈가를 각면마다 높게 돋을새김해 놓았다.

<염거화상탑>에서 보이던 의장 그대로다. 그런데 안상을 깊게 파냈기 때문에 8모의 모서리가 마치 무슨 기물의 손잡이 모양으로 활시위처럼 팽팽하게 휘어진 표현을 보이게 되었다. 생동감이 분출하는 역동적인 표현이다. 복잡한 장식성으로 도식화하기 쉬운 분위기를 일순간에 생동감 넘치게 반전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 위로 탑신석을 받치도록 마련한 받침대가 다시 뒤집어 놓은 연꽃잎 장식으로 꾸며지며 이 상판 연화좌대는 마무리된다. 그런데 중대석 받침돌로부터 상단 탑신석 받침돌에 이르기까지 전체가 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

8각당집을 상징하는 탑신석은 8면을 둥근 기둥으로 나누었는데 기둥머리포와 공포(包)까지 표현해 놓았다. 앞뒤로 문이 나 있어 자물쇠가 표시되고 그 좌우로 사천왕이 각면마다 돋을새김되어 있으며(도판 11), 남은 2개의 벽면도 공면으로 남겨두지 않고 한 쌍씩의 비천상을 돋을새김해 각면을 빈틈없이 장식하고 있다. 마치 인도 조각에서 보이는 화면충전(畵面充塡; 화면을 가득 채움) 양식의 영향을 받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이 탑신석이 한 돌이고 그 위에 덮은 목조기와 지붕 모양의 옥개석이 또 한 돌이다. 그래서 <쌍봉사 철감선사탑>은 전체적으로 네 덩어리의 돌을 쌓아서 만들어낸 셈이다. 옥개석에는 역시 목조 기와지붕의 기왓골과 당마루, 암막새, 수막새 및 연목과 부연 등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다만 연목 깊숙이 천장을 상징하는 곳에는 8각당집의 보머리가 8면을 나누어 놓으면서 보개, 보당, 보주 등 칠보무늬가 낮은 돋을새김으로 장식되어 있다.

부도가 이와 같이 그 양식을 정비해 나가니 그에 부수되는 부도비(浮屠碑; 사리탑비 혹은 탑비라고도 부름)도 자연히 독특한 양식으로 발전해 나갈 수밖에 없었다. 가장 초기에 세웠었다는 신행선사비가 어떤 모양을 하였는지 알 수 없고 진전사지 도의선사비나 흥법사 염거화상비 역시 흔적조차 없어 그 양식을 짐작하기 어렵다.

그런데 대안사 적인선사사리탑비는 귀부와 이수가 남아 있어 그 비의 형식을 대강 짐작할 수 있다. 귀부는 기본적으로 태종무열왕의 귀부와 같은 형태에서 양식 진전한 것을 알 수 있는데 거북머리가 용머리처럼 바뀌어 있다. 거북 등의 귀갑 무늬도 상당히 도식화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오른발을 뒤집고 있다(도판 12).

이수 역시 태종무열왕비의 그것으로부터 비롯된 듯하나 용들이 구름 속에 잠긴 듯 표현되었고 정면 상단에는 여의주(如意珠) 앞에 금시조(金翅鳥; 迦樓羅라고도 하며 용을 잡아먹는 새)를 표현하여 용을 제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정면 중앙의 금시조 위와 양쪽 가장자리 용머리 위 세 곳에는 여의주가 불꽃(火炎)을 뿜어내는 화염주(火炎珠) 형태를 표현해 놓았다(도판 13).

이런 탑비 양식은 보물 제170호 <쌍봉사철감선사탑비>(도판 14)에 그대로 이어지는데 이수에서 금시조의 표현이 사라져 용들이 활기를 되찾은 것이 다르다. 여전히 거북의 오른발은 뒤집어 표현하였으며 화염주는 귀꽃 모양으로 화염을 과장해 놓았다.

그렇다면 어째서 경문왕(861∼874년) 시기에 전라도 서남해안 지역인 곡성 대안사나 화순 쌍봉사에서 이렇게 찬란한 부도 미술이 피어날 수 있었을까. 그 이유를 당시 정세와 연결해 가면서 규명해 본다.

   (계속)



철감선사 탑비 건립 시말


쌍봉사가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그러나 한림랑(翰林郞) 최하(崔賀)가 지은 ‘무주동리산대안사적인선사비송병서(武州桐裏山大安寺寂忍禪師碑頌幷序, 872년)’에 따르면 헌덕왕 6년(814)에 당나라에 건너가 남종선의 시조인 육조(六祖) 혜능선사(638∼713년)의 법증손(法曾孫) 서당(西堂) 지장(智藏)선사(735∼814년)에게 인가(印可)를 받고 돌아와 동리산문(桐裏山門)의 개산조(開山祖)가 된 적인(寂忍)선사 혜철(慧徹 혹은 惠哲, 785∼861년)이 신무왕 원년(839) 2월에 귀국하여 최초로 하안거(夏安居)를 지낸 곳이 이 무주(武州) 관내 쌍봉사라 하였으니 쌍봉사가 늦어도 839년 이전에 창건되어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그 후 철감(澈鑑)선사 도윤(道允, 798∼868년)이 이곳에 주석하며 일문(一門)을 개설하여 쌍봉산문의 이름을 만방에 떨치게 되니 최치원이 지은 봉암사 ‘대당신라국고봉암산사교시지증대사적조지탑비명병서(大唐新羅國故鳳巖山寺敎諡智證大師寂照之塔碑銘幷序, 924년)’에서 쌍봉 운(雙峰 雲)이라 한 것도 바로 이 철감선사 도윤(道允)의 윤(允)을 동음(同音)으로 표기한 것일 터이다.

철감선사는 만년에 이곳에서 주석하다가 열반한 듯 그 부도인 국보 제57호 <쌍봉사 철감선사탑>과 탑비인 보물 제170호 <쌍봉사 철감선사탑비>가 남아 있으나 비신(碑身)이 망실되어 선사의 행장과 절의 사적은 자세히 알 수 없게 되었다.

다행히 이 비문에서 뽑아냈다고 생각되는 내용이 현존 최고(最古)의 선종사서(禪宗史書)인 ‘조당집(祖堂集)’ 권17에 수록되어 있고 철감선사의 수제자로 사자산문(師子山門)을 개설한 징효(澄曉)대사 절중(折中, 826∼900년)의 탑비가 남아 있다. 그래서 이 두 가지 기록을 토대로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장보고전(張保皐傳) 등 당시 기록들을 종합해 보면 철감선사의 행장과 쌍봉사의 현황을 대강 짐작할 수 있으니 이를 약술하겠다.

철감선사는 속성이 박씨(朴氏)이고 한주(漢州) 휴암인(巖人)이라 하였으니 현재 황해도 봉산 출신이었다. 누대 호족으로 조부와 부친이 고을에서 벼슬살이를 하였다 함은 그의 신분이 육두품 이하의 향족(鄕族)이었음을 나타낸다. 어머니는 고씨(高氏)이고 16개월 만에 선사를 출산하였다 한다.

18세 되는 헌덕왕 7년(815)에 화엄 10찰(刹) 중의 하나인 김제 귀신사(鬼神寺, 歸信寺)로 출가하여 10년 동안 화엄학을 익히고 나서 28세 때인 헌덕왕 17년(825)에는 사신 행차의 배를 얻어 타고 당나라로 건너간다. 이곳에서 마조 도일(馬祖 道一, 709∼788년)의 제자로 육조대사의 법증손에 해당하는 지주(池州) 남전 보원(南泉 普願, 748∼834년)선사를 찾아 뵙고 인가를 받는데 남전선사는 “우리 종(宗)의 법인(法印)이 동국으로 돌아가는구나(吾宗法印, 歸東國矣)” 라고 탄식했다 한다.

철감선사는 스승 남전선사가 열반한(834년) 이후에도 13년 동안이나 당나라에 더 머물러 있다가, 당(唐) 무종(武宗)이 회창(會昌) 5년(845) 8월에 폐불을 단행하자 이를 지켜본 다음 회창 7년, 즉 문성왕 9년(847) 4월에 50세 나이로 귀국선에 오른다. 무종이 도사 조귀진(趙歸眞)의 망언을 듣고 불사(佛寺) 4만여 개소를 헐고 승니 26만여 명을 환속시키는 소위 회창법난(會昌法難)을 일으키는데, 그 다음해 3월에 무종이 갑자기 돌아가고 4월에는 조귀진이 사형당하며 복불령이 내려지는 생생한 인과 현장을 목도한 뒤의 일이었다.

이해는 바로 청해진 대사 장보고가 청해진에서 반란을 꾀하다가 부하 장수인 염장(閻長)에게 속아서 살해당한 지 만 1년이 되는 때였다. 철감선사가 당나라에 건너간 지 3년 뒤인 흥덕왕 3년(828)에 장보고는 청해진을 설치하여 제해권을 장악하기 시작하고 장보고가 살해된 지 1년 뒤에 철감선사가 돌연 귀국하는 것은 두 사람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을 추측하게 해준다.

더구나 장보고의 득세기인 희강왕 2년(837)에 당에 건너갔다가 그 조사인 도의선사의 가르침과 중국 선사들의 가르침이 다름이 없다 하여 3년 만에 귀국하는 가지산문(迦智山門) 3대 조사 보조선사 체징이 장차 그 개산지(開山地)를 청해진 부근 장흥(長興) 보림사로 한다든가, 역시 장보고가 한창일 적인 신무왕 원년(839) 2월에 귀국하는 동리산문 개산조(開山祖) 적인선사 혜철이 귀국하여 첫 하안거지(夏安居地)로 무주관내 쌍봉사를 택한 것은 모두 청해진 세력과의 깊은 관계를 시사하는 사실들이다.

이처럼 청해진 세력과 도당 유학승 세력인 선사들과는 밀착된 관계가 유지되고 있었으니 철감선사도 비록 장보고가 살해된 뒤이기는 하지만 당연히 장보고가 키워 놓은 청해진 선단에 의해 귀국길에 올랐을 것이다. 그렇다면 응당 청해진 쪽으로 들어오다 영산강 하구인 영암 구림이나 이를 거슬러 올라 나주 회진(會津)에서 내려 부근 선종 사찰에 우선 주석하였을 터인데, 혜철선사가 머물렀다는 쌍봉사에 머물렀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쌍봉사는 나주에서도 영암에서도 완도나 장흥에서도 광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권1 신라본기 민애왕(閔哀王) 원년조에 따르면 장보고가 신무왕 김우징(金祐徵)의 청으로 민애왕을 축출하기 위해 5000병력으로 경주로 진격할 때 청해진에서 무주(지금 광주)로 진군하자 무주의 관군(官軍)이 쌍봉사 부근 철야현(鐵冶縣; 지금 남평면)에 나와 접전했다는 기록이 있으니 쌍봉사가 남도에서 해륙을 잇는 지리적 요충지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철감선사는 이 쌍봉사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염장 같은 배신자가 청해진을 좌지우지하는 것이 비위에 맞지 않았을는지도 모른다. 곧바로 금강산으로 들어가 장담사(長潭寺)에 주석하여 제자를 기르기 시작한다. 뒷날 사자산문(師子山門)을 개산(開山)하는 징효대사 절중(折中)도 이곳에서 입실(入室)한다.



청해진 세력의 정신적 지주


그런데 ‘삼국사기’ 신라본기에서는 문성왕 17년(855) “춘(春) 정월(正月)에 국왕이 사신을 보내 서남 백성을 어루만진다”고 하였다. 철감선사가 58세 되는 해였다. 서남이라면 청해진 세력이 있는 무주 일대이니 이곳에서 어떤 소요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기록이다. 아마 장보고를 살해한 배반자 염장 일파가 장보고 친위 세력에게 제거되는 정세변화가 있었던 모양이다.

이에 배반자를 두둔할 필요가 없는 신라 조정에서는 사신을 보내 이를 무문(撫問; 어루만지며 고통을 물어봄)하는 형식으로 무마하려 했던 듯한데, 이를 계기로 장보고와 관계가 깊었던 선사들이 차례로 이 지역으로 내려와 선문을 개설하여 선지(禪旨)를 전파함으로써 청해진 세력의 정신적 지주 노릇을 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이는 이곳의 안정을 희구하던 신라조정에서도 바라던 바라 이곳의 개방적 진취적 분위기를 감안하여 청해진 세력 및 선종 세력과 깊은 유대 관계를 맺고 있는 도당(渡唐) 유학생(留學生) 출신으로 지방관을 삼아 이들로 하여금 왕명을 받들고 선사들을 초빙하는 형식으로 각처의 선사들을 집결시켜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를 후원했던 모양이다. 가지산문의 개산조(開山祖)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 체징의 탑비에서 대강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헌안왕 3년(859)에 보조선사가 무주(武州) 황학난야(黃壑蘭若)로 이거(移居)해오자 국왕은 유학생 출신인 장사현(長沙縣) 부수(副守) 김언경을 보내 입경(入京)을 청하지만 보조선사가 사양하자, 다시 영암군(靈岩郡) 승정(僧正) 연훈(連訓)법사와 봉신(奉宸) 풍선(馮瑄) 등으로 하여금 가지산사(迦智山寺)로 이거할 것을 청하는 왕지(王旨)를 전하게 하고 이를 관력(官力)으로 후원하게 하였다는 내용이 이를 증명한다.

철감선사도 바로 이런 과정을 거쳐 쌍봉사에 주석하게 되었을 것이다. 나이가 보조선사보다 6세나 연장이라서 장보고와의 인연이 더 깊었을 철감선사이니, 아마 서남백성을 무문하는 문성왕 17년(855)경에 보조선사가 가지산에 터를 잡는 형식을 거치며 쌍봉사에 주석하였을 듯하다.

이후 철감선사는 10여 년 동안 쌍봉사에 주석하며 착실히 문도를 길러내고 주변 지역을 교화하다가 경문왕 8년(868) 4월18일에 홀연 열반에 드니, 문도들은 조정에 시호를 내리고 묘탑과 묘비를 세워주도록 주청하여 허락을 얻어냄으로써 이와 같이 호화찬란한 부도와 탑비를 건립해낼 수 있었을 것이다.

적인선사탑과 비석이 적인선사의 열반(861년) 후 8년 만인 경문왕 8년(868)에 세워진 것으로 미루어보아 철감선사 탑비도 철감선사 열반 후 5∼6년은 지나서야 이루어진 듯하니 빨라야 경문왕 12년(872)경에 세워졌을 듯하다.

그런데 경문왕 8년에 세워진 <대안사 적인선사조륜청정탑>이 절제미의 극치를 보이고 그 직후에 건립되었을 <쌍봉사 철감선사탑>이 장식미의 극치를 보이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이는 경문왕 시대(861∼874년)가 신라 하대에 있어서 일시 호황을 누리던 중흥기였기 때문이다. 원성왕(785∼798년)의 왕위찬탈 이후 태종무열왕계의 진골 왕손들로부터 끊임없이 도전받아왔던 왕권의 정통성 문제가 신무왕(神武王, 839)과 문성왕(文聖王, 839∼856년)이 등극하면서 완전히 해소되어 그 후 임금들은 떳떳이 군림할 수 있었던 것이 그 첫째 이유다. 태종 무열왕의 9세손이며 명주군왕 김주원(金周元)의 증손자인 김양(金陽, 808∼857년)이 신무왕을 옹립하고 문성왕을 사위로 삼아 왕권의 정통성을 인정해준 것이다. 그래서 문성왕은 김양이 돌아가자 서불한을 추증하고 김유신의 전례에 따라 장례를 성대히 지내고 태종무열왕릉 곁에 배장(配葬)하는 특전을 베풀었다.

거기다 경문왕은 신무왕의 외손자이자 문성왕의 생질이며 헌안왕의 맏사위로 왕위계승에 있어서 어떤 흠집도 없을 뿐만 아니라 15세에 이미 국선(國仙)이 되어 그 총명과 덕망이 천하에 알려져 있었으므로 그의 통치를 만족해하지 않는 백성은 없었다.

그런 위에 왕실과 장보고 세력이 화해하고 조정에서 장보고 세력의 해상활동을 묵인하기에 이르니, 당시 청해진의 잔존 세력들은 제해권을 장악하여 일본과 중국해안을 마음대로 넘나들며 무역과 약탈을 일삼았던 듯하다.

그래서 경문왕대만 하더라도 재위 14년 동안 일본에서 신라구(新羅寇)에 대한 기록을 남긴 것만 무려 14회에 이른다. 그러니 청해진 세력의 외호를 받고 있던 무진주 일대의 선문에서 그들의 정신적 지도자인 선사들의 부도와 탑비를 이와 같이 호화찬란하게 건립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