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자료 ♣>/학술논문자료 모음선

≪文心雕龍≫의 文學創作論 硏究

화엄행 2010. 12. 2. 18:48

≪文心雕龍≫의 文學創作論 硏究 = A Study on Writing Theory of "the Literary Mind and the Carving of Dragons"

http://www.riss.kr/link?id=T11597788 복사

  • 저자 : 성기옥
  • 형태사항 : iii, 319 p. : 삽도 ; 27 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경상대학교 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문학전공, 2009. 2
  • 발행국 : 경상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 주제어 : 문심조룡, Carving of dragons
  • 소장기관 :

    • 경상대학교 도서관 원문복사정보 
초록 ( Abstract )
  • 劉勰의 ≪文心雕龍≫은 중국고대의 가장 오래된 계통성을 가진 문학이론서로, 오늘날의 문학개론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文心雕龍≫이 여러 가지 문학이론 문제, 예를 들면 문학...
  • 劉勰의 ≪文心雕龍≫은 중국고대의 가장 오래된 계통성을 가진 문학이론서로, 오늘날의 문학개론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文心雕龍≫이 여러 가지 문학이론 문제, 예를 들면 문학과 현실의 관계·내용과 형식의 관계․문학비평의 표준과 방법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논술하는 데 뛰어난 논리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당연히 문학이론 개론서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내용의 주요요지와 구성 체계를 잘 살펴보면, 단순한 문학개론서가 아니라 창작지도와 작법에 비중을 둔 문학창작지침서임을 알 수 있다.
    ≪文心雕龍≫은 전체 5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편인 <原道>부터 <辨騷>까지의 다섯 편은 전체의 총론으로, <原道>·<徵聖>·<宗經>편은 道․聖․經의 합일에 대한 서술이며, <正緯>·<辨騷>편은 이 세 편을 보충하는 의미를 가진다. 劉勰이 의도한 요지는 성인이 창작한 오경은 최고의 경지에 이른 도를 표현한 것으로, 창작의 내용은 반드시 오경에서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경의 문풍은 가장 아정하여 오경의 내용을 종법으로 삼으면, 첫째 감정에 깊이가 있게 되고, 둘째 풍격이 맑고 순수하며, 셋째 내용이 신실하고 허구가 아니며, 넷째 뜻은 곧고 비뚤어지지 않으며, 다섯째 체재는 간결하고 조리에 맞으며, 여섯째 문채는 화려하지만 지나치지 않게 되어, 여섯 가지 표준은 사상예술을 완미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正緯>·<辨騷>편은 緯書와 楚辭의 작품을 말하는 것으로, 기이한 내용은 오경의 궤도에 어긋나지만 문채는 풍부하고 아름다워 창작에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오경을 근본으로 하고 楚辭의 기이한 문채를 취하여, 신기함을 참작하면서도 진실함을 잃지 않고, 화려함에 노닐면서도 그 내용을 충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인 문학작품의 창작방법이라는 것으로 창작방법의 총 원칙이라 할 수 있다.
    <명시(明詩)>부터 <서기(書記)>에 이르는 20편은 각체 문학작품 창작과 관련하여 각 편을 네 부분으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이를테면 유운문을 논하고 무운문을 서술하는 것은, 종류별로 나누어서 구분하여 처음을 찾아내어 말단을 밝히고, 이름을 풀어서 뜻을 밝히고, 글을 선정하여 편을 정하고, 이치를 펼쳐서 계통성을 제시하여, 원류와 명칭의 성질해석과 대표작가의 작품평가와 체제특색의 규격에 대한 요구를 나타내었다. 그중에서 ‘이치를 펼쳐서 계통성을 제시’하는 부분은, 항상 편의 마지막에 위치하며, 분량은 많지 않으나 문학작품의 창작지도와 각체의 특색과 올바른 글쓰기에 대한 요구를 나타내고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劉勰은 이 부분을 ‘강령지요(綱領之要)’․‘대요(大要)’․‘대체(大體)’ 등으로 나타내었다. <神思>부터 <程器>에 이르는 24편은, 창작세목으로 광범위하게 창작방법에 대한 각종 요소를 논하였다. 그중 <風骨>·<體性>·<通變>·<定勢>편은 강건한 풍격의 수립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으며, <情采>․<鎔裁>·<附會>편은 진솔한 감정표현에 대한 중요성을 서술하였으며, <聲律>·<麗辭>·<比興>·<夸飾>·<事類>·<隱秀>편은 다양한 수사기교의 추구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논술하였다. 劉勰이 중요시한 또 다른 문학작품의 창작세목은 창작환경의 중시이며, 이는 <時序>·<才略>·<物色>·<知音>·<程器>편에서 논술하였다.
    魏․晋이래 騈儷體 문학은 날로 성행하여 언어의 화려함에 치우쳤으며, 이러한 문풍은 楚辭와 漢賦의 화려한 문풍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劉勰도 騈儷體 문학을 긍정하여 성률․대우․전고 등 수사요소를 중시하였으며, ≪文心雕龍≫ 자체도 정밀한 騈儷體로 창작된 것이다. 그러나 위(魏)·진(晋) 이래로 騈儷體 문학의 내용이 진실하지 못하고, 풍유의 훌륭한 작용이 결핍되어 있는 점을 비판하고, 오경의 질박한 내용을 바탕으로文質彬彬의 문학작품 창작에 힘써야 한다는 것이 劉勰의 일관된 주장임을 알 수 있다.
    ≪文心雕龍≫의 주요요지는 문학작품 창작에 대하여 올바른 창작지도의 방법에 있으며, 아울러 광범위하게 작가와 작품을 평가하고, 적지 않은 문학이론 문제를 계통성 있게 논술함으로써, 중국고대문학이론을 집대성한 공전의 거작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 Index )
  • Ⅰ. 序論 = 1
  • 1. 연구개황 = 5
  • 1) 주석서 = 8
  • 2) 연구서 = 13
  • 2.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 = 17
  • Ⅱ. ≪文心雕龍≫의 성립배경과 成書과정 = 20
  • 1. ≪文心雕龍≫의 성립배경 = 20
  • 1) 문학작품의 대량누적 = 23
  • 2) 學術風潮의 고조 = 27
  • 2. ≪文心雕龍≫의 成書과정 = 31
  • Ⅲ. 창작강령의 總論 = 42
  • 1. 내용의 雅正함에 바탕을 둠 = 44
  • 1) 道· 聖· 經의 일체화 = 46
  • 2) 경서의 효용 강조 = 61
  • 2. 표현의 奇麗함에 힘씀 = 67
  • 1) 緯書의 膏諛함 참작 = 68
  • 2) 楚辭의 綺靡함 구사 = 60
  • Ⅳ. 각체 문학작품의 창작강령 = 77
  • 1. 유운문의 창작강령 = 79
  • 1) 詩· 樂府 = 80
  • 2) 賦· 頌· 讚 = 87
  • 3) 祝· 盟 = 93
  • 4) 銘· 箴 = 95
  • 5) 章· 碑· 哀· 弔 = 96
  • 6) 雜文· 諧· 章 = 100
  • 2. 무운문의 창작강령 = 106
  • 1) 史傳 = 107
  • 2) 諸子· 論· 說 = 112
  • 3) 詔· 策· 檄· 移 = 117
  • 4) 封禪 = 120
  • 5) 章· 表· 奏· 啓· 議· 對 = 122
  • 6) 書· 記 = 130
  • Ⅴ. 문학작품의 창작세목 = 136
  • 1. 굳센 風格의 수립 = 141
  • 1) 風骨 = 142
  • 2) 體性 = 154
  • 3) 通變 = 157
  • 4) 定勢 = 163
  • 2 . 진솔한 감정표현의 중시 = 167
  • 1) 情采 = 167
  • 2) 鎔裁 = 174
  • 3) 附會 = 177
  • 3. 다양한 수사기교의 추구 = 182
  • 1) 聲律 = 184
  • 2) 麗辭 = 188
  • 3) 比興 = 192
  • 4) 章飾 = 197
  • 5) 事類 = 202
  • 6) 隱秀 = 208
  • 4. 창작환경의 중시 = 214
  • 1) 時序 = 214
  • 2) 才略 = 224
  • 3) 物色 = 234
  • 4) 知音 = 241
  • 5) 程器 = 248
  • Ⅵ. 문학작품에 대한 창작강령 적용의 실제 = 255
  • 1. 유운문 = 256
  • 1) 詩 = 258
  • 2) 賦· 頌· 祝· 銘· 書· 哀· 雜文 = 266
  • 2. 무운문 = 277
  • 1) 詔· 策 = 280
  • 2) 封禪文 = 288
  • 3) 章· 表· 奏· 書 = 288
  • Ⅶ. 結論 = 299
  • 中文提要 = 311
  • 參考文獻 = 313

성기옥,≪文心雕龍≫의 文學創作論 硏究, 경상대 대학원 중어중만과 박사학위, 2009년.ezPDF

 

성기옥,≪文心雕龍≫의 文學創作論 硏究, 경상

성기옥,≪文心雕龍≫의 文學創作論 硏究, 경상
2.9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