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으로 법문 쓴 ‘중생의 머슴’
충남 서산군 고북면 장요리. 고북저수지의 맑은 물에 비친 그림자를 뒤로 하고 연암산에 오른다. 지금 오르던 산등성이는 벌써 세상과 담이 되어 있다. 능선으로 켜켜이 포개진 산 속에 천장암은 숨어 있다. 경허와 수월이 앉았던 제비바위 위에 오르니 안면도 앞 서해바다까지 온 천하가 시원하다. 그러나 바깥 세상에서 이곳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하늘을 감춘 암자’인 천장암인가 보다. 나무꾼 선사 수월 또한 세속인이 엿보기 어려운 인물이다. 경허 선사의 맏상좌(첫제자)로 그 시대 가장 존경받은 선사였지만 그는 글 하나 법문 하나 남기지 않았다. 근대의 고승 중 가장 알려진 게 없는 인물이다.
수월은 인근 고을에서 머슴을 살다가 30살이 다되어 천장암의 불목하니(절 머슴)로 들어왔다고도 하고, 10대에 입산했다고도 전해진다. 만해 한용운이 발행하던 <불교>는 수월이 북간도에서 열반한 6개월 뒤에야 열린 추도식에 즈음해 ‘전 조선을 통하여 현대의 유일한 대선지식이신 전수월 대선사께서 열반하셨다’고 보도해 그가 1928년 열반한 것은 확실시되지만, 그가 태어난 때는 확실치 않다. 경허보다 9살 적은 1855년생설이 주로 전해진다.
머슴 살다 서른무렵 입산
나무하고 방아찧고 궂은일
후일 북간도서 중생 보듬어
한용운 “대선사 열반” 탄식
이 허름한 천장암 대웅전 옆 구석엔 계룡산 동학사에서 생사를 넘은 경허가 다시 1년여 동안 씻지도 않고 눕지도 않으며 보임(깨달음 이후의 정진)해 마침내 태평가라는 깨달음의 노래를 부른 1평짜리 방이 있다. 이곳은 불교 역사상 다시 보기 어려운 수월, 혜월, 만공 등의 법기(불도를 수행할 자질이 있는 사람)들을 경허가 법신(불법을 완전히 깨달은 부처의 몸)으로 빚어놓은 곳이기도 하다.
그 방 주위엔 가래떡처럼 모양 좋게 썰어놓은 장작들이 차곡차곡 쌓여 있다. 절을 안내한 혜중 스님 등 절식구들이 겨우살이용으로 해놓은 것들이다. 나무꾼 수월의 후학들답다. 수월은 낮에는 나무하고 밤엔 방아 찧어 스승과 절 식구들 뒷바라지를 했다. 글을 몰랐던 그는 경전 공부도 못하고, ‘천주다라니’(산스크리트 원어로 된 불경)만을 외워 삼매에 들었다.
누구고 가릴 것 없이 중생에게 베푼 그의 정성은 하늘도 감동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는 절에 손님이 오면 발 감싸개인 감발을 벗겨 손수 빨아서 불에 말렸다가는 아침에 신도록하고, 밤새 몸소 만든 짚신 3~4켤레를 바랑 뒤에 메워주었다고 한다. 그의 사제로 당대 최고의 선사로 존경받던 만공은 생전에 “수월 형님만 생각하면 난 늘 가슴이 뛴다”고 말할 정도였다.
수월은 늘 머슴처럼 일만 했지만 밤에 아랫마을에서 산불이 난 줄 알고 달려올 정도로 방광(빛이 남)을 일으키곤 했다. 그래서 그는 가는 곳마다 조실로 모셔졌으나 누가 조실로 부르던 머슴으로 부르던 아랑곳 없이 오직 머슴처럼 일만하다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는 곳으로 옮겨가 숨곤 했다.
북녘을 유랑하던 수월은 1912년 두만강을 넘어 간도로 갔다.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효봉과 초대 총무원장을 지냈던 청담은 젊은 시절 각기 따로 스승을 찾아 북간도까지 가서 그를 만났다. 당시 간도엔 비적이 들끓어 집집마다 송아지만한 만주개를 길러 집과 마을을 지켰다고 한다. 그 개들은 모르는 사람이 밤에 나타나면 다짜고짜 물어뜯을 만큼 사나왔지만 수월에게만은 꼬리를 흔들며 엎드리더라는 것이 그들의 증언이었다.
수월의 행적을 듣기 위해 예산 덕숭산 정혜사 선원장 설정 스님을 찾았다. 설정 스님은 “지금은 열반했지만 수월 선사와 같은 마을 출신이었던 ‘지선 노스님’으로부터 ‘수월 선사가 천장암 아래 갈산 사람으로 세간에 알려진 ‘全’씨가 아닌 ‘田’씨이며 독자인데 아주 어려서 출가한 것’으로 들었다”고 전했다.
또 수월의 행적을 좆아 1989년 중국을 답사했던 설정 스님은 “수월 선사가 살던 옛 간도의 고을에서 80~90살 든 노인들은 수월에 대해 자기는 없고 중생만을 위했던 자비의 화현보살로 기억하고 있었다”며 수월이 간도로 갔던 이유를 전했다.
“나라 잃고 고향을 잃은 백성들이 쫓기고 쫓겨서 간 곳이 간도였지요. 고갯마루에서 상처입고 지친 사람들을 기다렸다가 따뜻한 물과 밥 한술을 먹이고, 신을 삼아 보내며 생애 마지막 수십년을 헌신하다 그는 소리 없이 떠나갔습니다.”
생전에 한 번도 대우를 받으려하기는 커녕 오직 남의 손발 같은 머슴으로 살았던 수월은 자신의 손길이 필요한 곳에서 조용히 헌신하다 자취 없이 떠난 바람이었다. 가파른 산 길을 내려오니 숨이 거칠어진다. 나무가 내어준 신선한 산소를 바람이 전해준다. 숨구멍이 트인다. 이제 수월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보이는 것, 내딛는 곳이 하나같이 아낌 없이 주는 나무요, 더 없이 포근한 산이다.
도를 닦는다는 것은 ...수월(水月;1855∼1928)스님 말씀
도를 닦는다는 것이 무엇인고 허니, 마음을 모으는 거여. 별거 아녀. 이리 모으나 저리 모으나 무얼 혀서든지 마음만 모으면 되는겨. 하늘천 따지를 하든지 하나 둘을 세든지 주문을 외든지 워쩌튼 마음만 모으면 그만인겨.
나는 순전히 "천수대비주(千手大悲呪)"로 달통한 사람이여. 꼭 "천수대비주"가 아니더라도 "옴 마니 반메훔"을 혀서라도 마음을 모으기를, 워찌깨나 아무리 생각을 안 할려고 혀도 생각을 안 할 수 없을 맨큼 혀야 되는겨.
옛 세상에는 참선을 혀서 깨친 도인네가 많았는디, 요즘에는 참 드물어.까닭이 무엇이여? 내가 그 까닭을 말할 것인게 잘 들어 봐.
옛날 스님들은 스스로 도를 통하지 못혔으면 누가 와서 화두 참선법 (話頭參禪法)을 물어도 "나는 모른다"고 끝까지 가르쳐 주들 않았어. 꼭 도를 통한 스님만이 가르쳐 주었는디, 이 도통한 스님께서 이렇게 생각하신단 말여.
"저 사람이 지난 생에 참선하던 습관이 있어서 이 생에도 저렇게 참선을 하려고 하는구나. 그러면 저 사람이 전생에 공부하던 화두는 무엇이었을까?"
도를 통했으니께 환히 다 아실 거 아니여. 혀서 "옳다. 이 화두였구나" 하고 바로 찾아 주시거든. 그러니 이 화두를 받은 사람은 지난 생부터 지가 공부하던 화두니께 잘 안하고 배길수가 있남.
요즘은 다 글렀어. 또 말세고 말이야! 모두가 이름과 위치에 얽매이다 보니, 누가 와서 화두를 물을 짝이면 아무렇게나 일러 주고 만단 말이지. 안 일러 주면 자신의 이름과 자리 값이 떨어지니께 말이여.
그래서 화두를 아홉번 받았느니, 여덟번 받았느니 하는디, 이래 가지고서야 워찌게 도통을 한다고 할것인겨!
지가 꼭 공부하던 화두를 일러 주니께 틀림없이 공부를 이루고 바로 도를 통하는겨.자신 만만하니께 도통하는겨.
옛날 사람들은 화두 공부가 잘 되지 않더라도, 화두를 바꾸지 않고 "나는 열심이 모자라니께 열심히만 정진하면 꼭 성취할 것이다."는 한생각으로 마음을 몰아 붙여 오로지 한길로만 애쓰다가 도를 통하기도 혔어.
그러나 요즘 사람들은 그게 아니여. 쓰잘데기 없는 몸과 마음에 끄달려, 조금 하다가 안 되면 그만 팽개치고 "소용 없다"고 하거든. 이게 다 아상(我相)이 많아서 그런겨.
무엇이든지 한가지만 가지고 끝까지 공부혀야 하는디, 이것이 꼭 밥 먹기와 매한가지여.똑같은 밥 반찬이라도 어떤 사람은 배불리 맛있게 먹지만 어떤 사람은 먹기 싫고 또 어거지로 먹으면 배탈이 나는 뱁이거든.
공부도 마찬가지여. 염불을 열심히 혀야 할 사람이 딴 공부를 하니 잘 안 되는겨. 중이 되려면 처자권속을 죄다 버려야 혀. 모두 다 버리고 뛰쳐나와 일가친척 하나 없는 곳에서 열심으로 닦아야 혀.
아버질 생각한다든지 어머닐 생각한다든지 가족을 생각할 것 같으면 마음이 하나로 모아지지가 않거든. 무슨 공부든지 일념으로 해야 혀 위찌케든 일념을 이뤄야 되지, 이 일념이 안 되면 이것 저것 다 쓸데없는겨.
그래서 옛날 도통한 도인네들은 부모 형제 모두 내버리고 중이 되어 홀로 공부했던 거여. 도를 깨치지 못하면 두 집에 죄를 짓게 되는겨 집에 있으면서 부모님을 열심히 위하면 효도라도 되는데,
이런 효도도 못하고 집을 나와서는 도도 깨치지 못하니 두 집에 죄를 짓게 되는 거 아녀.두 집안에 죄짓지 말고 "워쩌튼 죽어라 혀 보자" 해서 부모 형제 모다 버리고 이렇게 산단 말이지
"한 집안에 천자가 네 명 나는 것보다도 도를 깨친 참 스님 한 명 나는게 낫다." 이런 말을 옛날부터 많이 들었지. 만일 중이 되어 도를 통할 것 같으면 이 공덕으로 조상의 모든 영령들과 시방삼세의 중생들이 다 이고득락(離苦得樂) 할 것이니 이 얼마나 좋으냐 말여.
이 세상이라는게 중이 되면, 머리가 있고 없고 글이 있고 없고가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것이여.차라리 그런 것들은 없는게 훨씬 나아. 참으로 살람되기가 어렵고, 천상천하에 그 광명이 넘치는 불법 만나기가 어려운데 말이지,
사람 몸 받아 가지고도 참 나를 알지 못하고 참 나를 깨치지 못하면 이보다 더 큰 죄가 워디 있을겨.사람 몸 받고도 성불 못하면 이보다 더 큰 한이 워디 있을겨.
부처님께서도 "나는 너를 못 건져 준다. 니가 니 몸 건져야 한다." 하셨어.그러니 참 그야말로 마음 닦아가지고 니가 니 몸을 건지지 못하고 그냥 죽어 봐라.이렇게 사람 몸 받고도 공부를 이루지 못하고 그냥 죽어 봐라.다 쓸데 없다. 어느 날에 다시 이 몸을 기약할 것인가.
<수월스님은 일생동안 한번도 법상에 오른 일이 없는 것 같다. 여기 실은 수월스님 말씀은 중국 북간도에 있던 화엄사에서 몸을 다쳐 며칠 머물게 된 어느 독립군 연설 단원에게 들려 준 법문이다.
수월스님에게서 큰 감화를 받은 이 독립군 연설단원은 그 뒤 몽고에서 스님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