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취타 大吹打 | |||||
▒ |
지정번호 |
: |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 ||
▒ |
지정연월일 |
: |
1971년 6월 10일 | ||
▒ | 보 유 자 |
: |
정재국(鄭在國), 피리정악 및 대취타보존회 | ||
▒ | 전 승 지 |
: |
서울특별시 | ||
대취타는 호적(胡笛)·나발(喇吹)·소라〔螺角〕·대평소(大平簫) 등 관악기와 징·북(龍鼓)·바라·장고 같은 타악기로 편성되어 왕의 거둥이나 귀인의 행차, 그리고 군대행진에서 선전관청(宣傳官廳)과 영문(營門)에 소속된 취타수(吹打手)에 의하여 연주되던 행진곡풍 군례악(軍禮樂)이다.
아명(雅名)으로는 무령지곡(武寧之曲), 속명으로는 대취타, 세칭 구군악(舊軍樂)이라고도 한다.
곧 불고 치는 군악기에 북·장구·피리·젓대·해금이 취타에 합쳐진 것을 대취타라 한다. 순수한 군악기 만의 취주(吹奏)를 취타라 하고, 피리·젓대·해금 같은 일반악기의 취주를 세악(細樂)이라 하였다.
취타의 주자(奏者)를 취고수(吹鼓手) 또는 취악내취(吹樂內吹)라 하며, 세악의 주자는 세악수(細樂手) 또는 세악내취(細樂內吹)라 하였다.
이 곡은 모두 19각 반각으로 되어 있는데, 제7장 끝에서 제1장 3박으로 반복되는 도드리〔還入〕형식으로 되어 있다.
취타수는 작우(雀羽)가 꽂힌 초립을 쓰고 누른 색의 천릭(天翼)에 남전대(藍纏帶)를 띠고 미투리를 신는다.
고려시대에는 궁중의식과 군사행진시에 고취악이 사용되었음은 ≪고려사≫ 악지(樂志) 용고취악절도(用鼓吹樂節度)에 기술되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선전관청에 대취타가 있었고 오영문(五營門)과 각 지방의 감영(監營)·병영(兵營)·수영(水營) 등에도 각각 취타수가 있었으며 각 고을에는 소취타(小吹打)를 두었다.
|
'<♣ 문화의 향기 ♣> > ♧ 문화와 예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한민국 국보,보물 / 보물 제1630호, 숙종어필 칠언시 (0) | 2011.09.13 |
---|---|
高麗佛畵 모음선 (0) | 2010.11.12 |
[스크랩] 블로그로 보는 전시-고려불화 대전 (0) | 2010.11.12 |
澗松미술관 - 澗松文華 (0) | 2010.09.21 |
적의(翟衣) (0) | 2010.05.06 |
[스크랩] 진설법 (0) | 2009.11.12 |
도정 권상호의 먹울림 <서예 * 문인화 * 전각> 등 소개싸이트 (0) | 2009.10.25 |
서예용어 * 서체 * 사군자그리기 등등소개 (0) | 2009.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