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gnnews.co.kr/index.html?section=KNEJ&flag=detail&code=116923&cate1=KNE&cate2=KNEJ
경남일보 홈 >>지난 연재기사-성재권의 풀어쓰는 풍수
84.九星法 개요(상)
구성(九星)의 기본인 팔괘(八卦)의 절반인 건(乾) 곤(坤) 감(坎) 이(離) 등 네 개의 괘(卦)는 우리나라 태극기에 들어있어 친근감이 있다. 이처럼 태극기의 일부분이 팔괘로 이뤄져 있지만 구성을 알기 쉽게 해설한 문헌은 없다.
풍수에서는 용과 수, 좌와 수, 향과 수를 볼 때, 그리고 나와 관계 되는 일진의 길흉을 볼 때 구성을 사용한다. 구성은 팔괘 모양의 변괘(變卦)때 마다 성신을 붙여 길흉을 논하는 것이다. 변괘 대상은 △건삼련(乾三連 : 긴작대기 3줄) △곤삼절(坤三絶 : 끊긴 작대기 3줄) △감중련(坎中連 : 가운데 긴작대기 1줄 양쪽에 끊긴작대기 2줄) △이허중(離虛中 : 가운데 끊긴작대기 1줄 양쪽에 긴작대기 2줄) △태상절(兌上絶 : 위에 끊긴작대기 1줄 그 아래에 긴작대기 2줄) △진하련(震下連 : 아래에 긴작대기 1줄 그 위에 끊긴작대기 2줄) △간상련(艮上連 : 위에 긴작대기 1줄 그 아래에 끊긴작대기 2줄) △손하절(巽下絶 : 아래에 끊긴작대기 1줄 그 위에 긴작대기 2줄)등 8개이다. 효(작대기)를 보면 건삼련은 효 3개가 이어졌다고 건삼연, 곤삼절은 효 3개가 끊겼다고 곤삼절, 감중연은 효 3개 중 가운데 것만 이어졌다고 감중연이라 한다. 다만 이허중은 효 3개 중 가운데 것만 끊겼다고 이중절로 하지 않고 이허중이라고 한다. 다른 것은 모두 ‘연’ ‘절’로 일관성이 있는데 이것만은 허를 집어넣어 이허중이라 한다.
태상절은 효 3개 중 위의 것만 끊겼다고 태상절, 진하련은 효 3개 중 아래 것만 이어졌다고 진하련, 간상련은 효 3개 중 위의 것만 이어졌다고 간상연, 손하절은 효 3개 중 아래 것만 끊겼다고 손하절이라 한다. 팔괘에도 음양이 있다. 음양의 구분은 효(爻 작대기)의 모양에 따라 구분되는데 가운데 효를 지웠을 때 아래 위 모양이 같으면 양, 다르면 음으로 분류 된다. 따라서 건삼련 곤삼절 감중련 이허중은 중간 효를 지워도 아래 위모양이 같아 양이 된다. 태상절 진하련 간상련 손하절은 중간 효를 지웠을 때 아래 위 모양이 달라 음이 된다. 상 중 하로 구분 된 한 개의 효를 단위로 나눠진 음양은 다음과 같다. 끊긴 것은 음, 이어진 것은 양이다. 모든 괘의 효는 음양을 불문하고 세 개의 효로써 이뤄져 있다.
한편 건 곤 간 손 감 이 진 태는 괘의 명칭이다. 건삼연 곤삼절 간상연 손하절 감중연 이허중 진하연 태상절은 효의 모양을 문자화 한 것이다. 즉 <괘명칭+효모양=괘단어>이다. 팔괘의 방위는 감 북쪽, 이 남쪽, 진 동쪽, 태 서쪽, 건 북서쪽, 곤 남서쪽, 간 북동쪽, 손 남서쪽이다. 구성의 사용목적은 이러한 용에는 어떤 향이 좋은가? 올해는 어떤 날이 나에게 좋은가? 나에게는 어떤 집의 좌가 좋고 어떤 방위로 대문이 나야 좋은가? 등을 보는 것이다.
/ 경상대 · 금오공대 · 대구한의대 풍수학 외래교수
http://www.gnnews.co.kr/index.html?section=KNEJ&flag=detail&code=117452&cate1=KNE&cate2=KNEJ
경남일보 홈 >>지난 연재기사-성재권의 풀어쓰는 풍수
85.九星法 개요(하)
풍수의 이기론을 마스트 하려면 구성법을 익혀야 한다. 따라서 복잡한 구성(九星)체계를 나름대로 단순화시켜 어떤 식이든 기억해야 한다. 팔괘(八卦)효형(爻形)을 쉽게 기억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무지(拇指)와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식지(食指) 중지(中指) 무명지(無名指)등 3손가락으로 괘를 만들어 기억하기도 하고 글자모양으로 기억하기도 한다.
외울 필요 없이 글자만 보면 팔괘의 모양이 떠오르고 괘의 음을 듣기만 해도 팔괘의 모양이 연상돼야 한다. 팔괘의 모양을 바로 알아야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건삼연 곤삼절 간상연 태상절 감중련 이허중 진하련 손하절 식 암기는 외국어 단어 암기식이다. 학인들은 이 분야만큼은 외국어 공부하듯 팔괘를 암기해서 변괘를 시킬 때는 한 박자 늦은 사고력 때문에 실무에서 해독이 늦다. 빨리 알아야 될 필요성이야 없지만 구성의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필요는 있다. "저런 괘는 세 글자로 된 단어가 뭐더라" "저 괘는 두 글자로 된 팔개성신은 뭐더라"는 식의 불필요한 학습과정을 줄이자는 것이다.
변괘의 순번에서 구성의 의미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바로 구성의 답을 알고 그 의미와 관계가 있는 괘명은 나중에 알아도 되고 몰라도 괜찮다. 왜냐하면 변괘의 순번에 이미 구성의 의미가 정해져 있고 괘명은 별 의미가 없다. 글3자짜리 단어 여덟 개를 외우는 것보다 팔괘의 괘 글자만 보거나 괘 글자의 음만 들어도 효의 모양이 떠올라야 한다.
건삼연 태상절 진하연 곤삼절 감중연 손하절 간상연 이허중 식으로 외우면 언제든지 3글자로 된 단어를 통째로 들먹이지 않으면 변괘를 진행할 수 없어 현장에서 손가락으로 괘를 짚거나 변괘에 따른 길격을 끌어내지 못한다. 다소 쉽게 구성법을 익히는 문제를 다루겠지만 여기서는 뜻만 이해하기로 한다.
이같은 괘모양이 완전히 이해될 때 변괘를 익혀야 된다. 즉 어떤 괘든지 한번 변하면 일상파군(一上破軍), 두번 변하면 이중록존(二中祿存), 세번 변하면 삼하거문(三下巨門), 네번 변하면 사중탐랑(四中貪狼), 다섯 번 변하면 오상문곡(五上文曲), 여섯 번 변하면 육중염정(六中廉貞), 일곱 번 변하면 칠하무곡(七下武曲), 여덟 번 변하면 팔중보필(八中輔弼)이 된다. 변괘의 순번별 구성의 의미는 길성의 경우 거문 탐랑 무곡 파군 녹존 염정 등이다.
구성법은 괘를 정하고 변괘 시켜서 그 결과물을 갖고 나와의 상관관계, 용과 수, 좌와 수, 향과 수의 상관관계 등을 검증해 길흉을 따져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지지와 4유8간을 팔괘에 배속시킨 이른바 납갑법(건갑 곤을 간병 손신 신감진계 인이술임 해진미경 사태축정)을 숙지해야 한다.
/ 경상대 · 금오공대 · 대구한의대 풍수학 외래교수
http://blog.naver.com/bhjang3/140064736148
◈ 주역팔괘 간략 해설. 주역 학술 자료실
◈ 周易八卦 간략 해설 ◈
1. ▶ 일건천 ( 一乾天).
북서(北西)쪽은 오행(五行)으로는 금(金)이며 지지(地支)로는 술해(戌亥)로서 계절로는 가을에 해당한다.
태양의 에너지가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기로서 권위와 명성을 의미한다.
달로는 9-10月로서 시간은 오후 9時에서 11時 까지. 숫자로는 4와 9.
2. ▶ 이태택 (二兌澤)
서(西)쪽은 오행(五行)으로는 금(金)이고
천간(天干)에서는 경신(庚辛)이며 지지(地支)에서는유(酉)에 해당 한다.
계절로는 가을이며 달로는 8月이고 시간은 오후 5時부터 7時까지를말한다. 숫자로는 4, 9이며 8괘에서는 태(兌)로서 인체에서는 폐에 해당하며
인물로는 소녀금(少女金)이고 막내 딸이다.
3. ▶ 삼리화 (三離火).
색체는 빨강색이며 숫자로는 2, 7을 상징하며 8괘에서는 이괘(離卦)이고
인물로는 중녀화(中女火)로서 둘째딸이다.
계절로는 화절기(火節期)에 속한다.
자연의 현상에서는 모든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고 활동하는 전성기로서
성장과 발전을 의미한다.
4. ▶ 사진뢰 (四震雷)
동(東)쪽은 오행에서는 목(木)에 해당된다.
천간(天干)에서는 갑을(甲乙)에 해당하며
지지(地支)에서는 묘(卯)에 해당된다.
계절로는 봄이며 달로는 2月이다. 숫자로는 3, 8.
5. ▶ 오손풍 (五巽風).
8괘에서는 손괘(巽卦)이다. 인맥에서는 장녀(長女)로서 맞딸이다.
인체에서는 간과 쓸개에 해당 된다.
자연의 현상으로는 결혼과 연애 신용과 학력, 출입, 여행의 의미.
6. ▶ 육감수 (六坎水)
8괘(卦)에서는 감괘(坎卦)이며 인물로는 중남(中男)으로서 둘째 아들이다.
달로는 12月이고, 시간으로는 11時부터 새벽 2時 까지를 말한다.
색채로는 흑색이며 맞은 짠맛을 나타내며 숫자로는 1, 6 수(數)이다.
7. ▶ 칠간산 (七艮山) .
색채로는 황색이며 맛은 단맛을 나타낸다.
숫자로는 5, 10이며 인맥으로는 소남(少男)으로서 막내 아들이다.
8. ▶ 팔곤지 (八坤地).
노모토(老母土) 곤삼절(坤三絶)
계절로는 늦여름과 초가을을 의미하며 달로는 6月, 7月이며
시간으로는 오 후 2時부터5時까지를 말한다.
숫자는 5, 10이다. 8괘에서는 곤괘(坤卦)이며
인맥으로는 어머니, 할머니에 해당된다.
◈ 주역 팔괘의 해당 글자에 푸른색 표시를 함.
1. 일건천(一乾天)은
건삼연(乾三連) : 건괘는 3개의 효가 모두 연결(三連)되어 있다.
그래서 건삼연(乾三連)이라 한다.
가족으로는 모두 양이므로 아버지를 형상한다.
2. 이태택(二兌澤)은
태상절(兌上絶) : 태괘는 제일 위 효가 끊어(上絶)져 있다.
그래서 태상절(兌上絶) 이라 한다.
가족으로는세 번째가 음이라소녀(少女)를 형상한다.
3. 삼리화(三離火)는
이허중(離虛中) : 이괘는 빈 곳이 가운데 효로 허(虛中)하다.
그래서 이허중(離虛中) 이라 한다.
가족으로는가운데가 음이라중녀(中女)를 형상한다.
4. 사진뢰(四震雷)는
진하련(震下連) : 진괘는 제일 아래 효만 연결(下連)되어 있다.
그래서 진하련(震下連) 이라 한다.
가족으로는 처음이 양이므로 長男, 큰아들을 형상한다.
5. 오손풍(五巽風)은
손하절(巽下絶) : 손괘는 제일 아래 효가 끊어져(下絶) 있다.
그래서 손하절(巽下絶) 이라 한다.
가족으로는 처음이 음이므로 長女, 큰딸을 형상 한다.
6. 육감수(六坎水)는
감중연(坎中連) : 감괘는 가운데 효만 연결(中連)되어 있다.
그래서 감중연(坎中連) 이라 한다.
가족으로는 가운데가 양이라중남(中男)을 형상한다.
7. 칠간산(七艮山)은
간상련(艮上連) : 간괘는 제일 위 효만 연결(上連)되어 있다.
그래서 간상련(艮上連) 이라 한다.
가족으로는 세 번째가 양이므로소남(少男) 형상 한다.
8. 팔곤지(八坤地)는
곤삼절(坤三絶) : 곤괘는 3개의 효 모두 끊어져(三絶) 있다.
그래서 곤삼절(坤三絶) 이라 한다.
가족으로는 모두 음이므로 어머니를 형상한다.
◈ 태극기에 있는 팔괘는
건(乾)괘 - / 곤(坤)괘 -
감(坎)괘 - / 리(離)괘 -
'<♣ 학술자료 ♣> > 기타 관련자료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眞道人 慧月禪師 (1862∼1927) (0) | 2011.08.24 |
---|---|
실천없는 서원보다 동전하나 보시가 공덕 /월성스님<정중선원 선원장> (0) | 2011.08.14 |
義湘大師의 後身 <전북 장수 성관사 대각선원장> 월성 스님 (0) | 2011.08.14 |
隨喜功德歌 - 均如, (0) | 2011.08.14 |
37助道品 (0) | 2011.03.07 |
少林寺와 達磨祖師및 二祖에서 六祖까지 (0) | 2010.11.21 |
念佛要門 - 보조국사집 (0) | 2010.11.21 |
염불삼매 - 龍樹보살 (0) | 2010.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