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게실 ♣>/건강

3. 경락 팔괘 / 5. 오행 육경

화엄행 2009. 8. 23. 07:02

http://www.saam.net/saamacu/revolution/rev3-1.htm

 

3. 경락 팔괘

1.

  "舍岩道人針灸要訣原序" 보기로 하겠습니다.

  1・6, 2・7, 3・8, 4・9란 수가 나와 있는데 이것을 相生圖라고 합니다. 그리고 九宮數라는 것이 있는데 가운데에 5자를 집어 넣고 1・6, 2・7, 3・8, 4・9를 좌회전해서 가만히 돌아가보면 1・6은 水, 2・7은 水克火니까 火, 4・9는 火克金에서 金, 3・8은 金克木에서 木이 됩니다. 

  5가 가운데 들어가서 1과 6이 어째서 외수가 되느냐 하는 것을 천천히 깊이 연구해 보아야 합니다. 

  하여간 1・6, 2・7, 3・8, 4・9가 거꾸로 돌아가면, 모두 합해서 15가 되는 희한한 모양이 생기게 되지요. 그림 2에서 우측으로 돌아갈 때는 火生土, 火와 金사이는 右上方 虛하게 되고, 洛書의 그림(그림4)은 水, 火, 金, 木, 土니까 左下方이 虛하게 됩니다. 그러니 그림을 그려보면 바퀴가 1/4정도 잘려진 것처럼 됩니다.

 

 

 

              

 

  아무튼 이 상생도, 상극도 안에 천지의 이치가 다 들어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저의 짧은 견해와 짧은 지혜로 이것을 다 설명드릴 수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앞에서 이야기한 좌회전, 우회전하는 의미를 깊이 음미하셔서 어떻게 회전을 하는 것인지 눈에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일단은 보지 않고 그릴 수 있을 만큼 河圖, 洛書, 九宮數를 익혀 놓으면 큰 이득이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들이나 저에게 필요한 공부를 하는 데 있어서 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周易" 64괘를 다 공부하는 '窮理法'과 저에게 주역을 가르쳐 주셨던 선생님의 말씀대로 河圖, 洛書나 八卦圖 하나만 걸어 놓고 명상을 하는 '盡性法'이 그것입니다. 지구의를 갖고 음양을 설명하는 것보다는 덜 입체적일지라도 이러한 도표 그림은 어떤 이론을 약간 입체화시킨 것입니다. 진성법이란 참선법과 유사한 방법(몰록 깨닫는 방법)이며, 궁리법이란 수학적으로 공부하는 것과 같습니다. "醫學入門", "傷寒論", "本草學", "內經" 이런 걸 열심히 보며 공부하는 것이 궁리법입니다. 저는 어느 방법이 옳다고 주장하지는 않으나 궁리법을 일반적으로 많이 하고 있으니까 궁리법도 다소 얘기는 하지만, 진성법 쪽을 본체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삼습니다. 

  이상의 도표에 대해서 제가 설명을 잘 하지 않습니다. 제가 잘 모르기도 하거니와 안다고 하더라도 설명할 수 없고, 여러분 또한 의미를 깨달았더라도 그 깨달음이 말로 되어질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불가피하게 이렇게 도표화시켜 놓은 것이겠지요. 황제의 이야기에 이런 것이 있습니다. 

  황제가 그의 제자와 대신을 모아 놓고, "나는 알았고 얻었는데 너희에게 이야기 해 줄 수가 없구나"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이야기를 할 수가 없지요. 말로 할 수 있다면 그건 도가 아닙니다. 성인이 형상으로 표현한 것은 말로 나타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이 도표는 엄청난 창조력에 의해서 그려진 상징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도 이것을 가지고 명상자료로 삼으세요. 

  여러분들이 명상을 할 수 있는 伏羲八卦方位圖를 하나 더 소개해 드립니다. 

一 乾天, 二 兌澤, 三 離火, 四 震雷, 五 巽風, 六 坎水, 七 艮山, 八 坤地를 우에서 좌로 나가는 평면적 관찰보다 이 伏羲八卦圖에서는 다소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좌로 一 乾天, 二 兌澤, 三 離火, 四 震雷까지 반원을 그리고, 우로 五 巽風, 六 坎水, 七 艮山, 八 坤地를 그리면 태극마크 비슷하게 되는데 8자를 그리면서 돌아가지 않습니까? 옛날에 제갈공명이 적들로 하여금 밤새도록 미로를 헤매게 한 것도 八卦진법에 해당하며 요즘 쿵후에도 八卦진법이 있습니다. 이 八卦가 무엇을 뜻하는지 명상해 보세요. 

           

 

  그림 6은 제가 만든 그림입니다. 여기에 남자니 여자니 하는 것은 아주 쉬운 얘기일 뿐아니라 원이나 입체적으로 된 그림은 여러분들의 좋은 명상재료라고 생각합니다. 우선은 이 그림을 무조건 외우시고 때때로 그 의미를 곰곰이 새겨보십시오. 눈앞에 선하게 떠올려 놓고, 버스를 타든, 기차를 타든, 자꾸 명상을 하십시오. 일부 주역 수행자 중 갑자기 깨달았다는 성인은 바로 이'盡性法'으로 공부한 것입니다. 갑자기 깨달을 수 있지만 그만큼 큰 고통이 수반되는 방법입니다. 처절한 자기와의 싸움이지요. 만해 한용운선생이 처음 참선을 할 때 머리에서 고름이 터져 나왔다고 합니다. 약 석달 동안 火氣가 오르고 上氣되어서 그랬던 것이지요. 

 

  옛날 한 禪僧이 공부를 하는데 아침이면 까치소리, 낮에는 농부들의 밭 가는 소리 등으로 시끄러워 공부가 되지 않는다고 산 속으로 들어 갔으나, 그곳 역시 짐승들의 울음소리와 바람소리 때문에 공부가 되지 않습니다. 못난 놈이 환경 탓 한다고 세속과 산을 오르내리기 30여년, 공부는 한 것이 없고 마음에 불만만 가득, 너무도 한심하여 징검다리에 앉아 흐르는 냇물을 무심히 바라보고 있는데 자라 한 마리가 머리를 쑥 내밀더니 조심스럽게 주위를 살피며 물가로 올라왔습니다. 이 때 저만치서 개가 한 마리 달려와 자라를 덥썩 물었는데 목을 쏙 집어넣은 자라를 먹을 수가 없어서 한 참 실랑이를 벌이다가는 포기하고 어디론가 가 버렸습니다. 그것을 재미있게 쳐다보던 선승이 내가 만약 '개'라면 어떻게 했을까 곰곰이 생각하는데, 주위가 조용해 진 것을 알고 자라가 고개를 쏙 내밀어 좌우를 살펴보더니 물속으로 퐁당 들어가더래요. '옳거니 그거다' 그리고는 그 길로 산 속으로 들어간 선승, 3년 용맹정진 끝에 大悟覺醒했다고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개라면 어떻게 해서 자라를 잡아 먹을 수 있을까요. 이런 것이 公案 즉 話頭입니다. 

  원래 공안은 破設하는 것이 아닌데(破設하면 破設한 자나 들은 자 다 지옥간다고 함) 이건 화두같지 않은 거니까 가르쳐 드리지요. 자라 옆에서 조용히 기다렸다가 자라가 목이 나올 때 얼른 나꿔채면 되지요. 그것은 '가만히 靜觀'하라는 깨달음이었지요. 우리 마음 속에 있는 자라목과 같은 번뇌와 습관이 슬그머니 일어날 때 그 때 치는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여러분들의 마음은 조금 있으면 뭐하고, 그 다음엔 저것하고, 또 이것도 해야하고 등 수 많은 계획들로 마음이 어두워져 있으므로 내 무의식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지 깨닫지를 못합니다. 가령 여러분들이 인생의 길을 잃었을 때 스승과 선배를 찾고, 누군가에게 물어보고 하면 더욱 어렵고 외로와집니다. 

  그러나 사흘이고 나흘이고 가만히 있어 보세요. 그러면 묘안이 떠오릅니다. 산 속에서 길을 잃었을 때에도 큰일났다고 당황하여 이리저리 설치게 되면 설령 나중에 길을 찾는다 해도 힘이 빠져서 죽기가 쉽지만, 현명한 사람은 마음을 가라앉히고 가만히 있어 보면 별을 본다거나 달의 기울어짐을 보고 길의 방향을 찾게 됩니다. 집안에 들어온 새가 조금만 진정하면 들어온 구멍을 찾을텐데 당황하여 여기 부딪치고 저기 부딪치고 살려주려고 해도 도망을 치다가 죽어 버립니다. 우리 인생도 이와 같습니다. 정좌하고 묵상하고 참선하는 시간이 너무나도 부족합니다. 나는 전혀 나쁜 생각을 품지 않았는데, 문득 내 속에 내가 모르는 나쁜 생각의 촉수가 무럭무럭 자라오름을 느낍니다. 이런 마음을 느끼고 들여다보기가 얼마나 힘든지 모릅니다. 이런 마음을 가만히 들여다 볼 수 있는 마음을 '無意心'이라 합니다. 

 

 간과 이미 끝[罷]나니, 득실 또한 공이라. 

  초자(樵子)의 시골노래를 부르며, 아동의 야곡을 불[吹]며, 

  몸을 소 등에 올려놓고 하늘[雲霄]을 쳐다보며, 

  불러도 돌아보지 않고 끌어내도 서지 않는다. 

 

  干戈已羅에 得失還空이라 

  唱樵子之村歌하고 吹兒童之野曲하여 

  身橫牛上하고 目視雲霄하니 

  呼喚不回하고 撈籠不住로다 

 

  자성을 탐구하고 마음을 닦는 과정을 열단계로 나누어 해설한 十牛圖 중의 이 騎午歸家(십우도중 여섯번째로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간다는 내용. 십우도는 우리의 본래면목을 소에 비유하여, 소를 찾고 얻는 순서와 이미 얻은 뒤에 주의할 점을 설명한 것이다)는 無意心의 극치랄 수가 있습니다. 

  인간의 마음 구조에는 1, 2, 3차 욕망이 있습니다. 또한 일정한 리듬도 있습니다. 1차적인 욕망은 衣・食・住에 관한 것이고, 2차적인 욕망은 성적, 미학적, 예술적 충동을 말하며, 3차적인 욕망은 명예욕, 권력욕, 지식욕 등을 말합니다. "醫學入門" 서문에 '忿을 징계하고 욕망을 다스려서...'라고 되어 있는데 내 마음에 맞다고 여기는 것이 욕망의 원인이고, 마음에 맞지 않다고 여기는 것이 분노의 원인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성욕, 권력욕, 사치욕 등 여러 욕심과 욕망으로 나를 내세웁니다. 어느 순간 내 속의 그런 욕망의 내재됨을 알고 깜짝 놀랍니다. "나는 깨끗한 줄 알았는데 음담패설 책 따위를 보면 왜 마음이 이상해지고 흥분이 될까?"하고 당황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는 그것을 누르려고 합니다. 욕망을 억제하거나 욕구를 갈구하는 것은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닙니다. 

  욕망이 갖고 있는 긍정성과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의 부정성, 즉 욕망과 분노는 항상 서로 쫓아다닙니다. 예를 들어보면, 어느 날 미팅에서 굉장히 아름다운 여학생을 보았습니다. 그 여학생도 잘 생긴 나를 쳐다 보았습니다. 아주 순식간에 둘의 눈이 딱 마주쳤습니다. '부처님! 저 여학생이 내 파트너가 되게 하소서...'추첨 결과 그 여학생은 친구 파트너가 되어 버렸고, 나는 뚱뚱한 여학생과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그 여학생은 시간이 지날수록 친구와 친밀하게 얘기하면서 내게는 눈길조차 주지 않습니다. 아! 그러자 가슴 밑바닥에서 무엇이 치받혀 올라오면서 그 친구와의 우정이고 뭐고 가슴이 덜컹거리기 시작합니다. 

  '나는 그렇지 않겠지'하고 착각마세요. 아닌 척 하는 사람일수록 더 안절부절 못합니다. 젊었을 때 강압적으로 공부에 눌려 살던 지식인이 40--60대 쯤 되어서, '아유-- .나도 부룩 실즈 같은 여성과 교제를 해 보면 여한이 없겠는데...'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이란 이상한 것입니다. 술을 오래 두면 식초가 되듯이 지식욕이 해묵어 성욕으로 변할지 모르는 일입니다. 인간의 마음이란 애착이 가면 증오가 생기고 좋아하면 싫어하는 마음도 아울러 생기게 됩니다. 한때는 퉁퉁한 스타일의 사람이 믿음직스럽고 좋았는데 이번에는 마른 스타일의 사람이 센티하고 절개가 있어 보여 좋다고 하다가, 마른 사람은 너무 예민하고 신경질적이라 다시 싫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애착을 탓하지 않고 그 대상만을 평가합니다. 욕망의 변화란 참으로 다양합니다. 공자께서는 '20대는 색을 조심하고, 40대는 싸움을 조심하고, 늙어서는 물욕을 경계하라'했습니다. 그런데 재물욕, 성욕, 명예욕 등 이런 것들 전부가 이해되어져야 그것들의 반작용으로 일어나는, 예를 들면 돈을 떼었을 때 일어나는 초조감, 애인을 잃었을 때 오는 시기심과 질투심, 낙선되었을 때 오는 패배감 등의 다양한 형태의 감정들을 이해할 수 있겠지요. 따라서 그때 그때 발생하는 熱도 陽明熱, 少陽熱, 太陽熱이 각각 다릅니다. 그러므로 감정의 상태를 예민하게 주시하면 꼭 결론은 아니더라도 우리가 공부의 실마리를 잡을지도 모릅니다. 앨빈 토플러의 "제3의 물결"에 보면 앞으로는 정치, 경제, 종교 등 모든 분야에서는 개인 각자에게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되어 있습니다. 그가 벌인 운동의 내용은 지금까지 산업사회 위주, 집단 위주로서 집단 전달 체제의 발전은 이룩했지만, 너무 개인의 창조능력을 제한시켜버렸다는 것입니다. '제3의 물결 운동'의 핵심은 개인 창조능력의 개발에 있습니다. 

  저는 많은 분들을 모시고 강의하는 기회가 자주 있습니다. 약 130여명이 한 집단으로 모여 있지만 집단적 의미로서의 전체보다 각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관심을 갖습니다. 오늘날의 대학도 단체, 그룹, 가풍 등을 중요시 여길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이 개개인의 특성과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자유스런 영적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바로 그런 교육체제가 필요합니다. 

  몇 백명씩 모아 놓고 적당히 시험이나 쳐서 순위를 가리는 이런 제도는 인간의 창조능력향상에는 별로 효과가 없습니다. 창조적인 선각자들은 절대로 이런 교육을 받지 않았습니다. 여기 모인 여러분 중에 학교에서 열등생이었지만 졸업 후 월등한 우등생이 되신 분이 있을 것입니다. 학교공부를 잘하는 친구들은 외우는데 능하고 정리하고 분석하는데 능합니다. 그러나 '깨닫는'데는 늦습니다. 

  심리학에도 이런 테스트가 있습니다. 큰 쇠구슬을 묶은 실 끝에 못이 달려 있습니다. "이 못을 이 벽에 좀 박아다오"하면 얼른 망치를 찾습니다. 그 쇠구슬로 바로 박으면 될 것을 '못은 망치로...'하는 틀 속에 갇혀서 눈 앞의 현장을 보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한 가난뱅이가 사또를 찾아왔습니다. 온 가족이 굶어 죽게 되었으니 좀 살려달라고 간청하자 사또가 말하기를, "좋다, 따라 오너라" 사또는 가난뱅이가 늘 다니는 다리 건너편에 가난뱅이를 세우고 다리를 건너오게 했습니다. 가난뱅이는 순식간에 다리를 건너왔습니다. "아니! 너는 다리를 건너오면서 다리 중간에 놓아둔 황금보따리를 못 보았는고?" "제가 늘 건너다니면서 한번도 보지 못했던 황금보따리가 오늘이라고 있을 턱이 없지 않습니까요?" 바로 이와 같습니다. 우리는 오늘에, 현장에 답이 있는 줄 모르고 사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깨어있음이란, '현장의 답'을 찾아 내는 열린 눈을 말합니다. 앨빈 토플러의 자유스런 영적 분위기란 곧 '깨어있는 현장 분위기'를 일컫는 것입니다. 

  강요되어진 규율에서 오는 공포나 위축감은 오히려 역효과를 연출시킵니다. 활달하고 명랑하게 깨어 있는 분위기는 의외로 폭발적인 창조효과가 있지요. 집단적 의식이나 행사에서는 미묘한 안락감과 의지성의 쾌감이 있습니다. 또한 마음이 깨어있지 못하고 우둔하게 반복되는 언어는 다소의 안락함, 편안함을 줍니다. 술 먹으면 정신이 없고 깨어나면 현실로 돌아오는 것처럼 종교의 잘못된 측면은 술이나 마약처럼 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종교가 주는 것은 그런 것이 아니고 확실하게 깨어 있는 정신 즉 현장정신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의식이나 예배나 몇 가지의 주문을 통해서 마음이 평안해진다면 좋은 경치를 찾아가서 마음을  

  편안히 함과 다를바 없지요. 이것은 일종의 심리적인 미묘한 쾌락일 뿐 종교가 추구하는 경지가 아니지요. 안락감이나 의지성은 그저 공포나 불안으로부터 도피된 것일 따름입니다. 크리슈나무르티의 정의에 의하면, 진실한 교육은, 인간 개개인의 심리적인 속성과 그것의 진행과정을 이해하게 하여 주는 것으로, 이것이야말로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여러분들은 바로 이런 것을 배워야 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의 통로는 예로부터 신비한 '제3의 순환체계'로 표현되어 왔습니다. 고대의 명철한 성인이 개발해 놓은 이 경락의 생리 체계는 실제로 동양의학에서 모든 진단과 치료에 응용됩니다. 경락의 순환체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곧 인간 심리의 진행상황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 제3의 순환체계는 크게 몇 개의 레일과 같은 통로로 되어 있는데 그곳에는 수백 개의 주요한 역이 있습니다. 이 역을 경혈이라고 하는데 흔히 침술 치료나 진단상 병의 반응점으로 쓰이지요. 이 14개의 통로 가운데 임맥과 독맥을 뺀 12經은 아주 중요한 기혈 또는 반응의 통로여서 일반적으로 12경락이라고 부릅니다. 이 레일들은 모두 서로 상대적으로 짝을 이루고 있는데 심리적 긍정과 부정의 상반된 에너지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인간의 욕망은 참으로 다양합니다. 인간의 욕망은 1차, 2차, 3차 욕망으로 나뉘어지는데, 1차와 2차적인 욕망을 有愛라고 합니다. 있는 것, 즉 눈에 보이는 것을 사랑하는 것이고, 3차적인 욕망은 無有愛로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좋아하는 것입니다. 크게 셋으로 나뉘는 이 욕망들을 충분히 이해했다가 여러분들 마음 속의 끊임없는 욕망을 잘 관찰하라는 것입니다. 

  12경락이 우리 마음 속 에너지의 통로라면 인간이 가지게 되는 마음의 구조는 만족과 불만족의 반작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욕망이 갖는 특징으로써 우리 인체 내의 경락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공포를 느끼면 등골이 오싹해진다거나 추위를 느끼는데, 이 공포라는 감정과 차다고 하는 감촉은 각기 물질과 마음이지만 결국은 하나인 것입니다. 그러면 공포는 어디서 생기는가? 이런 것을 조사해보면 어떤 욕망의 반작용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유추가 생소할지 몰라도, 여러분들이 심리적인 진행상황을 관찰하는데 분명히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합니다. 그러므로 개개인의 심리적인 속성과 진행과정을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五運六氣法을 공부하러 모여서, 인간이 가진 1차, 2차, 3차 욕망을 조사하게 되고 나아가서 심리적인 자기 마음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면, 설령 經絡學的인 지식이 좀 모자란다고 하더라도 이미 자기가 가지는 감정을 이해하기 시작했으므로 道人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의 욕망이 빚어내는 오류는 너무도 다양하고 처참합니다. 설령 그 오류가 개인적, 주관적이고 눈에 보이지 않는 사건이라 하더라도 물욕에 수반되는 빈곤감, 정욕에 따르는 배신감, 명예욕에 따르는 패배감과 수치심, 이런 것을 스스로 만들어 놓고 그 자신 스스로 패배의식에 물드는 이 지구촌은 결국 엄청난 과보를 치르고야 말 것입니다. 

  순진하게 자라야 할 어린이가 반장선거에서 떨어졌다고 자살을 하는 세상입니다. "엄마는 무슨 협회장, 동창회장 하다못해 꽃꽂이 회장이라도 하는데 너는 그 모양이냐? 엄마, 아빠를 좀 보아라. 이 멍청한 놈 어쩌고 저쩌고..." 훌륭한 부모형제를 가진 아이는 불행합니다. 비교를 당하기도 하거니와 자기 스스로도 그 비교의식의 울타리 속에 갇히기 쉽습니다. 비교감이 낳는 부작용은 망상, 파괴의식의 실천 등 무수히 많습니다. 그런데 주목할 일은 지식인들이 비교를 더 많이 한다는 사실입니다. 불만족이나 고통과 같은 마음의 부정적인면과 만족과 기쁨에 따르는 마음의 긍정적인 면이 인체 내에서 작용하는 현상을 바이오리듬 학설에서는 신체리듬(Physical Rhythm), 감성리듬(Emotional R.), 지성리듬(Intellectual R.)으로 분류합니다. 서양에서 100년 가량 연구된 이 바이오리듬을 오늘날은 기업에서도 응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동양의 경락체계는 이것을 좀 더 세밀하게 분류할 뿐 아니라 그 에너지의 통로까지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것을 구체적으로 보면, 太陰・陽明경락은 신체리듬, 少陰・太陽경락은 감성리듬, 厥陰・少陽경락은 지성리듬으로 결부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근래에 와서야 겨우, 그것도 그저 3가지 특성만을 다루고 있는데 5천년간 개발해 온 경락체계를 거기에 결부시킨다는 것을 슬프게 생각합니다. 

  원칙은 우리의 경락체계를 서양인들이 받아들여야 되겠지요. 저는 경락의 순환체계이론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이오리듬 이론을 소개한 것입니다. 어쨌든, 인간의 제1차적인 욕망인 의・식・주에 대한 만족과 불만은 太陰經과 陽明經의 작용이며, 제2차적인 성적, 미학적, 예술적 충동 등의 만족 불만은 少陰經・太陽經의 작용이고, 제3차적인 명예욕 지식욕 권력욕 등의 만족과 불만은 궐음경 소양경의 작용입니다. 즉 사람이 일으키는 1차, 2차, 3차 욕망의 성쇠는 그에 해당하는 경락 에너지의 성쇠를 결정합니다. 그런데 만족과 불만의 흐름에 따라 결정되는 경락의 허실은 그 정도가 지나치면 자동조절기능을 상실하여 질병이 되고 맙니다. 제 강의의 배경이 이런 이론입니다. 

  가령, 어떤 사람의 足太陰脾經을 補해야 하는 경우라고 하면,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리듬'의 어느 부분이 虛하니까 補하는 것입니다. 이런 전제조건으로 경락학설이 연구된 것은 어떤 문헌에도 없었고 어떤 강의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저는 다행하게도 운이 좋아서 수십명의 스승을 만날 수 있었는데, 여러분이 처음에는 듣기에 무리한 것같다고 느끼실 수도 있겠지만 잘 새겨보면 깊은 뜻이 들어 있을 것입니다. 道를 열심히 닦으면 경락이 보인다고도 하고, 슬픔으로 인해 가슴이 찢어지도록 아플 때는 肺經絡이 엄지손가락으로부터 쭈욱 지나감을 느끼거나, 勞宮穴이 피로한 것을 느끼는 등의 부분적인 느낌은 알 수가 있으나 전체적인 경락을 이해시켜 주는 이런 강의는 과거에는 없었습니다. 스스로 자랑스럽고 보람스럽다고 느끼는 것은 이런 것을 하나 찾아내고 결부시키기 위해 많은 세월을 고생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도 경락 자체가 가진 흐름의 에너지는 우리가 가진 1차, 2차, 3차적 욕망의 만족과 불만족에 따르는 에너지의 흐름이라는 이 사실을 참고하여 혼자서 더욱 깊이 연구하고 관심할 수 있는 계기로 삼도록 하십시오. 

  넘치면 다시 모자라게 되고, 빈 것은 어느 덧 차고, 얻은 것은 잃어지고, 낮은 것은 높아지는 등 끊임없이 균형을이루는 이 자연의 순리가 곧 인간의 '제3의 순환 생리'와 같습니다. 최근 연구가 활발해진 바이오리듬 즉 '생체리듬'학설에 의하면, 각 리듬의 교차일이 위험한 날이고, 고조기에서 저조기로 전환하는 날은 극히 위험한 날로 경고하고 있습니다. 한편 신체 감성 지성리듬의 주기는 각기 23일, 28일, 33일이라고 합니다. 인간 활동의 커다란 흐름인 이 3가지 리듬활동의 복합적인 상호관계가 인생의 길 흉사를 이룬다고 합니다. 각 리듬 주기의 곱, 즉 대순환 기일이 23×28×33=21,252일, 즉 58년 67~69일간인데 이는 묘하게도 우리네의 60년 환갑기일과 거의 일치합니다. 우리 동양학은 여기에 천・지의 리듬이 추가되므로 조금 다르지요. 물론 60주년 주기를 가진 우리가 훨씬 더 정확합니다. 

  리듬에는 인체내의 생리적인 리듬 뿐만 아니라 자연계의 리듬도 있습니다. 春夏秋冬, 계절의 월별 리듬과 매년 바뀌는 연별 리듬이 있지요. 동양에서 쓰이는 甲子年, 乙丑年, 丙寅年 등의 명칭은 바로 연별 리듬의 표시입니다. 소위 五運六氣學이라 불리우는 자연계의 리듬 학설은 동양 최고의 의학경전인 "內經"에 상세히 나타나 있습니다. 자연계의 리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서, 옛 성인들이 예방의학적 차원에서 만들어 놓은 것이 五運六氣입니다. 여러분들이 열심히 공부한다면 앞으로 丁卯年, 戊辰年...등의 연별 리듬을 예측할 수 있는 지혜를 조금이나마 얻게 될 것입니다. 동양의 지혜를 미신으로만 비웃던 현대인들이 이제 흥망성쇠의 리듬 학설을 신봉하고 연구하게 된 사실로 미루어 서양학이 진리로의 행진에 조금씩 동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같은 리듬 학설의 근본바탕은 '無常'에 있습니다. '만물에는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는 탁월한 인식이 곧 항상된 진리 인식입니다. 석가세존께서 일찍 갈파하셨던 '諸行無常'의 진리는 모든 순환리듬의 실체없는 변화성을 의미합니다. 계절이 변할 때마다 앓는 몸살감기와도 같은 인생의 패배감, 공포감, 절망감, 초조감 등의 심적 충격을 담담히 응시할 수 있는 힘이 곧 깨달음입니다. 세상운수도 변하고, 나도 변하고, 사회도 변하고, 우주도 변합니다. 물결치는 오탁시대의 리듬 한 가운데 리듬없는 한 물건[一心, 歸源]의 각성이 정말 시급한 세대입니다. 

  서양의 분리주의적, 합리적, 과학적 두뇌가 낳은 인류의 비극이 이제 동양적, 통일적 조화의 가슴으로 승화되어야 할 때입니다. 문란한 성생활로 인한 에이즈라는 괴질, 매년 6백만명의 희생자를 내는 암이라는 괴질, 최근 국내의 괴저병 등은 단순한 전염성이나 물리적 차원의 문제가 아닙니다. 어떤 예측을 불허하는 괴질이라도 아무 조짐없이 찾아오지는 않습니다. 슬기의 부족, 평등성과 사랑의 결핍, 경쟁, 분리, 폭력풍토의 조장은 탐욕과 분노의 변형된 독소이자 모든 괴질의 원천이며, 자연계 리듬의 영향을 쉽게 받는 면역불능 체질의 원인이 됩니다. 아주 미세한 리듬의 징조라도 즉시 파악할 수 있는 민감성이 특히 요구되는 세대가 오늘날입니다. 눈과 눈썹이 너무 가까와서 서로 보지 못한다고 하는데 우리는 우리 품속의 진주를 찾으려고 너무 멀리 여행하고 있지는 않는가 살펴볼 시간인 것입니다. 

  즐거워하되 음탕하지 말며, 슬퍼하되 상하지 말라. 

  樂而不淫 哀而不傷 

  이 공자의 교훈은 영적인 제3의 순환에 표적을 맞춘 적절한 충고인 것같습니다. 

  여러분들이 藥石으로 경락을 조절한다고 하나 마음을 조정치 않고 어떻게 경락을 조정할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마음 다스리는 법이 첫째입니다. 또한 욕망의 만족과 불만족을 잘 조절할 수 있는 사람은 약이나 침이 없어도 되는, 이미 至人, 眞人, 聖人의 경지에 가 있는 사람입니다.

 

   Copyright(C) 2001 Sa-Am non-profit Acupuncture Service All rights reserved.

 

 

http://www.saam.net/saamacu/revolution/rev3-2.htm

 

3. 경락 팔괘

2.

  그러면 지금까지 장황하게 설명드렸던 여러 이야기의 학문적 근거는 어디 있는지, 그리고 또 주역 八卦에는 어떠한 증거가 있는지 한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八卦를 반으로 접게 되면 서로 상대적으로 되어 있습니다. 一 乾天과 八 坤地, 二 兌澤과 七 艮山, 三 離火와 六 坎水, 四 震雷와 五 巽風 이렇게 상대적입니다. 그러므로 인체를 보면, 하늘(머리)은 둥글고 몸은 모나다고 하는 것은 하나는 양이고 하나는 음이라는 말입니다. 동물의 예를 보면 쥐는 머리에 비해 몸이 크니까. '음- 너는 陰的이겠구나!'말이나 사자처럼 몸집에 비해 머리가 큰 것은 陽的이겠구나 하는 짐작을 금방 할 수가 있겠지요. 식물도 이렇게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四象이란 선천적인 것이라 했습니다. 얼굴을 보면 눈, 코, 귀, 입 이렇게 7개의 구멍이 뚫려있지요. 그 눈, 코, 귀, 입 4가지 象을 取象(12경락은 각각 그 경락에 해당하는 괘상을 가지게 되며, 이 괘상은 오행과 육기의 양면적 성질을 띠게 되는데, 이때 오행과 육기의 두 성질을 함께 나타내는 어떤 대상을 취하게 되는 것을 취상이라 함. 예를 들어 足厥陰肝經은 오행적으로는 목(나무), 육기상으로는 풍(바람)에 해당하므로 '대나무 피리'로 취상을 하게됨)하는 것을 四象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선천적이고 거의 불변하는 체질을 일컫는 체질의학인데 이것은 일생동안 잘 변하지 않습니다. 少陰人이 少陽人이 되고 太陽人이 太陰人이 되는 그런 경우는 드뭅니다.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대단한 道力을 가진 사람일 것입니다. 八卦란 바로 四象(눈, 코, 귀, 입) 밑에 있는 어떤 흐름이지요. 예를 하나 들어봅시다. 

  '어! 저 여자 어디서 많이 봤는데... 옛날 미팅에서 봤나? 친구 동생인가? 사돈 팔촌인가? 아하! 그래 미팅에서 봤군. 꽤 괜찮은데 한 번 교제해 볼까?' 처음엔 보다가 뜻이 생기고, 다음에는 마음이 짙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최초에는 본다는 데서 출발하는데 궁극에는 이것까지도 들여다 보아야 됩니다. 그런데 그게 어렵거든요. 보고, 듣고, 맛보고 나서 좋고, 싫은 마음이 분리가 되는데 먼저 해야될 것이 보는 공부입니다. 특히 마음을 관찰하기 편리한 것은 우리 마음에 불현듯 떠오르는 감정입니다. 그런데 이 八卦라는 것은 四象을(눈, 코, 귀, 입) 제외한 소위 6장6부(몸통)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6장6부에 대해서는 우리가 약간 진한 감정을 읽을 수 있으므로 조금 쉽지요. 그래서 6장6부에는 6경락이 흐르는데 이 6경락이 결국 3陰3陽인 것입니다. 

  四象을 머리의 운동이라면 八卦는 몸통에 해당한다고나 할까요. 좀 맑은 인식을 사상이라고 한다면 다소 둔탁한 인식이 팔괘입니다. 우리 인체에 12가지 경락이 흐르고 있다고 하나 실제는 거기에 任脈, 督脈을 합한 14경락이지요. 우리가 五行針法을 공부함에 필요한 것이 6경락이지만, 여기에도 任脈과 督脈이 포함됩니다. 奇經八脈의 8가지 經脈과 함께 이 八卦가 결국은 경락과 일치가 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경락과 八卦를 일치시키기 전에 먼저 八卦의 의미를 알아 봅시다. 乾・兌・離・震・巽・坎・艮・坤은 유심적, 무형적이고, 天・澤・火・雷・風・水・山・地는 유물적, 유형적 기운의 取象이라고 저는 이야기 합니다. 못[澤], 우뢰[雷], 물[水], 산[山] 등은 눈에 보이는 것이고, 乾, 兌, 離 등은 쉽게 그 의미를 끌어올 수 없게 해놓았습니다. 

  '乾은 건실한 것이요, 坤은 유순한 것이며, 震은 움직이는 것이요, 巽은 들어가는 것이고, 坎은 빠지는 것, 離는 고운 것, 艮은 머무는 것, 兌는 기뻐하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또한 乾은 하늘(아버지), 坤은 땅(어머니)을 말하며, 震(천둥)은 장남, 용, 푸른 대나무를 의미하고, 巽은 바람, 장녀, 먹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坎은 물, 도랑, 숨어 엎드리는 것, 마음의 병, 귀가 아픈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兌는 소녀, 무당, 입과 혀, 첩을 의미합니다. 추가하자면 乾은 하늘이요, 圓이요, 임금, 아버지, 金, 늙은말이고, 坤은 땅이요, 어머니요, 가마솥이요, 인색한 것이요(유심적 차원)등... 이 많은 말들을 공자도 쓰다가 지쳤다고 하지만 이것이 뜻하는 것을 여러분들은 이해하셔야 합니다. 앞으로, '어떤 괘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취상해 보시오'하면 그 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澤火革卦를 보면 물과 불이 만나서 서로 싸우는 모양인데 무엇이 혁명된다는 것인지? 重健天卦는 건괘가 두개가 겹쳐서 된 하늘이므로 유물적 취상이 되는데, 澤火革의 革이란 인생의 정신적인 문제, 마음이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重健天의 '終日乾乾는 夕陽...'이란 의미는 '군자는 종일 건건찝질해야 하는가 보다'가 아니고 乾乾하다는 말 이면에는 군자가 지켜야 할 어떤 정신적인 태도 즉 씩씩하면서도 근엄하고 또 약간 강건한 것을 의미합니다. 坤은 어머니로서 유순하면서도 항상 모든 걸 받들어 주고 陰德을 키우는 것이죠. 그래서 주역 64괘에는 모두 인간이 지켜야 될 예절과 같은 인간관계가 담겨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한 집안에 8식구가 산다고 가정할 때 바로 周易八卦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여덟 사람이 이루는 음양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남녀 궁합이 아무리 잘 맞는 경우라 해도 나와 내 마누라가 한 이불을 덮고 자지, 마누라를 팽개치고 어머니와 한 이불을 덮지는 않지요. 같은 음양이라 하더라도 서로 부딪칠 것이 있고 또 서로 친할 것이 따로 있는 법입니다. 병이 일어나는 원인도 나에게 있을 수도 있고, 마누라 혹은 아버지, 어머니에게 있을 수도 있는 등 무궁무진합니다. 이렇게 서로 부딪치는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어떤 무형의 취상을 革이라 표현한 것이며, 무형적인 인간의 심리상태를 유형적으로 표현하고자 澤, 水, 火등을 도입한 것이겠지요. 

  화가 난 마음을 그림으로 그려보라 했더니 A는 뿔을 그렸습니다. B는 뿔로는 부족해서 칼을 그려서 죽이고자 하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화가 나서 죽이고 싶다는 분노는 少陽之氣(일종의 少陽火氣)인데 그 표현을, 화가 치미는 것을 김이 모락모락나게 그리거나 칼을 그렸을때, 전자를 '음! 만두를 먹자는 거로구나' 후자를 '칼로 과일을 깎아먹자는 것이로구나'하고 바보같은 해석을 해서는 안되겠지요. 옛 사람이 남긴 유물적인 취상을 보고 그 마음을 안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이제 이 시점에서 八卦에 대한 기존의 의미를 잊어버리세오. 그 관념으로부터 자유로와지세요. 다만 그것이 여러가지로 해석되는 이유를 이해하면 되는 것입니다. 화가 난 것 하나로도 김이 모락모락 나는 것, 불, 칼 따위로 그릴 수 있듯 1차, 2차, 3차로 감정이 격화됨에 따라 그림도 감정적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물을 그린다고 할 때, 明鏡之水를 연상해서 거울을 그릴 수도 있고 폭포수나 얼음을 그릴 수도 있지만, 어느 하나를 일컬어 물의 전부라고 할 수는 없지요. 웅덩이라면 물이 고일 수 있는 환경이 될 것이고, 피라고 한다면 그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 물이 가지는 변화의 여러가지를 표현해 본 것이지 전부는 아니므로 미루어 짐작하라는 말씀입니다. 아무튼 물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모두 이해하고나서야 이 六坎水卦를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경전 중에 제일 먼저 들어가는 것이 바로 "詩經"(상고의 시를 모은 책으로 오경 중의 하나. 원래는 삼천여 수인 것을 공자가 첵제하여 삼백 십일편으로 함)입니다. 周易八卦나 64卦는 약간 詩的입니다. 여러분들도 시인이 되어야 합니다. 아주 예민하고 날카로와야 합니다. 공자께서 "周易"을 일컬어 어느 성인이 세상을 염려하여 남겨 놓으신 것이라고 하셨답니다. 

  八卦와 64卦를 伏羲가, 卦爻辭를 周文王이, 十翼을 공자가 만들었다고 하는데 이들 3인이 아득한 시대차로 생존했던 점을 미루어 주역의 성립이 그만큼 긴 세월에 걸쳐 이루어졌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 주역으로써 제 문제를 풀어나가는 기본적인 의미는 인간에 대한 일종의 경종, 인간의 지혜에 대한 교육, 흥망성쇠의 리듬에 대한 것 등으로 인간을 제도함에 있습니다. 제도를 하면 무엇을 제도한다는 것인가? 결국은 감정처리를 제도하고자 한 것이 아니겠어요? 이것을 설명하고자 유심적인 것과 유물적인 것을 다 빌어다가 인용하였습니다. 그것의 유심적인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것이 兌卦와 艮卦인데 오직 이것에서만이, 그 발자취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兌卦 옆에 忄 字를 붙이면 즐거울 悅자가 되고, 艮卦에 忄 字를 붙이면 괴롭고 한을 품을 恨자가 됩니다. 八卦를 반으로 접을 때 이 둘은 서로 상대가 됩니다. 天과 地가 서로 상대되고 澤과 山이 서로 상대되는 유물적 차원이 아닌 유심적 차원, 기형학적인 차원의 사고가 결국 위와 같은 의미를 유추시켰습니다. 이런 것은 주역이 우리 인체내에 일고 있는 유심적 차원, 유물적 차원을 모두 담고 있다는 증거지요. 특히 주역의 각 괘는 각각의 특성(유심적 특성)이 무엇(여러가지 다른 유심적인 상황)과 만난 장면임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靑은 東方 木이요, 赤은 南方 火라고 알고 있는데 그러면 보라색은 五行上 어디에 속합니까? 회색이나, 누르팅팅하거나, 벌거죽죽하거나, 혼합색 등 오행에 없으나 우주 속엔 온갖색이 다 있습니다. 중간자적이거나 입체적이거나 복합적인 모든 것을 이해 하도록 주역을 열어 놓은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입니다. 나의 어떤 기분과 너의 어떤 기분이 만나서 어떤 상황을 이루게 되는가 하는 것에 대해 대상을 붙여 놓은 것이 八卦입니다. 그런데 무형학적인 卦象을 붙여 놓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기 마음을 관찰한 사람이 아니고서는 어렵지 않겠어요? 주역 64卦를 공부하면 귀신도 잡는다는 말은 아마도 거짓이 아닐 것입니다. 저는 주역 卦象까지 강의할 실력은 없습니다만 이렇게 兌옆에 忄을 붙이면 즐거울 悅이 되고 간옆에 忄을 붙이면 괴로울 恨이 되는 것으로 미루어 건과 곤, 감과 이, 손과 진도 각각 어떤 감정상의 만족과 불만족의 상징이 서로 상대적으로 된것이 아니겠는가 하는 추리가 되지요. 

  陰은 모든 것을 取하는 욕망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고, 陽은 버리는 것으로 분노를 싫어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런 감정적 차원에서 陰卦와 陽卦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분이 좋다거나 만족한 상태가 되면 입안에 물이 고이고 숨을 들이마시게 되지 않습니까? 여자들이 쇼 윈도우에 진열된 많은 보석을 보고 자기도 모르게 숨을 깊이 들이 마셨다가 경제적인 능력이 없음을 깨닫고는 한숨을 내쉽니다.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시면 입 안에 찬 기운이 고이고 밖으로 내 쉬면 더운 기운이 생깁니다. 이런 경우는 감정적인 음양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乾卦, 兌卦...의 八卦는 陰陽卦로 구분되는데, 陰卦는 우리 기분의 만족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1차적 욕망(食慾), 2차적 욕망(財物慾), 3차적 욕망(名譽慾)이 음괘에 해당한다는 추론이 가능합니다. 

  우선 주역이 제시하고자 하는 우주의 통찰을 몇 가지 독특한 주관적 측면에서 바라보고자 합니다. 

  태극은 음양을 낳고 음양은 사상을 낳고 사상은 팔괘를 낳는다고 하는데 우선 팔괘적인 측면에서 관찰되어진 우주의 실상을 보고자합니다. 팔괘라고 하는 것은 '一 乾天, 二 兌澤, 三 離火, 四 震雷, 五 巽風, 六 坎水, 七 艮山, 八 坤地'라고 하는 여덟 가지의 구성요소를 얘기하는 데 이 여덟가지의 구성요소는 두 가지 용어로 접합이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덟 가지의 요소와 여덟 가지 요소의 쌍방 교차작용인 64卦의 복잡한 상황을 깨닫는 것은 심히 난해한 학문체계라고 동양에서는 알려져 있습니다. 64卦의 천착 이전에 八卦 각각 성품의 연구가 선행되어야만 64괘의 각론을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선 두 가지 용어로 표현된 괘상은 다분히 상징적인 것입니다. 乾, 兌, 離, 震, 巽, 坎, 艮, 坤의 여덟 가지 면칭과 天, 澤, 火, 雷, 風, 水, 山, 地의 여덟 가지 명칭이 결국 같은 괘상의 異名입니다. 

  주역의 연구가들은 팔괘의 해석에 심히 곤혹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데, 어떤 특별한 방법이 존재해서 우주의 실상을 이렇게 나눈 것이 아니라 실은 오히려 가장 가깝고 단순한 것을 표명한 것이라는 것이 저의 주장입니다. 지금부터 표명하려는 저의 견해는 단지 저의 사견이기 때문에 하나의 주장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좋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단, 단순히 하나의 학자적인 주장에 불과하여 실제로 이론적인 배경만 가지면서 오히려 실천적 측면으로서는 아무 가치가 없다면 저의 이론 역시 無用할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사려 깊은 응용을 바라며 저의 옅은 소견을 피력하고자 합니다. 먼저 주역 八卦의 구성은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의 두 가지 異名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즉, 전자 乾에서부터 坤에 이르는 여덟 가지는 정신적인 것이요, 유심적인 것이요, 기능적인 것이요, 감정적인 것이요, 후자 天에서부터 地에 이르는 여덟 가지는 물질적인 것이요, 가시적인 것이요, 육체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문자적 증거로는 제2괘에 해당하는 二 兌澤과 七 艮山에서 증거를 보일 수 있습니다. 八卦의 특징은 一과 八, 二와 七, 三과 六, 四와 五로 서로 상대적인 卦로 이루어졌습니다. 못[澤]과 山卦의 물질적 명칭인 산과 못이 어째서 상대적인지 그 이름만으로 상대성을 인정하기는 좀 우스꽝스럽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제일 명칭인 兌와 艮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좀 더 쉽게 기능적인 차원 내지는 유심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兌란 卦 제일 명칭 옆에 심방변인 忄을 붙이면 悅자가 되고, 艮卦 역시 忄을 붙이면 恨자가 됩니다. 제일 명칭 중의 하나는 우리 마음의 긍정적인 상태에서 오는 즐거움이요, 하나는 우리 마음의 부정적인 상태에서 오는 괴로움의 표현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실제로 兌卦가 들어간 64卦의 해설을 보건대 兌는 즐거움이니 희열이니 하는 유심적 해설 장면들이 많이 나옵니다. 역시 艮은 괴로움, 곤란이니 하는 인간이 갖는 감정의 부정적 내면을 상징하여 괘를 풀이한 것을 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우주의 실상을 외형적, 가시적인 어떤 구성요소로서 판단되어진 것으로 나타낸 것이 하나요, 내면적인 감정 인식의 세계를 나타낸 것으로 보는 것이 또 하나입니다. 즉, 물질과 마음이 둘이 아닌 차원에서 관찰 표현되어진 것이 주역의 八卦 철학이론이 아닌가 합니다. 

  그렇다면 乾과 坤도 역시 어떠한 마음의 긍정적인 상태와 부정적인 상태로 표현한 것이요, 離와 坎, 巽과 震들 역시 긍정과 부정적 상태로 표현한 것임을 추리하여 볼 수 있습니다. 요컨대 옛 선인들은 인간 내면의 감정세계를 탐사하여 그 상대성인 어떠한 원리로 나타내어 이곳에 은밀히 상징해 놓았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증거로는 64卦의 표상을 몇 자 안되는 함축되어진 단어로써 취상할 때 그 단어가 취상 되어질 수밖에 없는 기초적인 상황 원인을 우리는 찾기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山과 澤卦가 만나서 山澤巽의 損자가 취상되어 졌는데 山과 澤이 만나서 손해를 본다는 그러한 어떤 인간사에서 등장되어지는 유심적 세계의 언어가 등장되어진 것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山이 가지고 있는 또 하나의 의미 艮, 澤이 가지고 있는 태의 의미가 기능적인 차원, 유심적인 차원에서 관찰되어진 후 이 두 요소의 복합상황을 추리해 내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산과 못이 만나서 손해를 이룬다는 유물적인 차원의 접근은 좀 난해합니다. 그러나 좀 더 용이한 방법으로는 그 卦象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의 특징을 유심적인 차원의 복합적인 상황으로 종합해 보자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어떤 두 가지의 복합된 상황이므로 해석이 어렵습니다. 한 가지 한 가지가 어떤 유심적 상황을 얘기 했느냐? 그런데 어떤 경락이 여기에 배당이 되느냐? 하는 것을 알면 그 경락의 특징을 알 수 있잖아요? 그러면 그 경락에 물질적인 어떤 상황이 생기느냐? 가령 흰색이 많은 사람은 陽明경락이 實하겠구나 그 경락을 瀉해 주자? 이런 식으로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응용이 됩니다. 그러므로 八卦와의 유심적인 연결이 사실 이 강의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결국은 누가 더 관찰력이 좋으냐 하는 것입니다. 

 

금까마귀가 東에서 일어나서 어느 쪽으로 날아가느냐? (金烏東起向何方) 

남산이 아니면 북쪽 언덕이 아니겠느냐.(不是南山與北岡)  

금년 다가도록 다른 길이 없으니(意歲終年無異路) 

금년에는 산봉우리 위에서 광명을 보겠구나.(今年又見嶺頭光)  

 

  "懶翁" (1320~1376 고려 공민왕 때 승려 혜륵의 법호. 속성은 아, 당호는 원혜로 영해사람. 중국 원나라 북경에서 지공을 뵙고 계오한 바 있었고, 그의 법의와 불자를 전해 받다. 1376(고려 우왕 2년)년 세수 57세 법랍 38세를 일기로 입적) 

 

  금까마귀란 애초에 없는 물건인데 그것을 노랗다, 검다 할 수 있습니까? 없는 존재를 두고 남산으로 날아갔다, 북산이다 하는 시비지심과 분리의식을 일으키게 하는 이 시의 말 끝에 속으면 안되지요. 

  이 강의는 이론을 풀어헤치기 전에 근본에 대한 망각을 일깨워주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앞에서는 八卦가 唯心的으로 어떻게 연결이 가능하다는 암시만 드렸지만 이제부터 구체적인 부분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인간이 지닌 1차, 2차, 3차적인 욕망은 어떤 충동에 만족된 상태와 불만족된 상태를 띠게 되는데, 그것을 주역에서 찾는다면 바로 兌卦와 艮卦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잠깐 여러분의 상생, 상극 사고방식을 짚고 넘어가야겠습니다. 木, 火, 土, 金, 水나 사계의 상생은 변하지 않습니다. 순환의 진리이지요. 그러나 六氣는 상생상극과 무관하게 아무 곳이나 막 끼어듭니다. 봄날씨가 아주 차거나 습할 때가 있는가하면 겨울이 아주 포근할 때가 있지요. 그러므로 六氣공부를 할 때는 상생, 상극을 일단 잊어버려야 합니다. 정신차리고 잘 들어 주세요. 상극인 水克火를 여러분은 물이 불을 꺼 주는 것으로 알고 있지요? 그건 그저 반 정도만 이해한 겁니다. 사주를 볼 때도 여자가 水이고 남자가 火라면, 돌팔이 사주쟁이는 "어! 그 여자 물장사나 술장사를 해야되고 남자를 괴롭힐 여자입니다. 조심하십시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명리공부를 잘 하신 분은 "천만의 말씀입니다. 여자가 남자를 잘 돕고 북돋아줄 상입니다"라고 합니다. 똑같은 사주의 해석이 이렇게 달라집니다. 여러분들은 해석을 함부로 하지 마세요. 물이 항상 불을 이기는 것은 아닙니다. 기름등잔의 경우는 水生火가 되지요. 또, 전기는 더운 기운인데 에어콘과 냉장고가 존재 하지요. 그러므로 사주의 해석도 일률적으로 상생, 상극의 이론에 맞출 수는 없는 것입니다. 

  뚱뚱한 사람이 밤새도록 헤엄치고, 물 마시고, 비 맞는 꿈을 꾸었다면 "아무래도 당신 병이 심해지겠습니다"라고 말해주고, 비쩍 마른 환자가 같은 꿈을 꾸었다면 "아하! 이제 당신 병이 낫겠군요"라고 해석해 주어야겠지요. 뚱뚱한 사람은 몸에 濕이 많은데 물놀이를 해서야 되겠습니까. 이건 흡사 뚱뚱한 사람을 치료할 때 숙지황 1兩에 麥門冬, 天門冬을 넣고 돼지고기와 마요네즈를 먹으라는 것과 같은 말이 되겠지요. 같은 꿈이라 하더라도 음양이 있는 것입니다. 고정관념으로 상생, 상극을 보면 안됩니다. 특히 많이 외워오신 분들일수록 국한된 사고방식에 빠지기 쉽지요. 腎臟이 虛하다고 할 때, 腎은 水니까 金生水의 원칙에 의해서 金인 肺만 건드려 주면 되느냐 하면 그렇지가 않지요. 六經을 접함에 우선 상생, 상극의 선입견을 떨어버리시기 바랍니다.

 

   Copyright(C) 2001 Sa-Am non-profit Acupuncture Service All rights reserved.

 

 

http://www.saam.net/saamacu/revolution/rev5-1.htm

 

5. 오행 육경

 

五行上 사고로는 肝이 나쁘면 水生木의 원칙에 의해서 腎經을 補하면 되는 것으로 생각하기가 쉽습니다. 그런데 六氣를 중요하게 여기는 舍岩針法에서는 엉뚱하게도 그 내용물에 해당하는 少陽・厥陰・少陰 등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치료법이 완전히 달라지게 됩니다. 가령 太陽病(몸이 찬 사람)을 치료한다고 하면 어느 경락을 취해야 되겠습니까? 少陰經絡이지요. 그러면 手太陽小腸經을 치료할 때에 手少陰과 足少陰 중에서 어느 것을 취해야 되겠습니까? 手太陽小腸經과 手少陰心經이 같은 手이므로 手少陰心經이 아니겠느냐 하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렇다면 卦象으로서 알아보기로 합시다.

手太陽小腸經의 卦, 足少陰腎經의 卦, 手少陰心經의 卦를 대입시켜 볼 때 手少陰心經과 手太陽小腸經이 짝이 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아래가 火, 위가 水인 手太陽小腸經의 짝은 아래가 水, 위가 火인 足少陰腎經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相合치료라고 하는데, 이 치료는 瀉하는 것이 아니라 짝이 되는(반대적인) 경락을 補해 주는 것입니다. 혹은 그 경락은 正格을 쓴다고도 합니다.

혹자는, "太陽經(寒水)은 물이 많고 차가우므로 少陰經으로 補할 것이 아니고 手太陽이나 足太陽의 勝格으로 瀉할 수도 있지 않습니까?"라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요. 그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舍岩針法에서는 一切의 針에 80% 이상은 正格을 씁니다. 가령 시이소오가 있다고 합시다. 밑쪽을 들어올리는 것보다는 윗쪽을 내려 주는 것이 힘이 덜 들겠지요.

의료봉사 활동에서 쓴 비율을 조사해 본 결과 正格이 80%이상이었고 勝格은 20%에 채 못미쳤었습니다. 이것은 "左病右治하고 上病下治한다" "下病上治하고 右病左治한다"는 이론에 부합되는 결과입니다. 이상의 내용이 잘 이해가 되지 않을 때에는 各經絡의 卦象을 그려봐서 상대되는 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手少陽三焦經과 足厥陰肝經, 手厥陰心包와 足少陽膽經이 서로 짝이 됩니다. 따라서 肝經絡의 病(肝臟病이 아님)은 手少陽三焦經을 補함으로써 치료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 본과 3 4학년 되신 분들! 수소양삼초경에 있는 穴로 치료할 수 있는 병이 몇가지나 되는지 알고 계십니까? 아마 液門穴, 中渚穴로 肩臂痛을 치료하는 정도만 외웠을 것입니다. 아니면 기껏 外關穴은 外感에 쓰고 內關穴은 內傷에 쓴다는 정도만 알고 있겠지요. 솔직히 말해 보세요. 그렇지요? 體針法이란 이렇게 유치하지만 참으로 희한한 사실입니다.

여러분들이 중풍을 치료하듯이 足三里, 合谷, 人中, 曲池에 침을 놓고 十宣穴을 따고...이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중풍이 어떤 형식으로 왔는가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작년에 강좌를 진행하던 도중 한 학생의 입이 비뚤어진 일이 있었습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테니스 치고 땀을 빼고 아침밥을 굶고 와서는 강좌 듣느라 에어콘 바람을 서너 시간 그것도 한쪽 방향으로만 쐬다 보니 口眼喎斜, 偏風口喎로 입이 홱 돌아가버렸습니다. 그때 제가 어떤 經絡의 針을 놓았겠습니까? 어쨌든 굉장히 마른 사람이 과로에 밥까지 굶었으니 신체리듬(1차리듬)에 손상이 온 걸로 봐야겠지요. 신체리듬을 補할 때는 어느 경을 놓습니까? 太陰經을 놔야지요. 그래서 足太陰脾經을 놓아주었습니다. 그랬더니 입이 제자리로 돌아오더군요. 지금 그 학생은 한의학을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학교에서 배운대로 침을 놓는다고 人中, 承漿등 여기 저기 꽂아대다 보면 오십개 정도는 놓아야 되겠지요. 그러므로 내가 말하고자 하는 요점은, 厥陰經絡은 少陽經絡으로, 少陰經絡은 太陽經絡으로, 陽明經絡을 太陰經絡으로 치료한다는 정도가 아니라 足厥陰經의 병을 手少陽經으로, 手少陰經을 足太陽經으로 치료한다는 부분까지를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주역 괘상으로 증명이 되는데 여러분은 괘상이 거꾸로 맞물고 돌아가는 것을 우선 외우셔야 합니다.

肝은 五運이 木, 六氣가 厥陰이고, 風卦가 두 개 들어가므로 이름을 重風巽이라 하지요. 心은 五運이 火 六氣는 少陰이고, 卦象은 火가 두개이므로 重火離가 되지요. 이렇게 오행과 육기가 같은 것은 별문제가 되지 않는데, 가령 足少陰腎을 보면 오운은 水, 육기는 少陰君火가 되고, 괘상은 火水未濟(아래가 水이고 위가 火이면 未濟라함). 手太陽小腸을 보면 오운은 火, 육기는 太陽, 괘상은 水火旣濟(아래가 火, 위가 水이면 旣濟라함)가 됨을 주시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완벽한 운동성의 진리가 숨겨져 있습니다. 어떤 卦를 또르르 굴려봐서 未濟卦가 나오면 그것은 흉한 卦입니다. 반대로 旣濟卦가 나오면 그것은 길한 卦입니다. 그러므로 未濟卦가 나왔을 때에는 일을 도모해서는 안됩니다. 이것은 따로따로 놀 상이지요. 가령 아이스크림(찬음식)과 칼국수(더운음식)가 있다고 할 때 소화를 용이하게 하려면 어떤 것부터 먹어야 될까요? 아이스크림을 먼저 먹고, 칼국수를 먹게 되면 장이 예민한 사람은 대다수 탈이 나게 마련입니다. 火와 水의 관계일 경우 더운 것이 밑에 있고, 찬것이 위에 있을 때는 살아 있는, 운동성이 왕성한 象이지요. 즉 水升火降의 위치가 되었을 때가 動的, 生動的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地天泰와 天地否 이 두 괘는 어느 것이 吉한 괘일까요?

地天泰가 吉卦, 天地否는 凶卦지요. 上天 下地는 正位置로서 운동성이 없이 하늘은 하늘대로 땅은 땅대로 각기 따로 노는 象입니다. 우리 인체 내에서 변수로 가장 많이 작용하는 것이 火와 水라 했습니다. "足少陽膽經"의 경우 오행은 木, 六氣는 少陽, 卦象은 雷風恒이 되지요. '恒은 허물이 없으며 곧고, 가는 곳이 있으면 이롭고 형통한다'이런 식으로 공부하다 보면 쉽게 64卦 중 12卦는 공부하게 됩니다. 별 부담없이 주역과 친해질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여러분 스스로 주역을 보기 용이하고 재미도 붙게 될 것입니다. 

 

 

 

주역은 확대해석을 잘 해야 됩니다. 少陽相火之氣를 지닌 아이가 못 되면 깡패지만 잘 되면 장군감입니다. 그러므로 일률적으로 해석을 해서는 안됩니다. "傷寒論"을 보면, 陽明經에는 땀이 많다고 합니다. 그건 양명경으로 열이 들어 금이 녹는 것과 같습니다. 이와 같이 복합적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해석을 잘 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주역에 나오는 해석들은 참고사항이므로 직접적인 큰 도움은 못 될지 모릅니다. 그것으로 미루어 짐작하라는 의미입니다. 

수태양소장경은 五行上 火, 六氣적으로는 太陽寒水이고 卦象은 水火旣濟라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小腸經은 인체 내에서 실로 중요하고 활동성 있는 부분이 되는 것입니다. 

腎臟도 중요하지만 小腸보다 완벽한 것이 아닙니다. 왜냐 하면 腎은 火水未濟이고 小腸은 水火旣濟로서 완전한 卦이기 때문입니다. 인체내에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입니까? '精과 血'이지요. 체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수태양소장경이 무엇을 이루고 있는 가는 나중에 각론에서 자세히 다룹니다만 小腸經이 엉뚱하게도 血을 주관한다는 이론이 여기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여자들의 경도, 코피가 나는 것 등 피와 관계되는 것은 전부 手太陽小腸經이지요. "여자들 병, 피에 관한 병은 모르면 그저 수태양소장경을 써라"라고 할 만큼 중요합니다. 

卦象을 볼 때 肝, 心, 脾, 大腸, 膀胱, 三焦는 같기 때문에 한번 망가지면 고치기가 힘듭니다. 상하가 두 개가 섞여 있지 않으므로 병이 걸렸다하면 중병인 것입니다. 반대로 상하가 같은 괘는 유물적, 유심적, 取象이 쉽고, 오운육기 상으로는 天符臟이라 칭합니다. 

肝에 대한 取象을 살펴보기로 합시다. 유물적인 취상은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 퉁소, 낙엽, 돛단배 등으로 표현할 수 있고 유심적인 취상은 도서관 문을 나설 때(만족스러이 지식을 얻고 문을 나선다는 뜻), 대포집에서 맥주를 시켜 먹는것(막걸리나 소주만 파는 대폿집에서 맥주를 시켜 먹으면 으쓱해진다는 뜻), 판자촌에 세단차 몰고 들어가는 것(자존심의 만족), 책사러 서점가는 것(지식을 얻기 위한것), 국민학교 수업시간에 떠드는 아이 이름적었다가 본인에게 불러주는 것, 또는 여학생 고무줄 끊어 놓고 도망가는 학생 잡으러 가는 것(선도라는 직책을 빙자하여 남에게 권력욕을 과시하는 것)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手少陰心經"은 오행과 육기가 모두 火이므로 유심적 取象은 불난 집에 담배꽁초 던지는 것, 여름날 정오의 정사와 같고, 유물적 取象은 여름날의 만원버스, 에어콘 없는 전시장, 무더운 날의 애정영화... 

"脾經"은 重澤兌이므로 유물적 취상은 물이 고인 웅덩이, 습지, 샘, 하천, 지하수와 같고, 유심적 취상은 많이 먹고난 후의 포만감, 편안히 쉬고 있을 때의 지루함 등과 같습니다. 

우리가 밥을 먹은 후 배를 두드린다면 足太陰脾經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足太陰脾經의 에너지가 실할 때 어떤 증상이 오겠는가 하는 것을 눈치챌 수 있겠지요. 화도 내보고, 배도 고파보고, 또 많이 먹어도 보세요. 그럴때 느끼게 되는 우리 기분의 변화로써 해당 經絡에 대한 느낌을 우리가 체험해 볼 수 있지 않겠습니까? 

"手太陰肺經"은 五行이 金이고 六氣는 太陰濕이므로 유물적 取象은 볼펜(겉은 딱딱한데 안에서 잉크가 나오므로), 만년필, 유조선, 비행기(體는 딱딱한데 연료는 액체이므로)와 같고, 유심적 取象은 화투를 쳐서 돈 잃다가 포커 쳐서 돈딸 때 (재물 손실후 회복하는 상황), 점심 굶고 저녁을 배로 먹는 것, 목마를 때 물마시기 등과 같습니다. 

"足少陰腎經"은 五行이 水, 六氣는 少陰君火이므로 取象을 해보면 호롱불(물과 불이 만난 상황이므로), 수중 Sex, 13일의 금요일이란 영화, 再會(못 만날까 걱정하다가 다시 만난 기쁨), 분만의 공포에 떨다가 무사히 출산한 것(공포와 즐거움의 상대적 개념을 일컬음),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걸작을 완성한 예술가의 마음 등입니다. 

"手厥陰心包經"은 風雷益이므로 取象을 해보면 따스하게 햇볕이 내려 쪼이는데 산들바람이 부는 것, 이른 봄날 같은 것, 국회의원 선거에 낙선되었는데 곧 국무총리로 임명된 상황(망신에서 명예로 살아난 의미), 분수모르고 날뛰던 자가 어느날 갑자기 주제파악을 하는 상황의 기분같은 것이 手厥陰心包經의 에너지가 되는 것입니다. 

"足少陽膽經"의 취상을 해보면 나무 횃불, 강연장에서 질문을 하다가 창피를 당한 경우(지식욕의 꺾임), 선거유세에서 비웃음만 산 경우(권력욕의 좌절), 아무리 풀어도 문제가 풀리지 않는 것(지식욕의 꺾임), 상장을 받으러 나가다가 넘어지게 된 경우, 넘어진 사람 일으켜 주다가 자기가 넘어지는 경우 등과 같은 기분이 足少陽膽經의 에너지가 되는 것입니다. 

"手太陽小腸經"의 취상을 해보면, 불난집에 물끼얹기, 비디오 보는데 정전이 되는 상황(언제 전기가 들어오게 될까하는 긴장감 같은 것)등과 같은 기분이 手太陽小腸經의 에너지가 되는 것입니다. 

"足陽明胃經"은 山澤損이므로 유물적 취상을 해보면 白沙場, 특히 오아시스가 가까이 있는 사막, 금괴가 묻혀 있는 땅과 같고, 유심적인 취상은 밥 잘 먹고 식중독 걸린 상황, 새로 맞춰 입은 옷이 못에 걸려 찢어진 상황, 배가 고프나 먹을 것이 없는 상황, 쉬고 싶으나 쉴 수 없는 상황 등이지요. 

"手陽明大腸經"은 重山艮이므로 취상을 해보면 다이아몬드, 무척 배가 고픈 것 , 아주 초조한 상태 드오가 같은 기분입니다. 어떤 사람은 많은 재물로 인해 재물축적에 권태를 느낀 상황이라고 했는데, 이런 경우는 脾가 실한 것으로 봐야겠지요. 

“足太陽膀胱經”은 重水坎이므로 취상을 해보면 저수지, 바다, 호수, 변태성욕자의 마음(공포감적인 면)등과 같은 기분입니다. 

"手少陽三焦經"은 重雷震이므로 유물적 取象은 번개, 따스한 햇볕, 교통사고가 나려해서 유리창으로 뛰어내리려는데 안내양이 욕을 하는 경우(교통사고의 위기에 눈에 불이 번쩍하는데다 욕까지 듣게되니 화가 더 나지요)와 같은 기분이 手少陽三焦經의 에너지가 되는 것입니다. 

결국 인간은 때로 수치심도 느껴야 되고 때로는 거만하기도 하고 때로는 열정에 빠지기도 하는 등 온갖 생각을 갖추게 될 때, 이 모든 것들이 조화를 이룰 때 두 경락의 에너지가 다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뚱뚱한 환자가 왔는데 熱이 있는 체질이라고 합시다. 몸이 뚱뚱하면 상식적으로는 몸이 冷해야 되는데 이 사람의 경우는 風과 濕과 熱이 있는 경우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姑息的으로 12經絡의 특성만을 그저 외워서는 안되겠지요. 

인간의 병이란 원인과 증세가 여러 형태로 되어 오기 마련입니다. 몸이 뚱뚱하면서 冷하면, 이뇨제로 木通, 澤瀉, 車前子, 燈心, 半夏, 南星, 薏苡仁을 넣고, 冷하므로 吳茱萸, 乾薑을 조금 넣으면 되고 몸이 熱하다고 할 경우는 知母, 黃栢같은 걸 넣어 주어야지요. 

이렇게 藥의 선택은 쉬운 편이지만 舍岩針에서는 12經絡 중 하나의 경락을 선택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12經絡 중 어느 것이 제일 확률이 많으냐 하는 것을 여러분이 선택할 때에는 무척 예민해야 되고 날카로와야 될 뿐 아니라 어떤 경우는 두 經絡을 함께 취해야 될지도 모르는 결단성이 요구됩니다. 즉 足少陰腎 勝格과 足太陰脾 正格을 동시에 놓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선 여러분들이 뜻을 얻어서 많이 활용하시기에 달렸습니다. 

왼쪽과 오른쪽에 암같은 積이 주먹만큼이나 커다랗게 붙어 있는 환자를 한 한의를 공부하는 학생이 완치시킨 일이 있었습니다. 병원을 몇 년이나 다녀도 낫지 않던 것을 한 학생이 일주일 간의 치료로 치유시켰던 것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치료를 해 주었느냐고 물었더니 左肝右肺論(해부학적으로 肝은 오른쪽에 있지만...) 左病右治, 右病左治論을 따라서 오른쪽에는 肝正格, 왼쪽에는 肺正格을 놨다고 하더군요. 

그랬더니 일주일 만에 積이 완전히 없어지더라는 것이었어요. 신기한 일이지요. 여러분들도 五運과 六氣가 相合이 되는 경우를 잘 연구하시면 실제 병을 보는 데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그리하면 다각적인 면으로 환자의 병을 검토하게 되고, 혹 잘못보았을 경우 다른 경락을 선택하는데 상당히 이로운 것입니다. 

대체로 마른 사람은 몸이 덥기 마련인데, 마르고 몸이 더운 환자에게는 足厥陰肝經이나 足太陽膀胱經이 좋겠지요. 그러나 왜냐하면 뜻을 얻기에 따라 적용하는 방법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大黃을 한 돈 넣느냐, 黃連을 두 돈 넣느냐를 두고 어느 편이 더 낫다고 무턱대고 단언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일제시대 때, 名醫가 두 사람 있었는데 한 사람은 무슨 병이라도 약 서너첩에 완치를 해 주었고, 다른 한 사람은 六味地黃湯을 수십 첩씩 썼다고 합니다. 그런데 전자의 환자는 오래 살지 못하고 죽어갔고, 후자의 환자들은 무난하게 장수를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가난한 사람에게 六味地黃湯을 長服하라고 하는 것이나 약을 독하게 쓰느냐 약하게 쓰느냐하는 정도의 결정은 매우 어려운 점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十二經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지극히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그런 상황을 여러분들은 신중하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몸이 말랐는데 冷한 환자에게 足少陰腎經을 썼다. 물(腎은 오행상 水이므로)도 넣어주고, 몸이 냉하므로 火氣(少陰君火)도 넣어주기 위해서 足少陰腎經을 썼다고 한다면 무난한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12經絡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면 적중할 확률이 1/12이 되고, 12經絡을 正格과 勝格으로 나누게 되면 1/24의 확률이 됩니다. 그러므로 오행과 육기가 서로 교차되는 유심적, 유물적 取象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와 공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짬뽕이 되는 상황을 열심히 생각하셔서 물, 불, 바람, 땅...등을 확대 해석함으로써 인간의 여러가지 경우와 결부를 시켜보십시오. 인간 관계 속에서 두 가지 마음이 相合되는 기분이나 미묘한 감정을 이해할 수 있을 때, 환자를 보더라도 침은 어떤 經絡을, 藥은 어떻게 君臣佐使를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天符臟(肝, 心, 脾, 大腸, 膀胱, 三焦)은 자극이 매우 강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心經, 膀胱經은 자칫 사람이 잘못되기 쉬우므로 足太陽膀胱經이나 手少陰心經을 補할 때에는 신중히 하여야 합니다. 12經絡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무턱대고 열이 있다고 해서 足太陽膀胱經을 補하면 큰일이 생길 수가 있는 것입니다. 

'醫者는 意也라' 모름지기 뜻을 얻어야 합니다. 물을 없앨 때 바람으로 말리느냐, 불로 말리느냐, 이뇨를 시키느냐, 아니면 분필가루(陽明燥金)로 빨아들이느냐하는 것은 뜻을 얻지 않고는 알 수가 없습니다. 촛불을 끄는데 물을 한 바가지 부을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 

少陽相火之氣를 厥陰風으로 치료한다고 하더라도 厥陰經 대신 足陽明胃經을 놓을 경우도 있을 것이고, 달리 龍骨牡蠣湯을 써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舍岩針灸要訣"을 보면 이와 같은 경우의 대표적인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外資가 充血인지라 붉고 푸른 것은 胃經의 虛熱인지라 內庭, 通谷을 補하고 三里, 委中을 瀉해라. 內眥에 赤紅色의 起肉이 有한 것은 心經實熱인지라 少海, 陰谷을 補하고 少府, 然谷을 瀉해라" 

 

눈두덩이 복숭아처럼 부은 것은 脾經으로 치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새말로 白內障, 綠內障이라고 하는 검은 자위와 흰자위 사이에 白苔가 끼는 것은 엄밀히 따져 보면 相火之氣에 의한 것입니다. 즉 심히 화가 나거나 자식을 잃은 슬픔이 너무 큰 경우나 괴로움이 극심한 일을 당했을 때 忿心을 삭이지 못해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胃虛인지라 胃正格을 쓰라'고 되어 있습니다. 胃라는 것을 그저 소화와 연결시키거나 土와 연관짓는 五行的인 차원으로만 생각하면 안됩니다. 

足陽明胃經이란 불이 타고 있는 데에 모래를 뿌려 주는 상황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아뭏든 각 經絡에 흐르는 에너지에 대한 느낌을 여러분들이 잘 생각해야 하는 것입니다. 또 手陽明大腸經을 스폰지 같은 것으로 연상하라고 하는 까닭은 手陽明大腸經을 補해 주게 되면 수분을 건조시키게 되므로 그 성질이 스폰지의 그것과 같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만 이해해서는 안되고, 陽明이 가진 성질이 서늘하다는 것을 또 이해해야 합니다. 

濕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들은 濕을 그저 축축한 것으로만 생각하는데 사실은 이것이 土와 관계하고 있으므로 土에 관계되는 특징 또한 있는 것입니다. 濕은 대체로 熱을 끼고 있지요. 이러한 점들은 참 미묘합니다. 그러므로 각 經絡에 흐르는 에너지에 대한 추정은 이렇게 다각적이고도 많은 검토로도 미진한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은 항상 주위에서 일어나는 기분이라든가 어떠한 상황에 따른 心境의 변화에 대해 예민하게 깨어 있어야 합니다. 이것으로 經絡의 성품을 대충 공부했는데 이제는 治病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저는 편의상 六經을 厥陰→少陰→太陰→少陽→陽明→太陽(陰은 陰끼리 陽은 陽끼리)으로 진행을 시키겠습니다. 간단한 예를 하나 들어보면 厥陰인 지식욕, 명예욕이 그 상태로 유지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고 性이나 어떤 정열적인 충동으로 (즉 少陰으로) 변할 수가 있습니다. 또 성욕이 충족되지 않는다든가 하여 太陰, 즉 食欲 따위로 둔갑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궐음→소음→태음→소양→양명→태양으로 외우는 것이 이해가 용이합니다. 

자! 그러면 六經의 맛 소리 형상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厥陰(巽風, 風)은 3차 리듬(知性리듬)에 해당한다고 했습니다. 예를 들면 명예욕 지식욕 승부욕 권력욕 자존심 등에 해당합니다. 少陰(이화, 군화)은 2차 리듬(感性리듬)즉 성충동, 예술적인 충동, 열정 등입니다. 

太陰(兌澤, 濕)은 1차 리듬(身體리듬)으로 의식주와 같은 신체를 유지시키는 식욕 등을 일컫습니다. 

少陽(震雷 相火)은 厥陰의 반대작용이므로 명예욕에 따르는 수치심, 무지, 권력을 놓친 패배의식, 승부욕에서 비롯된 열등감이며 공격적 성향, 파괴, 살인, 살생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陽明(艮山, 燥)은 호주머니가 비었을 때의 초조감, 허기짐, 재물 상실의 아픔, 누더기 옷을 입는 빈곤감, 배고픔등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太陽(坎水, 寒)은 애인을 뺏기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 경계의식, 긴장감등을 일컫습니다.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그린 八卦圖에서 서로 대칭되는 괘가 반대개념임을 이해하시면 위의 이야기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위에 예로 들어놓은 감정들을 마음 속에 가지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정상인이 아니겠지요. 적당한 자존심이나 명예욕, 약간은 의식주에 대한 욕망도 있어야 하고, 노름판에서 돈을 잃었을 때 초조한 느낌도 받아야 정상이겠지요. 그런데 이것이 너무 실해서 삿되게 작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령, 厥陰은 거만심이 생기기도 하고 학자적인 교만감, 상대방을 내려다보는 경멸감, 무형의 우열을 가리고자 하는 승부욕 등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厥陰이라는 상황을 판별하거나, 그것이 정기로 작용하는지 사기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단순히 느낌만으로 알기 어려울 때에는 色이나 形狀, 맛 등으로 추리를 할 수도 있는데 우린 바로 이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少陰은 삿되게 작용이 되면 음탕하거나 방탕한 마음, 방종, 퇴폐적 쾌락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太陰의 삿된작용은 음식을 많이 먹은 포만감, 지루함 등으로 나타납니다. 여러분 주변의 인생의 실패자들을 보십시오. 그저 나태하고 지루해 보이며 비대합니다. 젊었을 때는 좀 陽明해야 합니다. 少陽之氣가 삿되게 작용할 때는 잔혹함, 잔인한 내면의 氣가 표출되게 됩니다. 몰인정하게 됩니다. 경계의식이 강하면 냉정하게 보입니다. 그리고 열등감, 자기 비하의식, 공격적인 성품, 방어의식 등은 少陽之氣입니다. 陽明이 나쁘게 작용하는 것은 너무 궁상스러운 것, 또는 거지근성입니다. 사람이 살아감에 있어서 다소의 조심성, 긴장감은 있어야 되지만 太陽之氣가 邪氣로 작용하면 겁이 많고 졸렬한 사람이 되거나 의혹과 의심이 많은 사람이 됩니다. 니힐리즘 즉 허무주의도 여기에 속합니다. 이상이 六經이 바르게 작용할 때와 삿되게 작용할 때의 유심적인 取象입니다. 

그런데 이 唯心的 取象은 이해하기는 쉬울지 모르나 사람을 보았을 때 직관으로 그 사람의 유심적 취상을 포착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무척 어렵습니다. 환자를 볼 때 우리는 觀形察色을 하지요. 관형찰색 가운데 色을 한번 살펴 봅시다. 

여러분! 도서관 간판을 음식점에 단다면 어울릴까요? 모든 상점에는 그 업종의 분위기에 맞는 색깔이 있습니다. 厥陰은 靑色이나 綠色에 해당하지요. 그러므로 얼굴에 푸르팅팅한 怒氣가 등등하다고 하면 足厥陰肝經의 에너지가 얼굴에 모였기 때문입니다. 어린아이들 診脈을 어떻게 합니까? 手陽明大腸經에 흐르는 에너지를 중시 하지요. 이 수양명대장경은 가장 투명하고 陽明하므로 속에 있는 열이라든가 병변이 아주 잘 드러납니다. 맑은 물 속이 환히 들여다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지요. 

한두살 된 애기를 데리고 온 엄마가 "얘가 푸른 똥을 싸는데 驚氣가 있는지, 없는지요?"하고 물어오면, 애기 눈을 뒤집어 보고 항문을 열어 보고 발톱보고 맥진한답시고 寸, 關, 尺을 찾을 겁니까? 세 손가락을 애기 손목에 얹으면 팔뚝까지 덮힐텐데요. 이 때는 手陽明大腸經이 흐르는 두번째 손가락을 보고 알아내야 합니다. 그러면 脈에 대해서 잠깐만 얘기를 더 해보겠습니다. 

양의사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한의사들은 옛날에 임금의 애첩을 실만으로 맥을 짚어보아 병을 알아냈다고 하는데, 우리는 직접 청진기로 심장소리를 듣고, 심전도 검사까지 해도 모르는 병이 많은데 맥을 보고 병을 알아낸다고? 세상에 그렇게 우둔한 사람들이 있다니" 

脈學을 공부할 때 옛날 스승님께서 멋진 비유를 해 주셨던 것이 생각나는군요.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는지 알고자 할 때 나무뿌리쪽을 보아서는 결코 알 수가 없다. 태풍이 아닌 다음에야 뿌리는 미동도 하지 않는다. 그런데 나뭇잎은 작은 바람에도 살랑살랑 흔들리는 법이다" 

한 나라의 정치가 잘 되고 있는지를 알려면 시골 면서기 9급 공무원의 행동을 보면 알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심장에 청진기를 대어서 알 수 있는것은 結代脈이나 不整脈과 같이 쿵덕 쿵덕~쿵덕덕 하는 불규칙적인 맥박 정도입니다. 이렇게 불규칙적으로 맥이 뛰는 사람은 한방에서 볼 때는 眞陰이 모두 고갈된 사람이므로 죽음이 임박한 사람입니다. 나무의 말단부분인 나뭇잎을 보면 바람이 부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듯이 몸의 말단인 손끝을 짚어보면 인체내부의 미묘한 움직임까지도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뜨고(浮脈), 가라앉고(心脈), 빨리 뛰고(數脈), 늦게 뛰고(遲脈), 매끄럽고(滑脈), 꺼끌 꺼끌(澁脈), 속은 비고 겉은 단단한 芤脈(규맥은 血虛에서 온다고함), 또 속은 實한데 겉은 없다(氣虛)는 등...이 脈診을 하는 손을 거칠게 다루어 상하게 하면 안됩니다. 옛말에 "脈도 모르고 침통 흔든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환자가 왔을 때 脈도 보지 않고 頭痛이라 하면 列缺穴, 소화가 안된다고 하면 足三里, 이런 식으로 해선 안되지요. 脈을 일단 보고 빨리 뛴다고 하면 "으흠, 熱이 있겠군. 그러니까 太陽經이나 陽明經을 써야겠다" 이렇게 맥을 보고도 처방이 곧바로 나올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요즘 젊은 한의사들 중 99.9%는 침 놓을 때 맥을 보지 않습니다. 이렇게 脈을 보지 않는 이유는 맥을 보는데 대한 어려움보다 맥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나뭇잎을 아주 미세하게 흔드는 바람일지라도, 오래 방치하면 병을 일으킵니다. 그런데 가벼운 병, 혹은 병이 오기전에 미루어 짐작하는 것은 맥이 아니면 안됩니다. 脈學에 조예가 깊은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자기가 화가 났을 때나, 체했을 때, 오줌이 안 나올 때나, 땀이 안나올 때, 오한이 날때 등 자주 자신의 맥을 본다고 합니다. 

王叔和 선생에게 누가 묻기를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해서 그렇게도 맥을 잘 보십니까?"고 하자 "나는 내 자신의 맥을 스스로 10년 동안이나 지켜보았네. 그러니까 터득 되더군!"  

바로 이것입니다. 여러분들도 자신의 맥을 열심히 보십시오. 여러분들의 감정에 변화가 있을 때마다 맥을 짚어 보세요. 그리고 여러분은 추호라도 이 맥학을 불신하지 마십시오. 어린이의 맥은 어디를 어떻게 봐야 합니까? 바로 두 번째 손가락의 手陽明大腸經을 봅니다. 陽明한 사람은 곧잘 남의 잘못을 지적해 주는 등 자신의 속을 잘 드러 냅니다. 

누군가가 길을 물어 왔을 때, 방향이나 특정한 물건을 가리킬 때, 우리는 예외 없이 둘째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즉 陽明은 표지판과 같은 것입니다. 그런데 실핏줄이 기관까지 올라가면 경기가 시작되고, 명관까지 올라가게 되면 생명이 위독하게 됩니다. 놀래서 얼굴이 푸르팅팅한 것은 이와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少陰은 赤色, 太陰은 濕土니까 黃色, 少陽은 赤白光色(뜨겁지 않은 빛과 유사함)입니다. 여러분은, 화가 무지하게 났을 때인데 의외로 냉정을 찾아서 아주 표연해지는 경험을 하신적이 있었을 겁니다. 화가 나면 몸을 파르르 떨거나, 살기 등등한 사람을 볼때 소름이 끼치는 것이 少陽之氣입니다.

 

 

陽明은 白色, 太陽은 黑色이라고 대체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주는 어떤 경락에 해당할까요. 흑색과 붉은 색이 섞인 것이므로 太陽寒水나 少陰君火가 내포된 어느 경락이 되겠지요. 자주색은 經絡上 手太陽小腸經에 가깝다고 봅니다. 산이 많은 지형에서 사는 민족은 대개 백색 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어느 나라든 높은 공중에서 내려다 봐서 어떤 일정한 색의 옷을 많이 입고 다닌다면 그 색깔만으로도 국민성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저의 주역 선생님이 주역의 신비함을 말씀하실 때 해 주신 것입니다. 카르멘 같은 여자에게는 자줏빛 옷을 입혀야지 보라색이나 하늘색 내지는 애매모호한 색의 옷을 입힌다면 어울리겠습니까? 이렇게 되는 까닭은 각각의 색깔이 가진 이미지가 경락의 이미지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보라색이나 회색은 어느 經絡에 해당이 되겠는지 여러분 스스로 추측해 보셔서 주역의 오묘함을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느 색 하나를 집중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병적입니다. 저더러 바둑통을 만들라고 한다면 하나는 빨간통, 또 하나는 파란통을 만들겠습니다. 그리하면 흑과 백의 바둑알, 中央土인 황색 바둑판, 赤과 靑의 바둑통으로 五行의 다섯 색이 모두 완비되지요. 만약 바둑판을 참으로 무난한 中央土의 황색으로 하지 않고 자주나 보라색으로 칠했다면 눈이 어지러워 몇 시간 두지를 못할 것입니다. 이렇게 옛 사람들의 지혜는 우리가 생각해도 놀라울 정도입니다. 

의상의 색도 마찬가집니다. 뚱뚱한 사람은 가볍고 밝은 옷을 입어야지 검정이나 자줏빛 옷을 입으면 보기에 아주 무겁고 보기도 좋지 않을 것입니다. 또 몸이 마른 사람이 너무 밝고 가벼운 옷을 입으면 이내 날아갈 것 같겠지요. 이때는 좀 무거운 색상의 옷을 입어야지요. 六經上의 相生相克과 보완관계는 대단한 것입니다. 한약을 지을 때에도 약을 다 짓고 보니까 전반적으로 색깔이 우중충하다 싶으면 五味子나 紅花 조금, 枸杞子 조금 그리고 청색을 띤 약도 조금 넣습니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고 하지 않습니까? 음식은 입만으로 먹는게 아니라 눈으로도 먹는 것입니다. 祭禮는 密敎禮式으로부터 온 것인데 제삿상에는 木・火・土・金・水의 오색이 다 들어 있습니다. 

밤새도록 책을 보면서 줄담배를 피웠다고 합시다. 무엇을 먹으면 좋을까요? "方藥合編"(杏林出版 P.188)에 있는 '煙草'를 보면 '담배는 陽盛氣越하여 건조하므로 火가 많거나 氣虛多汗한 사람에게는 마땅치 않는데 혹시 담배에 취해서 넘어지는 사람에게는 냉수나 설탕물을 먹이면 깨어난다'고 나와 있지요. 담배는 陽明燥金에 가깝습니다. 맵고 가볍지요. 또한 연기를 쐬면 건조해지기 마련이지요. 그러므로 건조를 완화시키는 데에는 물을 뿌려주든가 단맛(설탕물)이 제격이지요. 

최루탄에 중독된 경우라도 한의사는 陰陽치료법을 찾아낼 수 있을것입니다. 또 '煙草는 性이 純陽하여 善行 善散하므로 陰滯에 쓰면 神效하다'고 쓰여 있습니다. 

삐쩍 말라서 濕도 없고 진액이 부족한 사람이 담배를 피우니 암에 걸리지, 뚱뚱하고 冷한 것 좋아하는 사람은 절대 담배로 인한 암은 걸리지 않습니다. 처어칠 같은 사람이 담배를 피우면 보기에도 얼마나 좋습니까. 담배는 무조건 암의 원인이다는 생각은 어리석습니다. 大黃이나 附子, 人蔘도 잘못 쓰면(陰陽을 모르고)암의 원인이 되지 말라는 법이 어디 있겠습니까? 

옛날 어느 한의사가 의대를 졸업한 아들을 두었는데 나중에 그 아들이 박사가 되었답니다. 그런데 그 무렵 페니실린이 마구 들어오기 시작했고, 양방의사들은 이 페니실린의 효능을 너무나 믿은 나머지 아무에게나 막 주사를 놓게 되었지요. 지금은 After skin Test를 합니다만 처음에는 하지 않았어요. 

한의사 아버지가 아들에게 페니실린의 출처를 묻자 아들은 무식한(?) 아버지를 責하며 구라파 사람이 푸른곰팡이에서 추출한 것이라고 대답을 했지요. 그러자 그 아버지는 "不作用이 있을테니 陰人에겐 쓰지 말아라. 陰虛火動에는 좋고 熱에는 좋을지 모르나 뚱뚱하고 濕한 사람에게 쓰면 안된다...." 그러자 아들은 아버지를 비웃었습니다. 그로부터 얼마 후 페니실린 쇼크로 죽는 사람이 도처에서 속출했습니다. 이리 되고 나서야 비로소 주사 전에 skin test를 하게 되었지요. 마른 여자들의 담이 끓는 기침이나 냉대하에는 페니실린이 잘 듣습니다. 그러나 몸이 비대한 사람들이 날이 궂으면 몸이 쑤시고 냉이 많이 흐르거나, 음식 많이 먹고 드러눕기 좋아하는 사람에겐 페니실린이 무효합니다. 왜 그럴까요? 페니실린은 濕地에서 나온 濕毒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소위 폐결핵이라고 하는 陰虛火動에는 잘 듣기 마련입니다. 六味地黃湯에 知母・黃栢을 넣거나 滋陰降火湯(中統42번)을 써야 하는 증세에는 들을지 모르지만 뚱뚱한 사람에게 쓰면 페니실린의 약성이 강하니까 우선 듣는 듯 하다가는 다시 또 재발이 되고 맙니다. 그리고 양방에서 일컫는 전립선염, 트리코모나스 膣炎 따위의 濕해서 오는 병은 마이신으로 고치기에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한방에서는 補中益氣湯에 半夏나 南星을 넣는다든지 해서 거습지제를 쓰면 쉬 나을 수 있지요. 厥陰은 신 맛, 少陰은 쓴 맛 중에서도 거두어들이는 쓴 맛입니다. 멍게를 먹어보면 맛이 쌉싸름한데도 자꾸 침이 생기고 삼키고 싶어지지요. 이것은 少陰君火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쓴 맛인데도 뱉아내고 싶은 맛이 있는데 이것은 少陽이지요. 太陰은 甘味, 陽明은 辛味, 太陽은 鹹味로 분류됩니다. 짠 맛도 내뱉고 싶은 맛이지요. 그래서 구토를 시키고자 할 때 소금물을 먹이는 것입니다. "東醫寶鑑"에 보면, 酸味를 많이 먹으면 음욕이 많아진다고 쓰여 있습니다. 신맛을 많이 먹으면 명예욕이나 권력욕, 야심이 많아지는 법입니다. 그러므로 공부하는 학생들은 음식을 좀 시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뚱뚱한 사람들은 좀 맵게 먹는 것이 좋지요. 

이번에는 소리에 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소리에는 五音 즉 宮(土), 商(金), 角(木), 徵(火), 羽(水)가 있습니다. 만일 도레미파솔라시도를 木火土金水에 배속을 시킨다면 배속이 될까요? 이것은 五行上의 관점과 六氣上의 관점을 터득하기 전에는 불가능하겠지요. 그렇다면 宮・商・角・徵・羽를 오행에 배속시킨 옛 선인들의 뜻을 이해할 수있겠습니까? 이 속에는 五行的인 차원의 다른 여러 의미가 들어 있을 지 모르는 일입니다. 저는 이 五音의 意味를 잘 알지 못합니다. 천계에서 누가 내려 왔을 때, 이 地球上의 글자 중 가장 멋진 언어를 찾아보라고 한다면 아마 한글을 선택하리라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五行과 六氣가 혼합되어 나오는 것 같거든요. 즉 形의 盛衰인 器와 氣의 多少인 質이 혼합된 상황과 같지요. 

'아'와 '우'의 중간음을 '음'이라고 앞에서 말씀드렸는데 옛부터 내려오는 치료법 중에 '아 어 음 이 우'를 일정한 방법으로 계속 반복을 하면 어떤 질병이라도 다 낫는다는 음성치료법이 있습니다(단, 이때는 각 發音의 입술 모양을 확실히 해주어야 합니다). 지금 ○○道에서 어떤 분은 오직 음성학만으로 병을 치료하는 분이 있다고 합니다. 

한글의 모음은 형상에서 따온 것이라는데 여러분은 이점에 대해서도 연구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는 아예 벌어졌고, '우'는 아주 움추려 들었고 '음'은 그 중간이지요. 제가 中央土의 개념을 강조해왔듯이 어떤 음이든지 중간음을 거쳐서 지나가야 됩니다. '어'는 상하로 벌어졌다가 닫히는 기분이 있고 '이'는 옆으로 벌어졌다가 닫히는 기분이 있지요. 이렇게 '아 어 이 우'를 반복할 때 中央土인 '음'을 각 발음을 할 때마다 거치게 된다는 것이지요.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때, 성삼문, 박팽년이 금강산에 가서 글자를 짓기 위해 고민고민하고 있는데 어떤 道人이 희귀한 경전을 전해주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하늘과 땅의 주인공인 인간이 내는 音이란, 音을 벼리(網)로 삼아 인간의 생각 전부를 다 담으려고 애를 쓴 것이겠지요. 

노래도 마찬가지입니다. 멜로디나 곡 자체의 분위기, 발음에서 느끼는 감흥이 각기 다르고 이것이 종합되었을 때의 느낌이 또 다른 점은 참으로 묘합니다. 산토끼 노래의 종성에 ㄹ과 ㄱ 을 각기 붙여서 발음해 보세요.'살톨낄 톨낄얄...', '삭톡끽 톡끽약...'이 둘은 전혀 색다른 느낌이지요. ㄹ이 종성일 때는 긍정적이나 ㄱ 이 종성일때는 긍정적인 느낌이나 殺氣를 느끼게 되지요. 따라서 전자나 후자에는 각기 다른 어느 경락이 중점적으로 연관되어 작용하고 있음이 틀림이 없을 것입니다. 

공자는 '한 나라에 들어가서 어떤 음악이 유행하고 있는가 듣기만 하면 그 나라의 민심을 알 수가 있다'고 했습니다. 음악으로 인심을 부드럽게 하는 것은 마치 보리가 봄바람에 눕는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도를 깨친 사람들은 새 소리, 짐승 소리를 듣고 그것들이 가지고 있는 감정을 읽는다고 합니다. 인간은 모든 경락을 골고루 쓸 수 있는데 비해서 동물들은 대체로 한두개의 경락을 극단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축인묘...의 열두 동물을 취상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取象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가벼이 생각지 마십시오. 옛 성인의 지혜를 깨닫도록 많이 노력하셔야 됩니다. 

이번에는 자음을 六經的으로 분류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太陽寒水는 대체적으로 ㄹ,ㅊ받침(종성)에 가깝습니다. 太陰은 ㅁ과 ㅂ 에 가깝고, ㄱ, ㅋ 은 살기가 있으므로 陽明燥金에 해당하고, ㄴ, ㅇ은 少陰에 가까우므로 종성에 鼻音인 ㄴ, ㅇ이 있으면 애교가 있거나 섹시합니다. (여보-ㅇ). 콧소리를 많이 내는 나라는 감성리듬이 발달되므로 프랑스를 예술의 나라라고 함은 지극히 당연할 것입니다. 厥陰은 ㅎ 에 해당하고, 少陽은 ㅅ과 ㄷ 에 해당합니다. ㄹ 은 공포에 대한 조심성에 가깝고 ㅎ 은 무형의 지식이나 권력 또는 명예를 인정할 때 나오는 소리입니다. 평소에 무심코 내뱉는 소리를 잘 들어보면 이런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형상을 六經的으로 분류해 보기로 합시다. 제가 지금 강의하고자 하는 형상이란 太陰人, 太陽人, 少陰人, 少陽人으로 나누는 四象醫學的인 부분이 아니고 기분에 따라 좌우되어 표현되는 분위기적인 부분을 일컫습니다. (참고: 기분이란 氣가 分한 것 즉 氣가 나뉜것입니다. 기분이 좋다면 氣가 좋은 쪽으로 나누어 간 것이고 "오늘은 기분이 나빠"라고 한다면 氣가 나쁜쪽으로 나뉜 것이지요. "나는 氣가 厥陰이다"라고 한다면 氣가 궐음 쪽으로 나뉜 겁니다.) 이렇게 어떤 기분은 어떤 형상을 유발시키는 것이 아닐까요? 어깨에 힘을 주고 이야기하는 사람을 보면 저 자식이 깡패 기질이 있나 하고 생각케 되고, 며느리를 처음 봤는데 시부모 앞에서 히프를 산들산들 흔들며 걸으면 도화살이 있나 하고 이야기합니다. 뒷짐지고 거만하게 어슬렁어슬렁 걸어가는 사람, 어깨를 떡 벌리고 폼 잡고 가는 사람, 어깨가 축 처진 사람 등 다양합니다. 우리는 이런 경우를 미루어 어떤 짐작을 하게 됩니다. 이런 것에는 어떤 일정한 rule이 있을 것이라는 얘기지요. 

대화중에 겁먹은 표정을 짓거나 곧잘 웅크리는 사람이 있다면, "쟤는 늘 얻어터지고 살아왔나?"하는 생각이 들지요. 무슨 일을 도모할 때면 으례히 웃통을 벗어 던지는 사람도 있고 조심스럽게 구석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참 묘하지요. 표정도 가지각색, 앉는 모양도 가지각색, 손놀림도 가지각색, 모두가 가지각색이지요.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과 같은 폼을 하고 있으면 다른 사람이 보고는 대뜸 "아니! 무슨 고민이 있으세요?"하고 물어옵니다. 

예를 하나 들어 보면 張弓弩弦(머리가 발에 닿을만치 앞으로 구부러진 病)과 角弓反張(눈이 뒤집히면서 입에 거품을 물고 몸이 뒤로 젖혀지는 병)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둘의 陰陽을 짐작하여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평소 우리가 접촉하는 사람들 가운데에서 자기 과시를 잘하고 배를 내밀어 뒤집기를 잘하는 사람과 곧잘 숙이고 구부리는 사람을 관찰해보면 위의 두가지 병에 대한 음양은 물론 원인까지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듯 형상은 한사람의 심기를 드러내는 것이므로 張弓弩弦에 肺正格(肺를 보함)을 쓰는 기이한 처방은 전혀 엉뚱한 것이 아니지요. 그것은 肺正格이 張弓弩弦에 걸린 그 사람의 心氣에 접맥되기 때문입니다. 舍岩道人은 곱추를 肺正格으로 낫게 해주었습니다. 저 역시 허리가 자꾸 앞으로 꼬부라지는 스님을 肺正格으로 완치시킨 적이 있습니다. 여인이 사랑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다소곳이 듣고 있는 표정은 어떻습니까? 아랫 입술로 윗 입술을 조금 덮고 만족한 얼굴로 눈을 척 내리깔고 고개를 끄덕끄덕하지요. 어떤 표정이나 형상은 이렇듯 唯心的인 기운, 즉 심기를 나타내는 것 아니겠습니까? 각 經絡에도 特定的인 마음, 特徵的인 형상이 있지 않겠나 하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그리하여 약초나 동식물 사람 뿐아니라 만물의 모든 형상을 통해서 그것들이 가진 어떤 기운의 多少를 추리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한방에서 모든 씨(五味子, 兎絲子, 枸杞子, 覆盆子, 蛇床子)는 거의 精力制로 쓰지요. 그러니까 결국 식물의 씨는 우리 인간에게도 씨로 쓴다는 거지요. 또 식물의 모양을 또 어떤 기운을 추리하여 어떠 어떠한 經絡의 補瀉에 쓰겠다고 짐작할 수도 있겠지요. 가령 陽明의 기운이 뾰족한 형상의 식물은 陽明기운을 보충시켜 준다고 볼 수 있지 않겠어요? 한방에서 가시를 약으로 쓰는 것으로 皂角刺가 있습니다. 노자의 도덕경에 보면, '전쟁이 지나간 자리에는 가시덤불이 무성하다'고 쓰여 있습니다. 전쟁이 지나간 자리에 왜 가시덤불이 무성할까요? 사람들이 모두 살기등등 했으니 그곳에서는 뾰족한 식물 밖에 더 자라겠습니까? 陽明之氣나 少陽之氣가 강한데 무우나 사과, 배 등의 식물이 잘 될리가 없겠지요. 여러분이 아실지 모르겠지만 경주 근처에 '乾川'이란 곳이 있는데 이곳이 우리나라에서 皂角刺가 가장 많이 나는 곳입니다. 신라와 백제의 옛 격전지였기 때문에 건조하고 뾰족한 陽明기운이 강한 것 밖에 더 자라겠습니까? 또 건조한 땅(乾川)에서 건조한 식물이 태어남은 당연하지 않겠어요. 그러므로 인체 내에 뾰족한 경락이 있으면 그 경락에는 뾰족한 에너지가 강력하게 흐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性品이 뾰족한 穿山甲이나 皂角刺는 통하게 하거나 뚫어내는 破積之劑로 씁니다. 이렇게 한방에서는 무형의 기운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고 어떤 형상에 따르는 성품도 읽어내어 다루고 있습니다. 

厥陰은 무엇이든지 거두어들이고(收) 품에 안아서 끌어들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가령 발산되는 모양의 식물(민들레 씨와 터지기 일보직전의 것)이 있다면 그것을 먹었을 때 인체 내에서도 發散之氣가 생기게 되지 收歛之氣가 생길 수는 없지 않겠어요. 

이에 비해 五味子, 覆盆子 등은 거두어들이는 성품이 있지요. 한 나무에 열린 사과라 하더라도 다 익어서 단맛일때는 太陰經으로 가지만 신맛의 풋사과를 먹으면 厥陰經絡으로 가게 됩니다. 또 厥陰經은 風木이지요. 바람을 유심히 관찰해 보면 어떤 경향이 있습니까? 어떤 현상이 생기게 됩니까? 온도차이에서 생기는데 기압차가 이루어지면서 회전을 하지요. 즉 기압이 낮은 곳으로 자꾸 들어가려고 합니다. 周易八卦에도 '巽은 入也라' 巽(風)은 들어가는 것이라 했습니다. "저 친구 바람끼가 있군"하고 말하는 것은 여러 여자에게 접수가 된다는 이야기지요. 그러므로 바람이라는 것은 들어가고 싶어하는 성질이 있는 겁니다. 

식물도 햇빛과 퇴비가 좋은 상태라 해도 바람(공기)을 잘 소통시켜 주지 않으면 이상하게도 잘 크지 못합니다. 사람에게 바람을 쐬어 주고자 할 때는 厥陰經絡을 취하지요. 여러분은 바람이 가진 기본적인 특성을 그저 단순한 움직임으로만 여길지 모르나 실질적으로는 회전을 합니다. 근육이 厥陰에 속하는 까닭도 근육과 바람은 둘다 이 움직이는 성품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또 그 움직임 속에는 약간의 탄력성도 담고 있지요. 운동선수의 근육은 언제나 팽팽히 모여 있지요. 또 구름이 하늘 가운데에서 마구 뭉치기 시작하면 "아하! 저기에는 궐음 기운이 있군"하고 추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명예나 권력을 잡고 과시하고 폼잡는 사람들을 보면 厥陰에 대한 이해가 용이합니다. 작게는 깡패, 크게는 권력자 혹은 많이 아는 사람들의 행색을 보면 대체로 거만하고 모든 걸 내려다 보고 자기만 다 안다는 눈빛이지요. 

이번에는 少陰君火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少陰君火는 藝術的이고 다소 性的이라고 얘기했습니다. 즉 감성적인 사람이 지닌 특성과 동일합니다.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는 성품이 있습니다. 이 올라감은 콱콱 뚫고 오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부드럽게 무언가 번성하는 듯한 느낌의 것입니다. 그러므로 少陰君火가 잘 발달된 사춘기 시절에는 조금만 웃겨도 까르르 웃고, 말똥 굴러가는 것만 보아도 웃습니다. 少陰氣가 발달된 기생들은 걸음걸이조차도 산들산들 가볍지요. 蘭과 같이 유연하고 야들야들 연하게 자라는 식물이 있다면 '너는 감성이 예민하겠군' 또 '찬 것에 특히 약하겠군'하는 것을 금방 알 수가 있겠지요. 덩쿨식물의 대부분이 맛이 시어 厥陰에 속하는데 비해 少陰君火에 해당하는 식물들은 아주 야들야들 간들간들 하면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기운을 일컫습니다. 

어떤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蘭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 그리기를 좋아한다면 이 사람은 少陰經絡이 虛하므로 少陰經의 특성에 자신도 모르게 이끌린 것입니다. 이런 경우는 少陰經을 補해 주어야 하겠지요.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해도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아래에서 위로 그림을 그렸다면 위에서 아래, 좌에서 우, 우에서 좌로도 그림을 그려 봐야 합니다. 

다음은 太陰을 보도록 합시다. 太陰은 濕이므로 대체로 축축하고 안으로 가라앉는 특성이 있습니다. 중화가 잘 되어 무난한 형상 즉 둥글게 원을 그리는 형상입니다. 太陰은 甘味로서, 모든 것을 완화시키므로 살기가 있을리가 없지요. 그러므로 감초가 諸毒을 중화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太陰은 수분이 많고 부드러우며 중화성이 있고 또 살(肉)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바나나와 배를 비교해 봅시다. 바나나의 肉質은 부드럽고 황색이나 배는 육질이 파삭거리며 백색이지요. 그러므로 배는 陽明燥金에 가깝습니다. 太陰濕에 해당하는 쇠고기를 많이 먹고 속이 거북할 때에는 陽明燥金인 배를 먹어야겠지요. 장차 이런 경험을 꾸준히 축적시켜서 상황에 맞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少陽을 보겠습니다. 少陽은 厥陰과 반대의미로서 안에서 밖으로 폭발할 것 같고, 튕겨져 나갈 것 같거나 발산되는 것과 같습니다. 빛이 발산되어 나오는 듯 하지요. 少陽之氣 

의 사람을 보면 눈이 부리부리하고 눈에서 빛이 나오는 듯 합니다. 권력자처럼 거만하게 빨아들이는 눈빛이 아니고 少陽之氣의 사람은 눈이 반짝거립니다. 눈에 핏발이 선듯도 하고 안 선듯도 하지만 여자를 밝히는 탐욕스런 눈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눈을 부릅뜨기를 좋아 합니다. 또 少陽之氣의 사람은 장군의 像이라 볼 수도 있지요. 절에 들어서면서 입구에 四天王 像이 있는데, 그 눈을 보면 불똥이 튈 것만 같습니다. 그렇듯이 少陽之氣는 동식물을 막론하고 안에서 밖으로 폭발하는 듯한 느낌입니다. 반딧불이나 전기뱀장어도 여기에 속하겠지요. 물론 고기표면의 미끌미끌한 비늘 쪽이야 太陰濕에 속하겠지만 불이나 전기는 少陽之氣에 속합니다. 

陽明之氣를 보면 양명은 太陰의 반대이므로 다소 뻣뻣하고 견고합니다. 또 건조하지요. 마치 키가 쭉쭉자라는 형상입니다. 전나무나 떡갈나무 같은 것을 보면 껍데기 부분에 陽明之氣가 많습니다. 그리고 어린아이들 많이 먹인다고 그게 다 살이 되는 것도 아니고 못 먹인다고 키가 영 크지 않는 것도 아니지요. 통통하고 작달막한 사람보다 키가 껑충 큰 사람이 속으로 불만이 많거나 날카로운 점이 않습니다. 식물도 습지에서 자란 오동통한 버섯과 건조한 산비탈에서 자란 전나무는 서로 성품이 판이하게 다른 것이지요. 

그다음 太陽之氣를 보면 太陽寒水는 물은 많되 긴장성과 위축성을 갖고 있습니다. 겁을 먹었을 때, 공포를 느낄 때의 긴장감이 太陽寒水의 특성입니다. 

이상의 六經에 따른 형상적인 개념이나 색, 소리 등은 대체적으로 그러하다는 것이지 반드시 그렇다고 꼬집어 말할 수는 없는 내용입니다. 그저 六經의 개념을 여러분들에게 가르치는 방편으로 이렇게 추리를 해 본 것이지요. 이상의 모든 것을 뒷면에 도식화 하였으니 참고로 삼아 각자 많은 노력과 연구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白芥子를 예로 들면, 白芥子의 맛이 어떻습니까? 매운(辛) 맛입니다. 그러면 이것이 자라는 땅의 토질은 어떻겠습니까? 백개자는 陽明燥金之氣가 많은 건조한 땅에서 자랐다는 것을 추측할 수가 있겠지요. 산수유는 통풍이 잘 되는 땅에다 심어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산수유는 바람(厥陰風木之氣)를 잘 맞아야 신맛이 되기 때문입니다. 사과 재배를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하면 맛이 시어집니다. 그래서 산중턱 같은 곳에다가는 사과 재배를 하지 않지요. 육경공부를 깊이 하다보면 자기 주변 사람들의 성품이나 성장한 곳을 알 수가 있게 됩니다. 그리고 "아하! 너는 어느 經絡에 병이 있겠구나"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뚱뚱한 체격에 졸기 잘하고 먹는 것을 밝히는 환자가 왔다고 하면 이런 太陰之氣의 사람에게는 허리가 아프건 頭痛이건 腹痛이건 일단 陽明經을 꽉 쑤셔주면 정신이 바짝 들게 됩니다. 그저 무엇이든 남의 잘못을 지적하기 좋아하는 공격적인 성격의 사람에게는 厥陰經을 補해 주면 됩니다. 이쯤되면 여러분들은 舍岩針法의 핵심적인 부분을 10%정도 공부한 셈입니다. 

우선은, 환자의 병증 즉 두통, 치통 등에 구애되지 말고 그 사람의 체격 성격을 먼저 보아야 합니다. 환자가 들어 왔는데, 눈꼬리를 내리고,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서 "어떻게든 좀 고쳐주세요"라고 하며 궁상맞은 행세를 하는 사람은 陽明經絡이 발달되어 있으므로 太陰經絡을 補하면 되겠지요. 

저는 환자를 豫診하고 나서는 같이 일하는 분들과 토론을 많이 합니다. 혼자 보는 것보다는 두 사람이 보는 편이 낫고 둘보다는 셋이 볼 때가 더 낫거든요. 또 같은 환자라도 어제와 오늘의 기분이나 심경이 달라질 수가 있습니다. 

 

 

    Copyright(C) 2001 Sa-Am non-profit Acupuncture Servi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