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天王像
우주의 사방을 지키는 수호신을 형상화한 상(像).
인도에서는 사천왕상에 대한 규범이 일정하지 않아서 귀족의 형상으로 표현한 경우가 많았으나
서역(西域)을 거쳐 중국에 이르러 갑옷을 입은 무장의 모습으로 확립되었다.
수미산 중턱에 살면서 사방을 지키고 불법올 수호하는 네 명의 대천왕으로,
대천왕,자왕, 호세천왕 이라고도 부른다.
원시경전인 장아함경에는, "사천왕은 그 방위에 따라 각기 자리를 담당하고
정법을 수호하고 마귀의 습격을 방지한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사천왕이 조형화된 것은 4세기경에 성립한 금강명경이나 관정경이 유행하기 시작한 이후 부터이다.
원대(元代) 이후에는 라마교의 영향올 받은 사천왕이 조성되는데,
동방지국천왕(東方地國天王)이 비파(珪母),
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이 보검(寶劍),
서방다목천왕(西方多日天王)이 나삭(羅索).
북방다문천왕(北方多聞天王)이 사리탑이나 은서(銀鼠)를 쥐고 있다.
사대천왕(四大天王)·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이라고도 한다
. 욕계육천(欲界六天)의 최하위를 차지한다.
수미산 정상의 중앙부에 있는 제석천(帝釋天)을 섬기며, 불법(佛法)뿐 아니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수호하는 호법신이다.
동쪽의 지국천왕(持國天王), 서쪽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남쪽의 증장천왕(增長天王), 북쪽의 다문천왕(多聞天王;毘沙門天王)을 말한다.
그 부하로는 견수(堅手)·지만(持鬘)·항교(恒憍)가 있는데, 이들은 수미산의 아래쪽에 있다.
또한 사천왕은 이들 외에도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지쌍산(持雙山) 등
일곱 겹의 산맥과 태양·달 등도 지배하고 있다.
예로부터 한국의 사찰에서는 일주문(一柱門)과 본당 사이에 천왕문을 세워,
그림으로 또는 나무로 깎아 만든 사천왕의 조상(彫像)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천왕이 지니고 있는 물건은 일정하지 않으나 지국천왕은 비파(琵琶)를,
증장천왕은 보검(寶劒)을, 광목천왕은 용·여의주 또는 새끼줄을,
다문천왕은 보탑(寶塔)을 받쳐든 모습이 보편적이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planet%2Ffs15%2F9_27_31_7_7nDA6_12496753_0_40.jpg%3Fthumb&filename=40.jpg)
- 동방 지국천왕(持國天王) -
동방 지국천왕(持國天王)은 수미산 중턱의 동쪽 영역을 관장하는 천왕(天王, Deva)이다.
아쇼카왕경이나 방등대집경에 의하면, 수미산을 다스리는 제석천 또는 부처님이
지국천왕으로 하여금 동방에서 불법(佛法)을 지키라고 명령하였다고 하며,
그래서 지국천왕은 나라를 지키고, 백성을 편하게 할 것을 맹세하였다고 하여
그 이름이 유래된 것이다.
동방 지국천왕의 범어 이름은 Dhritarashtra라고 한다.
고대의 인도 베다(아타르바 베다, 마하브하라타 베다) 등 고문헌에 나타난 신화들에서는
지국천왕이 그 권속으로 '간다르바'를 부린다고 표현되어 있다.
지국천왕은 사람을 밟고 있지만 얼굴은 웃고 있다
그 밟힌 사람이 권력을 나타낸다.
- 남방 증장천왕(增長天王) -
남방 증장천왕(增長天王)은 수미산 중턱의 남쪽에 있는
'유리'라는 지방을 관장하는 천왕(天王, Deva)이다.
범어로는 Virudhaka라고 하며, 그 뜻은 자꾸 늘어난다,
확대된다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그래서 한문으로 증장(增長)이라고 한다.
증장천왕은 그 권속으로 굼반다(Kumbhanda)와 프레타(Preta)를 부리며,
굼반다는 배가 매우 부른 모습으로 표현되어 욕심이 매우 많은 아귀라고 하며
'비사사'처럼 사람의 정기를 빨아먹는 귀신이라고 한다.
프레타는 죽은 사람들의 영혼을 부리며
보통 6악도(惡道)라고 불려지는 중생들이 거처하는 아귀를 의미한다.
증장천왕의 지물(持物)에 대하여, 다리니집경은 왼손을 펴서 칼을 잡고,
오른손에는 창을 잡는다고 하며,
일자불정륜경에는 오른손을 허리에 대고 왼손에 창을 잡는다고 하고,
약사여래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에는 칼을 잡는다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칼을 잡는 것으로 되어 있다.
-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 -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은 수미산 중턱의 서쪽에 주처(住處)가 있는 천왕(천왕, Deva)이다.
범어로는 Virupaksha라고 하며, 그 뜻은 이상한 눈, 추한 눈을 의미를 가진 것으로,
그래서 한문으로는 추목(醜目), 악안(惡眼)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는 광목천왕이라고 불리어진다.
광목천왕은 고대 인도에서 시바(Siva) 신의 화신으로서 세 개의 눈을 가진데서 유래하며,
그 권속으로 여러 종류의 용(龍)과 부단나(富單那) 등이 있으며, 부단나란 냄새나는 귀신, 아귀를 말하고, 때로는 열병을 앓게 하는 귀신이라고도 생각한다.
특히, 광목천왕의 상징적 지물로는 용이 등장하는데
용은 하늘에서 구름, 비, 천둥 등을 부리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불국사 광목천왕 역시 권속인 용을 표현하여 한 손에는 용을 잡고,
다른 한 손에는 여의주를 잡은 형태이다.
용은 변화무쌍,여의주는 결단력 즉, 변화속에서 않고 자신의 잃지 않는것이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planet%2Ffs15%2F9_27_31_7_7nDA6_12496753_0_43.jpg%3Fthumb&filename=43.jpg)
- 북방 다문천왕(多聞天王) -
북방 다문천왕(多聞天王)은 수미산 중턱의 북쪽 영역을 관장하는 천왕(天王,Deva)이다.
범어로는Vaisravana라고 하며, Vai는 두루(遍, 普)의 뜻을 가지고,
Sravana는 듣는다는 뜻으로, 두루 많이 듣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다문천왕은 수미산 북방을 지키면서 부처님의 설법을 가장 많이 들었다고 하는데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고대 인도의 아타르바 베다에서는
지국천왕이 암흑계에 머무는 악령의 우두머리로서 재물과 복덕을 주관하는 존재로 표현되어 있다.
보탑을 들고 있다.
한편, 고대 인도에서는 제석천(帝釋天)이 만물을 창조(創造)한 신(神)이라 하여 존경하였습니다.
제석천왕은 사람이 착한 일을 하면 복(福)을 주고, 악한 짓을 하면 벌(罰)을 주는 등
인간을 다스리고 감독하기 때문에, 그를 도와 주는 신으로 사천왕을 두어서 역할 분담하였습니다.
동쪽은 지국천왕(持國天王) 남쪽은 증장천왕(增長天王)
서쪽은 광목천왕(廣目天王) 북쪽은 다문천왕(多聞天王)이 맡았습니다.
여기서 북쪽을 맡은 다문천왕을 비사문천왕(毗沙門天王)이라 합니다.
비사문(毗沙門)을 한문으로 번역하면 다문(多聞)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세상을 보호하고 악(惡)한자를 억제(抑制)하고
착한 사람을 돕는 창조주(創造主) 제석천왕의 뜻을 받드는 비사문천왕이
<법화경>에서부처님께 말씀드리기를,
세존(世尊)이시여, 저도 또한 중생(衆生)을 불쌍히 생각하여
이 법사(法師)를 옹호(擁護)하기 위하는 연고(緣故)로
이 다라니(陀羅尼)를 설(說)하오리다 --
하고 주문(呪文)을 설하였습니다.
<사천왕>
불법을 수호하는 외호신으로 원래 고대 인도종교에서 숭상했던 귀신들의 왕이었으나
부처님과 불법을 지키는 신으로 채용하였다.
그들은 수미산의 중턱 지점에서 각각 그들의 권속들과 살면서
동너남북의 네 방위를 지키며 불법 수호와 사부대중의 보호를 맡게 되었다.
또 사천왕과 그 부하 권속들은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세간의 선악을 늘 살핀다고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매월 8일에는 사천왕의 사자(使者)들이,
14일에는 사천왕의 태자가, 15일에는 사천왕 자신이 제석천에게 보고한다고 한다.
사천왕 가운데 동쪽을 수호하는 이는 지국천왕(持國天王)이다.
그는 안민(安民)의 신으로서 수미산 동쪽 중턱의 황금타(黃金타)에 있는 천궁(天宮)에서 살고 있다.
16선신의 한분이기도 한 지국천왕은 선한 자에게 상을 내리고 악한 자에게 벌을 주어 항상 인간을 고루 보살피며 국토를 수호하겠다는 서원을 세웠다고 한다.
그의 휘하에는 팔부신중의 하나로서 술과 고기를 먹지 않고 향기만 맡는 음악의 신 건달바(乾達婆)와
부단나(富單那:취예(臭穢))를 거느리고 있다.
서쪽을 방어하는 신은 수미산의 중턱 백은타(白銀타)에 살고 있는 광목천왕(廣目天王)이다.
그의 몸은 여러 가지 색으로 장식되어 있고 입을 크게 벌린 형상을 함으로써
웅변으로 온갖 나쁜 이야기를 물리친다고 한다.
또 눈을 크게 부릅뜸으로써 그 위엄으로 나쁜 것들을 몰아낸다고 하여 악안.광목이라고도 불린다.
광목천의 근본 서원은 죄인에게 벌을 내려
매우 심한 고통을 느끼게 하는 가운데 도심(道心)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의 권속으로는 용과 비사사(毘舍도:食血肉鬼) 등이 있다.
남방을 지키는 증장천(增長天)은 수미산 남쪽의 유리타(琉璃타)에 살고 있다.
그는 자신의 위덕을 증가하여 만물이 태어날 수 있는 덕을 베풀겠다는 서원을 세웠다고 한다.
권속으로는 구반다(鳩槃茶:말머리에 사람 몸을 하고 사람의 精氣를 빨아 먹는 귀신)와
벽협다(薛??多:아귀) 등이 있다.
북쪽을 지키는 다문천(多聞天)은 비사문천(毘沙門天)이라고도 하는데
항상 부처님의 도량을 지키면서 부처님의 설법을 듣는다 하여 다문이라고 한다.
그가 맡은 역할은 암흑계의 사물을 관리하는 것이다.
수미산의 북쪽 수정타(水精타)에 살며,
권속으로 야차(위덕, 포악, 용맹한 귀신)와 나찰(지옥 귀신)을 거느리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조성된 사천왕은 대체로 동.남.서방천왕이 칼을 쥐고 북방천왕은
탑을 받치는 형태였는데, 조선시대 사천왕상의 지물은 다소 차이를 보인다.
즉 조선후기의 사천왕상 조성에 영향을 미친「약사칠불의궤공양법(藥師七佛儀軌供養法)」에 따르면
동방천왕은 비파,
남방천왕은 칼,
서방천왕은 용과 여의주,
북방천왕은 탑을 든다고 하였다.
따라서 각 사찰의 천왕문에 조성된 목조사천왕상들은 여기에 준하여 그 존명(尊名)을 알 수 있다.
출처원문 Brown Eyed Soul | 소울
http://blog.naver.com/hueycobra/150074286008
'<♣ 학술자료 ♣> > 기타 관련자료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天>해설 (0) | 2010.09.27 |
---|---|
1600년대 ~ 1700년대 화엄사의 고승 (0) | 2010.08.30 |
禪修行의 준비 -- 25方便 (0) | 2010.06.10 |
49재, 왜 ‘보편적 脫喪의례’ 됐나 (0) | 2010.05.06 |
<승가원> - 대한불교 조계종 중앙승가대학교 사회복지법인 (0) | 2010.04.07 |
의상스님의 자비보시 (0) | 2010.04.07 |
[스크랩] 성철스님---삼천배의유래 (0) | 2010.02.23 |
[스크랩] ★달마의 가르침-열매 9가지★ (0) | 2010.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