僞山錄】- 상당법어 (1)
1. 스님께서 상당(上堂)하여 말씀하셨다.
"도를 닦는 사람의 마음은 거짓없이 곧고 좋아하거나 싫어함이 없으며, 허망한 마음씨도 없어야 한다. 듣고 보는 모든 일상에 굽음이 없어야 하며, 그렇다고 눈을 감거나 귀를 막지도 말아야 한다. 다만 마음이 경계에 끄달리지 않으면 되는 것이다. 옛부터 모든 성인들은 단지 물든 세속사를 치유하는 측면에서 말씀하셨을 뿐이니, 허다한 나쁜 지견과 망상 습기가 없으면, 맑고 고요한 가을물처럼 청정할 것이다. 맑고 잔잔하여 아무 할일도 없고 막힐 것도 없으리니, 그런 사람을 도인(道人)이라 부르기도 하고 일 없는 사람〔無事人〕이라고도 한다."
그때 어떤 스님이 물었다.
"단박 깨친 사람도 더 닦을 것이 있읍니까?"
"참으로 근본을 체득한 이라면 닦는다느니 닦을 것이 없다느니 하는 것이 관점을 달리하는 말〔兩頭語〕임을 깨닫는 그 순간 스스로 안다. 지금 처음 발심한 사람이 인연 따라 한 생각에 본래 이치를 깨달았으나 비롯함이 없는 여러 겁의 습기를 당장 없애지는 못하므로 그것을 깨끗이 없애기 위해서는 현재의 업과 의식의 흐름을 다 없애야 하는데, 이것을 닦는다 하는 것이지 따로 닦게 하는 이치가 있다는 것은 아니다.
법을 듣고 진리를 깨치는데 깊고 묘한 진리를 들으면 마음이 저절로 밝아져서 미혹한 경계에 머무르지 않게 된다. 그렇긴 하나 백천가지의 묘한 이치로 세상을 휩쓴다 할지라도 나아가 자리 잡고 옷을 풀고 앉아서 스스로 살 꾀를 낼 줄 알아야 할 것이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실제 진리의 경지에는 한 티끌도 받아들이지 않지만 만행을 닦는 가운데서는 한 법도 버리지 않는다. 만일 단도직입으로 깨달아 범부니 성인이니 하는 허망한 생각이 모두 녹아지면 참되고 항상함이 그대로 드러나고 진리와 현실이 둘이 아닌 여여한 부처이다."
2
등은봉(鄧隱峯)스님이 위산에 도착하자마자 큰방으로 들어가 상판(上板) 위에 의발(衣鉢)을 풀어 놓았다. 스님은 사숙(師叔)이 찾아왔다는 말을 듣고 먼저 예의를 갖추어 큰방으로 내려가 인사를 하려 했다. 은봉스님은 스님이 오는 것을 보자마자 벌렁 눕더니 자는 시늉을 하였다. 스님은 이를 보고 방장실로 그냥 되돌아가 버렸고 은봉스님도 떠나버렸다. 조금 있다가 스님께서 시자에게 물으셨다.
"사숙님은 아직 계시느냐?"
"이미 떠나셨습니다."
"가실 때에 무슨 말씀이 없으시더냐?"
"말씀이 없으셨습니다."
"말씀이 없었다고 하지 말라. 그 소리가 우뢰와 같았느니라."
3
운암 담성(雲巖曇晟:782∼841)스님이 위산에 찾아왔을 때 스님께서 물으셨다.
"소문을 듣자니 스님(운암)은 약산 유엄(藥山惟儼:745∼828)스님 회상에 살 때 사자를 데리고 놀았다고 하던데, 그런가?"
"그렇습니다."
"오랫동안 데리고 놀다가 그냥 둘 때도 있었는가?"
"데리고 놀고 싶으면 데리고 놀고, 그냥 두고 싶으면 그냥 두었습니다."
"그냥 둘 때는 사자가 어느 곳에 있던가?"
"그냥 두었지요. 그냥 두었습니다."
* 법창 의우(法昌倚遇:1005∼1081)스님은 말하였다.
"훌륭한 사자였으나 머리만 있었지 꼬리는 없었다. 내가 당시에 위산스님이 `그냥 둘 때에는 사자가 어디에 있던가?'라고 묻는 것을 보았더라면 땅에 웅크린 금빛사자를 내보내 위산스님이 몸을 숨길 곳이 없게 하였으리라."
4
스님께서 운암스님에게 물으셨다.
"보리(菩提)는 어디에 자리하는가?"
"무위(無爲)에 자리합니다."
운암스님이 똑같이 묻자 스님이 말씀하셨다.
"모든 법이 빈 것에 자리한다."
또 도오 원지(道吾圓智:769∼835)스님에게 물었다.
"어떻습니까?"
"앉으면 앉는 데 있고 누우면 눕는 데 있소. 그런데 앉지도 않고 눕지도 않는 사람이 있으니 무엇이겠소? 빨리 말하시오. 빨리 말해."
그는 여기서 그만두었다.
5
스님께서 운암스님에게 물으셨다.
"스님은 약산 유엄스님 회상에서 오랫동안 있었다고 들었는데, 그런가?"
"그렇습니다."
"어떤 것이 약산스님의 거룩한 모습인가?"
"열반에 든 뒤에도 있습니다."
"열반의 뒤에 있는 것이 무엇인데?"
"물에도 젖지 않습니다."
운암스님이 스님에게 똑같이 물었다.
"백장스님의 거룩한 모습은 어떻습니까?"
"당당하고 밝다. 소리가 생기기 전이라 소리가 아니며 물질이 끝난 뒤라 물질도 아니니, 마치 무쇠소 등에 붙은 모기가 침을 꽂을 곳이 없는 것과 같다."
6
위산스님이 도오스님에게 물으셨다.
"어딜 갔다 오는 길이오?"
"환자를 보살피고 오는 길이요."
"몇 사람이나 병이 들었읍니까?"
"병든 사람도 있고, 병들지 않은 사람도 있었소."
"병들지 않은 사람은 지두타(智頭陀)가 아닙니까?"
"병이 들었거나 병들지 않았거나 양쪽 다 `그 일'과는 관계가 없으니, 빨리 말하시오. 빨리 말해."
"말을 한다 해도 그것과는 관계없소."
7
덕산 선감(德山宣鑑:780∼865)스님이 찾아와서 좌복을 끼고 법당에 올라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오락가락하더니 방장실을 돌아보며 말하였다.
"계십니까, 계십니까!"
스님께서는 앉은 채로 뒤돌아보시지도 않자 덕산스님은 말하였다.
"아무도 없구나! 아무도 없어!"
그리고는 그냥 나가려고 했다.
* 설두 중현(雪重顯)스님이 착어(着語:本則 끝에 평을 붙여 자기의 宗眼을 표시하는 짧은 싯구)하였다. "속셈을 간파해 버렸군"
그러다 문앞에 와서 속으로 생각하기를, "그렇긴 해도 경솔해서는 안되지" 하고는 이윽고 자세를 가다듬고 다시 들어가 인사를 하려 했다. 문지방을 들어서자마자 좌구(坐具)를 들고 "스님!"하니 스님이 불자(拂子)를 잡으려는데, 덕산스님은 별안간 "할"하고는 소맷자락을 날리며 그냥 나가버렸다.
* 설두스님은 "간파해 버렸군"하고 착어하였다.
그날 스님께서는 느지막하게 수좌(首座)에게 물으셨다.
"오늘 새로 찾아온 사람이 아직 있느냐?"
"그때 법당을 등지고 짚신을 신고 나가버렸습니다."
"이 사람은 뒷날 높은 산봉우리에 초암(草庵)을 짓고 앉아 부처님과 조사스님들을 꾸짖고 호령하게 될 것이다."
* 설두스님은 "설상가상이군"하였고, 오조 사계(五祖師戒)스님은 "덕산스님은 남의 마음을 훔치는 도둑놈 같고, 위산스님도 도적이 간 뒤에 활을 당겼다" 하였다.
8
석상(石霜)스님이 위산에 이르러 미두(米頭:冶座 및에서 쌀을 관장하는 직책) 소임을 맡게 되었다. 하루는 키로 쌀을 까부르고 있는데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시주물(施主物)을 흘려버리지 말게."
"흘려버리지 않았습니다."
스님은 땅에서 쌀 한 톨을 주어들고는 말씀하셨다.
"그대는 흘려버리지 않는다고 말하고서 이건 뭔가?"
석상스님이 대꾸가 없자 스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이 한 톨의 곡식을 가볍게 여기지 말게. 모든 곡식알이 다 이 한 알에서 나온다네."
"모든 곡식알이 이 한 알에서 나온다면, 이 한 알은 어디서 나왔을까요?"
스님께서는 크게 껄껄 웃으시며 방장실로 돌아갔다.
9
협산 선회(夾山善會:805∼881)스님이 위산에 머무르면서 전좌(冶座) 소임을 맡아 보았다. 스님께서 협산스님에게 물었다.
"오늘은 무슨 나물을 먹지?"
"작년이나 올해나 똑같은 봄입니다."
"공부 잘 하는구나."
"용이 봉황의 둥우리에서 잠을 잡니다."
10
앙산 혜적(仰山慧寂:803∼887)스님이 스님께 여쭈었다.
"달마스님이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그러자 위산스님은 등롱(燈籠:법당 앞에 세워둔 장엄구의 일종)을 가리키시면서 말씀하셨다.
"등롱이 아주 좋구먼."
"그저 `이것인' 것만은 아니지 않읍니까?"
"그 `이것'이라는 게 무엇인가?"
"아주 좋은 등롱 말입니다."
"과연 모르는구먼!"
11
어느날 대중들에게 말씀하셨다.
"허다한 사람들이 대기(大機)만을 얻었을 뿐, 대용(大用)을 얻지는 못했다."
앙산스님이 이 말을 산 아래 암주(庵主)에게 이야기하고 이어서 물었다.
"스님께서 이처럼 말씀하신 뜻이 무엇이겠읍니까?"
"그럼 위산스님이 하셨던 대로 나에게 말해 보십시오."
앙산스님이 다시 말하려 하자 암주는 느닷없이 앙산스님을 걷어차서 쓰러뜨렸다. 앙산스님이 되돌아와 스님에게 자초지종을 말씀드리자 스님께서는 `껄껄'하고 크게 웃으셨다.
12
스님께서 차잎을 따시다가 앙산스님에게 말씀하셨다.
"종일토록 차잎을 따는데 그대의 소리만 들릴 뿐 그대의 모습은 보이질 않으니 본래 모습을 드러내라."
앙산스님이 차나무를 흔들자 스님은 말씀하셨다.
"그대는 작용만을 얻었을 뿐 본체는 얻지 못하였군."
"그렇다면 스님께선 어찌 하시겠읍니까?"
스님께서 잠자코 한참을 있자 앙산스님은 말하였다.
"스님께선 본체만을 얻었을 뿐 작용은 얻질 못하셨습니다."
"네놈에게 몽둥이 30대를 때려야겠구나."
"스님의 방망이는 제가 맞습니다만 저의 방망이는 누가 맞습니까?"
"네놈에게 몽둥이 30대를 때려야겠구나."
* 수산 성념(首山省念:926∼993)스님은 말하였다.
"종사(宗師)라면 모름지기 법을 구별할 줄 아는 안목을 갖추어야만 한다. 당시에 위산스님이 아니었다면 울타리나 벽을 더듬는 꼴을 보았을 것이다."
낭야 혜각(慧覺)스님은 말하였다.
"5경(五更:새벽 3∼5시)이 되어 일찍 일어난 줄 알았더니 벌써 밤에 떠난 사람이 있었군."
또 말하였다.
"위산스님이 아니었더라면, 하마터면 모두 죽을 뻔했을 것이다."
백운 수단(百雲守端:1025∼1072)스님은 말하였다.
"부자가 서로 만나 의기(意氣)가 투합하고 안팎으로 쪼아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오듯 동시에 기봉이 마주쳤다. 그렇긴 해도 필경 어떻게 말해야만 체용(體用)이 모두 완전할 수 있을까? 위산스님이 앙산스님에게 방망이 30대를 때린 것은 자식을 기를 인연이었다 하겠다."
장산 근(蔣山懃)스님이 말하였다.
"장공(張公)이 잠깐 이공(李公)의 친구되어 이공에게 벌주(罰酒) 한 잔 대접하려다가 도리어 이공에게 벌주 한 잔 당했으니 이야말로 솜씨 중에 솜씨로구나."
옥천 종련(玉泉宗璉)스님은 말하였다.
"설사 체용이 둘 다 완전하다 해도 애초부터 빗나가 버렸는데야 어찌하랴. 빗나가버린 것은 우선 그만두고라도 그에게 30대의 방망이를 때린 것은 또 어떠한가? 석 잔 술로 도련님의 얼굴을 화장하고, 한 송이 꽃을 미인의 머리에 꽂는다네."
13
스님께서 막 앉으려 하시는데 앙산스님이 들어왔다. 스님은 말씀하셨다.
"혜적(慧寂)아! 5음(五陰)의 경계에 들어가지 말고서 얼른 한마디 해 보라."
"저는 아직 신심도 확고하지 않습니다."
"그대는 믿음을 이룩하지 못했는가, 아니면 믿지 않음을 이룩하지 못했는가?"
"다만 혜적일 뿐 다시 누구를 믿겠읍니까?"
"그렇다면 정성성문(定性聲聞:부처될 가망이 없는 고정적인 성문)이로구나."
"혜적은 부처님도 인정하지 않습니다."
14
스님께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 『열반경』 40권에서 어느 정도가 부처님 말씀이며 어느 정도가 마군의 말이겠느냐?"
"모조리 마군의 말입니다."
"앞으로는 그대를 어찌해 볼 사람이 없을 것이다."
앙산스님이 물었다.
"혜적의 지난 한 때의 처신[行履:무종의 폐불로 강제환속당했던 일]은 어찌 됩니까?"
"그대의 바른 안목이 중요할 뿐, 그때 그 일은 말하지 않겠다."
15
앙산스님이 빨래를 밟다가 불쑥 스님께 여쭈었다.
"바로 이러할 때에 스님께서는 어찌하시겠읍니까?"
"바로 이러할 때에는 어찌할 수가 없구나."
"스님은 본체는 있어도 작용이 없습니다."
스님께서는 말 없이 잠자코 계시다가 불쑥 물으셨다.
"그대는 이러할 때 어찌하겠느냐?"
"바로 이러할 때 스님께서는 이것을 보셨읍니까?"
"그대는 작용은 있어도 본체는 없구나."
스님께서 그 뒤에 갑자기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그대가 지난 봄에 한 말은 완전하질 못했으니 지금 다시 말해 보아라."
"바로 이런 때에 간절한 호소는 금물입니다."
"감옥살이하는 동안에 꾀가 제법 늘었구나."
16
스님께서 물병을 앙산스님에게 건네주려다가 앙산스님이 받으려 하자 손을 얼른 웅크리면서 말씀하셨다.
"무엇이냐?"
"스님께서는 무엇이 보이십니까?"
"그렇다면 무엇을 나에게서 받으려 했는가?"
"그렇기는 합니다만 인의(仁義)의 도리에서 보건대, 스님의 물병을 받아 물을 떠다 드리는 것이 제자의 도리이겠습니다."
스님은 그제서야 물병을 앙산스님에게 건네 주셨다.
17
스님이 앙산스님과 함께 가다가 잣나무를 가리키시면서 말씀하셨다.
"앞에 있는 것이 무엇이냐?"
"잣나무입니다."
스님은 다시 밭에서 김매는 농부에게 물었는데 농부 역시 "잣나무입니다"하자 " 밭에서 김매는 농부도 뒷날 5백명 정도의 대중은 거느리겠구나"하셨다.
* 위산 철(山喆)스님은 말하였다.
"나 같으면 그렇게 하지 않겠다. 차라리 `김매는 어르신네여, 나는 그대만 못하다'라고 하였으리라. 말해 보라. 대원(大圓:위산스님의 시호)이 옳은지 내가 옳은지를. 만일 어떤 사람이 분별할 수 있다면 그대가 법을 가려낼 수 있는 안목을 갖추었다고 인정하겠지만, 만약 분별하지 못한다면 불법이 치연하게 생멸하리라."
신정 홍인(神鼎洪:?∼901)스님은 말하였다.
"의도가 김매는 데 있었겠느냐? 앙산의 경계에 있었겠느냐? 아니면 모두 아닌가? 여러 상좌(上座)들이여, 일체 법이 분분하나 다시는 일삼을 필요가 없다. 그들 사제간의 대화는 같은 길을 가는 자만이 알 것이다."
18
스님께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어디 갔다 오느냐?"
"밭에서 돌아옵니다."
"벼는 잘 베었느냐?"
앙산스님이 벼 베는 시늉을 하자 스님이 말씀하셨다.
"그대가 가지고 온 벼는 푸르던가 누렇던가, 푸르지도 누렇지도 않던가?"
"스님 등 뒤에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보았는가?"
앙산스님은 벼이삭을 꺼내 들면서 말하였다.
"스님께서 이것을 물으셨겠읍니까?"
"거위왕이 우유만을 가리는 것과 같구나."
19
위산스님께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날씨가 추운가, 사람이 추운가?"
"모든 사람들이 그 속에 있습니다."
"어찌하여 바로 말하지 않느냐?"
"이제까지 굽어 있지 않았는데 스님께서는 어찌 생각하십니까?"
"흐름을 따르기만 하면 된다."
20
스님께서 상당(上堂)하여 말씀하셨다.
"한겨울의 매서운 추위는 해마다 있는 일이다. 해 그림자가 옮기며 세월이 가는 일은 어떠한가?"
앙산스님이 앞으로 나아가 차수(叉手)하고 서자 스님께 말씀하셨다.
"나는 그대가 이 물음에 대답하지 못하리라는 것을 알았다."
그러자 향엄(香嚴:?∼898)스님이 말하였다.
"저는 이 말에 조금이나마 대답할 수 있습니다."
스님께서 바짝 앞으로 나아가 묻자 향엄스님도 역시 앞으로 나아가 차수하고 서니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운이 좋아서 혜적이가 모르는 것을 만났구나!"
21
스님께서 앉아계신데 앙산스님이 방장실 앞을 지나가자 스님이 말씀하셨다.
"백장선사(先師)께서 보셨더라면 그대는 모름지기 뼈아픈 방망이를 맞아야 했으리라."
"지금은 어떻습니까?"
"입 닥쳐라!"
"이 은혜는 보답하기 어렵겠습니다."
"그대가 재주 없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이가 들었을 뿐이다."
"오늘은 백장스승을 직접 뵙고 왔습니다."
"어디에서 보았느냐?"
"보았다고 말하진 않겠습니다. 그렇다고 다른 것도 아닙니다."
"진짜 작가(作家:선지식)로다."
22.
스님께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지금의 일은 우선 그만두고, 옛날의 일은 어떠한가?"
앙산스님이 차수를 하고 앞으로 가까이 가자 스님은 말씀하셨다.
"그래도 이것은 지금의 일이네. 옛날의 일은 어떤가?"
앙산스님이 뒤로 물러가 서자 스님은 다시 말씀하셨다.
"네가 나를 이겼느냐 내가 너를 이겼느냐?"
그러자 앙산스님은 절을 올렸다.
* 장산 근(蔣山懃)스님은 말하였다.
"앙산이 나아가고 물러나며 옛날과 지금을 잘 드러내긴 하였으나 호떡의 꿀은 위산이 빨아먹었는데야 어찌하랴. 모래를 짜서 기름을 찾았다 하리라. 그렇기는 하나 말해 보라. 앙산이 차수했던 의도가 무엇인지를. 만약 이것을 알 수 있다면 행각하는 일을 끝내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라면 내가 여러분을 저버린 것이 아니라 여러분 스스로가 나를 저버린 것이다."
23.
앙산스님과 향엄스님이 스님을 모시고 있는데 스님께서 손을 들며 말씀하셨다.
"요즈음 이같은 자는 적고, 이같지 않은 자는 많구나."
향엄스님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 서자 앙산스님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서 서니 위산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인연은 30년 뒤에 가서 황금을 땅에 던지는 것과 같을 것이다."
앙산스님이 "역시 스님께서 법을 펴셔야 하겠습니다" 하였고, 향엄스님은 "지금도 적지는 않군요" 하였는데, 스님은 "입 닥쳐라!" 하셨다.
* 남당 원정(南堂元靜:1065∼1135)스님은 말하였다.
코끼리왕은 기지개를 켜고
사자는 포효하네
땅에 웅크리고 허공에 도사려
별을 옮겨 북두와 바꾸었네
앉아서 혀끝을 끊으니
개 같은 입 닥쳐라
한번 땅에 던져 황금소리 내니
구비구비한 황하는 바닥까지 맑았어라.
24.
스님께서 앉아 있는데 앙산스님이 들어왔다. 스님이 양손을 맞대어 들어보이자 앙산스님은 여인처럼 절을 하니 스님께서는 "그렇네. 그래" 하셨다.
25.
스님께서 방장실 안에 앉아계신데 앙산스님이 들어오니 이렇게 물으셨다.
"혜적아, 요즈음 종문(宗門)의 법통계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
"많은 사람이 이 일을 의심합니다."
"그대는 어떤가?"
"저는 그저 피곤하면 잠을 자고, 기운 있으면 좌선을 합니다. 때문에 그것에 대해서는 말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정도 되기가 이렵지."
"제 생각은 그럴 뿐이니 한 마디도 할 수 없습니다."
"그대 혼자로는 말할 수 없지."
"예로부터 모든 성인이 다 그렇습니다."
"많은 사람이 그대의 이같은 대꾸를 비웃을 것이다."
"비웃을 줄 아는 사람이라면 제가 그와 동참하겠습니다."
"생사의 굴레에서 빠져나오는 일은 어떠한가?"
앙산스님이 선상(禪滅)을 한 바퀴 돌자 스님은 "고금을 깨 부숴버렸군" 하셨다.
* 장산 근스님은 말하였다.
"거문고를 튕겨 이별을 노래하고, 낙엽이 지니 가을인 줄 알겠더라. 예나 지금이나 척척 들어맞는다.
조도(鳥道)와 현로(玄路)*는 이들 스승과 제자가 직접 다녔다 할 만하겠지만 만약 가시덤불 속에 있다면 아직 깨닫지 못했다 하리라. 그 증거로써 앙산이 선상을 한 바퀴 돌자 위산이 `고금을 깨 부숴버렸군'이라 말한 것을 들 수 있다. 눈 밝은 납승(衲僧)이었다면 조금도 속이지 못했을 것이다."
26.
앙산스님과 향엄스님이 모시고 있는데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과거·현재·미래에 부처마다 같은 길이며 사람마다 모두 해탈의 길을 얻었다."
그러자 앙산스님이 "무엇이 사람마다 얻은 해탈의 길입니까?"하니 스님께서 향엄스님을 되돌아보며 "혜적이 지금 바로 묻고 있는데, 왜 그것을 말해주지 않느냐?"하셨다.
향엄스님이 "과거·현재·미래를 말하라면 저는 대답할 수 있습니다" 하니 스님이 "그렇다면 그대는 어떻게 대답하려는가?"하고 묻자 향엄스님은 "안녕히 계십시오"하고는 바로 나가버렸다. 스님은 다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지한이 이처럼 대꾸했는데 혜적은 알겠느냐?"
"모르겠습니다."
"그러면 그대는 어찌하려는가?"
앙산스님도 "안녕히 계십시오"하고 나가버리자, 스님은 `껄껄' 하고 크게 웃으시며 "물과 우유가 섞이 듯하는군" 하셨다.
27.
스님께서 하루는 한 발로 서 계시면서 앙산스님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매일 이것에 실려 있지만 이것을 철저히 알지 못하겠다."
앙산스님은 말하였다.
"당시 급고독원(給孤獨園)에서도 이와 다름이 없었을 겁니다."
"한마디 더 해 보거라."
"추울 때에 그것에 버선을 신긴다고 말해도 도리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않습니다."
"애초부터 실려 있지 않았는데 그대는 벌써 철저히 알아버렸네."
"그렇다면 어찌 다시 대답하라 하십니까?"
"말해 보게나."
"정말 그렇습니다."
"옳지, 옳지."
28.
스님께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생(生)·주(住)·이(異)·멸(滅)을 그대는 알겠는가?"
"한 생각이 일어날 때에도 생·주·이·멸이 전혀 없습니다."
"그대는 어찌 법을 버릴 수 있는가?"
"스님께서 조금 전에 무엇을 질문하셨습니까?"
"생·주·이·멸이라고 말했지."
"도리어 스님께서 법을 버리셨군요."
29.
스님께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오묘하고 청정하고 맑은 마음〔妙淨明心〕을 그대는 무어라고 생각하는가?"
"산하대지와 일월성신입니다."
"그대는 겨우 그것만 알았느냐?"
"스님께서는 조금 전에 무얼 물으셨읍니까?"
"오묘하고 청정하고 밝은 마음에 대해 물었네."
"겨우 스님께서는 그것만 알았읍니까?"
"그렇지. 그래."
30.
석상(石霜)스님의 회상에 있던 두 선객이 찾아와서는 말하기를 "여기에는 선(禪)을 아는 사람이 하나도 없군" 하였다. 나중에 대중 운력으로 땔감을 운반하다가 앙산스님은 두 선객이 쉬는 것을 보고서 장작개비 하나를 들고는 물었다.
"자, 말할 수 있겠소?"
둘 다 대꾸가 없자 앙산스님은 말하였다.
"선을 아는 사람이 없다고 하지 말았어야 할 것을."
그리고는 스님께 돌아와서 말씀드렸다.
"오늘 두 선객이 저에게 속셈을 간파당하였습니다."
그러자 스님이 물었다.
"어떻게 했길래 그대에게 간파당하였는가?"
앙산스님이 앞에 있었던 일을 말씀드리자 스님은 말씀하셨다.
"혜적은 다시 나에게 속셈을 간파당하였군."
* 운거 청석(雲居淸錫)스님은 말하였다. "어디가 위산이 앙산을 간파해 버린 곳이냐?"
31.
스님이 졸고 앉아계신데 앙산스님이 문안을 드리자 스님께선 돌려 앉으시더니 벽을 향했다.
"스님, 어찌 그러십니까?"
하고 묻자 스님이 일어나시더니 말씀하셨다.
"내가 조금 전에 꿈을 꾸었는데, 그대가 해몽해 주게나."
앙산스님이 물 한 대야를 가지고 스님의 얼굴을 씻겨드렸다. 조금 있다가 향엄스님이 와서 문안을 드리자 스님은 말씀하셨다.
"내가 조금 전에 꿈을 꾸었는데 혜적이 나를 위해서 해몽을 해주었다네. 그러니 그대도 해몽을 해보게."
향엄스님이 차 한 잔을 다려다 바치니 스님은 말씀하셨다.
"두 사람의 견해가 지혜제일의 사리불보다 더 훌륭하구나."
* 장산 근스님은 말하였다.
꿈 속에서 꿈 이야기를 하니
위산은 참으로 인정할 만하다
묘용(妙用)과 신통(神通)은
모름지기 두 사람에게 돌리게나
차를 올리고 세숫물 떠다드려
고금에 빛나도다
늙어져서 마음 외로우니
아이들을 가련하게 아끼네
납승의 문하에서
한 사람은 문 밖에 있고
한 사람은 문 안에 있는데
다시 한 사람 있어
이 넓은 세상에도 감출 수 없고
불안(佛眼)으로도 엿보지 못하네"
남당 원정스님은 말하였다.
무명초(無明草)를 헤쳐 본지풍광(本地風光) 바라보고
고봉(孤峯)에 홀로 잠자며
줄 없는 거문고 뜯고
남이 없는〔無生〕 곡조를 노래하네
위산, 앙산, 향엄이여!
마치 솥의 세 발과 같아라
중생을 만나 털끝만한 힘도 쓰지 않고
천백억 세계에 마음대로 분신(¿身)하네.
32.
한 스님이 물었다.
"달마스님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은 무엇입니까?"
그러자 스님은 다만 불자(拂子)를 일으켜 세우셨다. 이 일이 있은 뒤 그 스님은 상시(常侍) 벼슬을 하는 왕경초(王敬初)거사를 만났는데 왕거사는 이렇게 물었다.
"위산스님께서는 요즘 무슨 말씀을 하십니까?"
그 스님이 지난번에 있었던 일을 말해 주었더니 왕거사가 또 말하였다.
"그 쪽 문도들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물건〔色〕을 통해 마음을 밝히고 사물을 가지고 이치를 드러낸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아닐 것입니다. 스님은 속히 돌아가야 좋을 겁니다. 제가 감히 편지 한 장을 드릴 터이니 위산스님께 전해 주십시오."
그리하여 편지를 받아들고 되돌아가서 스님께 올렸다. 편지를 열어 보았더니, 일원상(一圓相)이 그려져 있고, 그 안에 날일자〔日〕가 써 있었는데 스님은 말씀하셨다.
"천리 밖에 나의 심중을 헤아리는 자가 있을 줄이야 뉘라서 알았으랴."
앙산스님이 뫼시고 있다가 그것에 대해 말하였다.
"비록 그렇긴 합니다만 그래도 속인일 뿐입니다."
"그러면 그대는 어떻게 하겠는가?"
앙산스님이 즉시 일원상을 그리고 그 가운데 날일자〔日〕를 썼다가 발로 쓱쓱 문질러 버렸다. 그러자 스님은 크게 웃으셨다.
33.
스님이 앉아계신데 앙산스님이 여쭈었다.
"스님께서 돌아가신 뒤에 선사(先師)의 법도를 묻는 사람이 있으면 어떻게 대답할까요?"
"한 끼니는 죽, 한 끼니는 밥을 먹었다고 하게."
"앞에 있는 그 사람이 그것을 긍정하지 않는다면 어찌합니까?"
"그대야말로 본색종장(本色宗翌)이로군."
앙산스님이 곧바로 절을 올리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다른 사람을 만나더라도 이 소식을 잘못 들먹거리지 말게."
34.
스님께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종일토록 그대와 대화해서 무슨 일을 했을까?"
앙산스님이 공중에 한 획을 그리자, 스님께서는 "내가 아니었더라면 끝내 그대에게 속았을 걸세" 하셨다.
35.
앙산스님이 스님께 여쭈었다.
"수많은 경계가 한꺼번에 닥치면 어찌합니까?"
"푸른 것은 누런 것이 아니고, 긴 것은 짧은 것이 아니다. 모든 법은 각자 자기 자리를 지키므로 나의 일에는 관계하질 않는다."
앙산스님은 스님께 절을 올렸다.
36.
장을 담그면서 스님이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여기에 어느 정도의 소금물을 넣어야 할까?"
"저는 모르겠으니 대답하지 않겠습니다."
"나는 알겠는데."
"소금물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모르겠습니다."
"네가 모른다면 나도 답변하지 않겠다."
그날 저녁에 스님께서 다시 앙산스님에게 물으셨다.
"오늘의 인연을 그대는 어떻게 간직하려는가?"
"묻는대로 대답하겠습니다."
"지금 그대에게 묻는다. 어쩔텐가?"
"귀는 어둡고 눈은 침침하여 듣고 보는 것이 분명하질 못합니다."
"그 누가 문답을 하더라도 그대의 이 말보다 뛰어나지는 못하리라."
앙산스님이 절을 올리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혜적아, 오늘은 아침 저녁으로 잃은 것이 적지 않구나."
37.
스님께서 앙산스님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는 홀로 회광반조(廻光返照)하라. 다른 사람은 그대가 깨달은 깊이를 모르니, 그대는 실제로 이해한 바를 내게 보여다오."
"제가 보건대 이 자리에는 부처를 이루었다〔圓位〕할 것도 없으며 한 물건, 한 깨달음도 스님께 드릴 수 없습니다."
"부처를 이루었다 할 것도 없는 자리는 원래 그대가 알음알이를 내는 자리로서 마음〔心〕과 경계〔境〕를 아직 여의치 못한 것이다."
"부처도 없는데 무슨 법이 있으며, 무엇으로 경계를 짓습니까?"
"조금 전에 그대가 그런 알음알이를 냈었지? 그렇지 않은가?"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마음이다 경계다 하는 것이 모두 있어 주관〔我〕과 객관〔我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니라. 원래 그대에겐 알음알이가 있었는데 나에게 내놓을 알음알이가 없다고 어찌 말할 수 있겠느냐? 그대의 신위(信位)는 환히 나타났다고 인정하겠지만, 인위(人位)는 숨어 있느니라."
38.
스님께서 앙산스님이 오는 것을 보시고는 곧 손가락으로 땅에다 한 획을 긋자, 앙산스님은 손으로 목 아래에 한 획 긋고, 다시 자기 귀를 잡아 서너번 털었다. 그러자 스님께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가버리셨다.
39.
스님께서 하루는 향엄스님과 앙산스님이 떡을 만들고 있는 것을 보시더니 말씀하셨다.
"그때도 백장스님께서 이 도리를 직접 체득하셨다네."
앙산스님과 향엄스님이 서로 돌아보며 말하였다.
"어떤 사람이 이 말씀에 대답할 수 있을까요?"
"한 사람이 대답할 수 있지."
앙산스님이 말하였다.
"누굽니까?"
스님께서는 물빛소〔水牛〕를 가리키며 말씀하셨다.
"말하라, 말해 보아라."
그러자 앙산스님은 풀 한 묶음을 가져오고 향엄스님은 물 한 통을 가져와 물빛소 앞에 놓았다. 물빛소가 먹으려 하자 스님께서는 말씀하셨다.
"그렇다면 그렇고, 그렇지 않다면 그렇지 않다."
두 스님이 함께 절을 올리자 스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어떤 때는 밝기도 하고, 어떤 때는 어둡기도 하다."
40.
스님께서 하루는 제자들에게 정어(呈語)*를 해보라고 하시면서 "소리나 물질〔聲色〕 밖에서 나와 만나보자"고 하셨다.
이때에 유주(幽州)의 감홍(鑑弘)상좌가 정어하기를, "말씀 올리는 것이야 사양치 않지만 눈 없는 사람이 누굽니까?" 하자 스님께서는 긍정하지 않으셨다.
앙산스님은 세 차례 말씀을 올렸는데〔呈語〕, 첫째는 "본다 해도 소리나 물질〔聲色〕에 걸리고 보지 않는다 해도 걸립니다" 하자, 스님께서는 "미세하기는 새털 끝 같고 차가웁기는 한겨울의 서릿발과 같다"고 하셨다. 두번째는 "성색의 밖에서 누가 만나려고 합니까?"라고 하자, 스님께서는 "방외(方外:세속을 떠나 도를 닦는)의 도리에 막힌 성문(聲聞)일 뿐이다" 하셨으며, 세번째는 "두 거울이 서로 비출 때 그 가운데 아무런 물상이 없습니다"라고 말하자, 스님께서는 "이 말이 맞다" 하셨다.
앙산스님이 다시 여쭈었다.
"스님께서는 백장 노스님의 처소에서 어떻게 정어하셨읍니까?"
"나는 백장스님의 처소에서 정어(呈語)하기를 `마치 수많은 밝은 거울이 상(像)을 비추면서 빛이 서로를 비추는 것처럼, 진진찰찰(塵塵刹刹)이 서로를 조금도 의지하지 않습니다'라고 했다."
그러자 앙산스님은 절을 올렸다.
41.
스님께서 하루는 향엄스님에게 물으셨다.
"그대는 백장스님의 처소에 살면서, 하나를 물으면 열을 대답하고 열을 물으면 백을 대답했다고 하던데 이는 그대가 총명하고 영리하여 이해력이 뛰어났기 때문일 줄 안다. 그러나 바로 이것이 생사의 근본이다. 부모가 낳아주기 전 그대의 본래면목에 대해 한마디 말해 보아라."
향엄스님은 이 질문을 받고는 말문이 막혀버렸다. 방으로 되돌아와 평소에 보았던 모든 책을 뒤져가며 적절한 대답을 찾으려고 애를 써 보았으나 끝내는 찾지 못하였다. 그래서 그는 스스로 탄식하며 말하였다.
"그림 속의 떡은 주린 배를 채워주지 못한다."
그런 뒤로 향엄스님은 여러번 스님께 가르쳐 주시기를 청하였으나 그럴 때마다 스님은 말씀하셨다.
"만일 그대에게 말해준다면 그대는 뒷날 나를 욕할 것이네. 무엇이든 내가 설명하는 것은 내 일일 뿐 결코 그대의 수행과는 관계가 없느니라."
향엄스님은 이윽고 평소에 보았던 책들을 태워버리면서 말하였다.
"금생에서는 더이상 불법을 배우지 않고 이제부터는 그저 멀리 떠돌아다니면서 얻어 먹는 밥중노릇이나 하면서 이 몸둥이나 좀 편하게 지내리라."
이리하여 눈물을 흘리며 스님을 하직하였다. 곧바로 남양(南陽) 지방을 지나다가 혜충국사(慧忠國師)의 탑을 참배하고는 마침내 그곳에서 쉬게 되었다.
하루는 잡초와 나무를 베다가 우연히 기왓장 한 조각을 집어 던졌는데 그것이 대나무에 "딱"부딪치는 소리를 듣고는 단박에 깨닫게 되었다. 향엄스님은 급히 거처로 돌아와 목욕 분향하고 멀리 계시는 스님(위산)께 절을 올리고는 말하였다.
"스님의 큰 자비여! 부모의 은혜보다 더 크십니다. 만일 그때 저에게 말로 설명해 주셨더라면 어찌 오늘의 이 깨달음이 있을 수 있겠읍니까!"
이에 게송을 읊었다.
딱 소리에 알던 바를 잊으니
다시는 닦을 필요 없게 되었네
덩실덩실 옛길을 넘나드니
초췌한 처지에 빠질 리 없어라
곳곳에 자취를 남기지 않고
빛과 소리를 벗어난 몸짓이니
제방의 도를 아는 이들은
모두가 상상기(上上機)라 하더라.
一擊忘所知 更不假修時
動容揚古路 不墮 然機
處處無 迹 聲色外威儀
諸方達道者 咸言上上機
스님께서 들으시고는 앙산스님에게 "향엄이 확철대오했구나" 하시자 앙산스님은 "이 게송은 알음알이로 따져서 쓴 것입니다. 제가 직접 확인해볼 터이니 기다리십시오" 하였다.
앙산스님이 그 후 향엄스님을 보고 말하였다.
"스님께서는 사제(師弟)가 깨달은 일을 칭찬하셨는데 그 일을 한번 말해보게."
향엄스님이 일전에 읊었던 게송을 다시 들먹이자 앙산스님은 말하였다.
"이는 지난번 일을 기억으로 말하는 것이네. 정말로 깨쳤다면 달리 설명해보게."
향엄스님이 또 게송을 지어 말하였다.
지난해 가난은 가난이 아니고
금년의 가난이 진짜 가난이네
작년의 가난은 바늘 꽂을 땅이라도 있더니
금년의 가난은 바늘마저 없구나
去年貧未是貧 今年貧始是貧
去年貧猶有¿錐之地 今年貧錐也無
앙산스님은 말하였다.
"여래선(如來禪)은 사제가 알았다고 인정하겠네만 조사선(祖師禪)은 꿈에서도 보지 못하고 있군."
향엄스님은 다시 게송을 지어 말하였다.
나에게 한 기틀 있어
눈 깜박하는 사이에 그것을 보네
이 이치를 깨치지 못하는 자에게
더이상 사미(沙邇)라 부르지 말지어다!
我有一機 瞬目視伊
若人不會 別喚沙邇
앙산스님은 이에 스님께 보고드리고 말하였다.
"반갑게도 지한(智閑)사제가 조사선을 알았습니다."
*현각(玄覺)스님은 말하였다.
"말해보라! 여래선과 조사선이 나뉠 수 있는지 없는지."
*장경 혜릉(長慶慧稜:854∼932)스님은 말하였다.
"한꺼번에 눌러버렸다."
*운거 청석(雲居淸錫)스님은 따져 물었다.
"대중 가운데서 여래선은 얕고 조사선은 깊다고들 생각하는데, 향엄의 경우 당시에 어째서 `무엇이 조사선입니까?'하고 묻질 않았을까? 이 한마디 질문을 하였더라면 어느 곳에 조사선이 있으랴?"
* 낭야 혜각(慧覺)스님은 말하였다.
"무제(武帝)는 신선이 되고자 했으나 신선이 되지 못하였고, 왕교(王橋)는 단정히 앉아서 하늘로 올랐다."
* 위산 철(山喆)스님은 말하였다.
"향엄스님은 위로는 한 조각의 기와도 없고, 아래로는 꽂을 바늘도 없이 적나라하여 손을 댈 곳이 없었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앙산스님이 아니었더라면 그를 놓칠 뻔했다. 어째서인가? 차디찬 눈과 서리가 없으면 송백(松栢)의 지조를 어찌 알겠는가!"
* 대혜 종고(大慧宗)스님은 말하였다.
"위산스님이 만년에 훌륭하였는데, 즉 한 장대의 육고기 꼭둑각시를 가르쳤던 것이다. 이것이 정말 훌륭한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정말 훌륭한 점일까? 얼굴마다 서로 보며 손발을 움직이나 말을 하는 것은 다른 사람임을 어찌 알랴!"
42.
스님께서 상당(上堂)하여 말씀하셨다.
"여러분은 대기(大機)를 얻었을 뿐 대용(大用)을 얻지는 못하였다."
이때에 구봉 도건(九峯道虔)스님이 대중 가운데서 쓱 빠져나갔다. 스님께서 그를 불렀으나 다시는 돌아보질 않았으므로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사람이 법기(法器)가 될만하군."
하루는 스님을 하직하며 구봉스님이 말하였다.
"저는 스님을 이별하고 떠나갑니다만 천리 밖에서도 좌우를 떠나지 않겠습니다."
스님께서는 안색이 변하며 말씀하셨다.
"잘 해보게."
43.
영운 지근(靈雲圍勤)스님이 처음 위산에 있으면서 복숭아꽃을 보고는 도를 깨닫고 게송을 읊었다.
검(劍)을 찾기 30년 세월
몇 번이나 낙엽지고 싹이 돋았나
복숭아꽃 한번 본 뒤로는
지금까지 다시는 의심치 않네.
三十年來尋劍客 幾回落葉又抽卿
自從一見桃華後 直至如今更不疑
스님은 이 게송을 보시고 그가 깨달은 것을 따져 물어 서로 부합하자 이렇게 말씀하셨다.
"인연 따라 깨달아 통달하였으니 영원히 물러나거나 잃지 말고 잘 간직하여라."
44.
상림(上林)스님이 와서 참례하자 스님은 말씀하셨다.
"그대는 어찌하여 왔는가?"
"갑옷과 투구를 완전히 갖추었습니다."
"모조리 풀어버리고 와야만 나를 만날 수 있네."
"풀어버렸습니다."
스님은 혀를 차시면서 말씀하셨다.
"쯧쯧, 도적도 아직 쫓지 않았는데 풀어버리고 어찌 하겠다는건가?"
상림스님이 대꾸가 없자 앙산스님이 대신 말하였다.
"스님께서는 좌우의 사람들을 물리쳐 주십시오."
스님께서 손으로 읍(揖)을 하시며 "네, 네" 하셨다.
상림스님은 그 뒤 영태(永泰)스님을 참례하고서야 그 뜻을 깨닫게 되었다.
45.
소산 광인(疏山翠人)스님이 참례하러 왔다가 스님께서 시중(示衆)하시는 것을 들었다.
"행각(行脚)하는 선객이라면 모름지기 소리나 물질〔聲色〕 안에서 잠을 자고, 소리나 물질 안에서 앉고 누워야만 하느니라."
그러자 소산스님이 질문하였다.
"어떤 것이 소리나 물질에 떨어지지 않는 소식입니까?"
스님께서 불자를 번쩍 세우자 소산스님은 말하였다.
"이는 소리나 물질에 떨어진 소식입니다."
스님께서 불자를 내려놓고는 방장실로 돌아가 버리셨다. 소산스님이 깨닫지 못하고 바로 향엄스님에게 하직인사를 하고 가려 하자 향엄스님이 물었다.
"왜 더 머물지 않는가?"
"저는 스님과 인연이 없는 것 같습니다."
"무슨 인연을 말하는지 어디 얘기나 좀 해보게."
소산스님이 이윽고 앞에 했던 대화를 전해주니 향엄스님은 말하였다.
"나에게 할 말이 있다."
"무슨 말씀입니까?"
"말이 나와도 소리가 아니고 물질〔色〕 이전이어서 물건도 아니다."
"본래 여기에 눈 밝은 사람이 있었군요."
이윽고 향엄스님에게 "앞으로는 스님께서 머무는 곳이면 제가 꼭 찾아 뵙겠습니다." 그리고는 떠나갔다.
스님께서 향엄스님에게 물으셨다.
"소리와 물질에 관하여 물었던 그 조무래기 중은 어디에 있느냐?"
"이미 떠났습니다."
"그에게 무슨 말을 했는지 말해보게."
향엄스님이 앞에 했던 대화를 말씀드리자 스님은 말씀하셨다.
"그가 뭐라 말하더냐?"
"저를 매우 칭찬하였습니다."
스님은 비웃으시며 말씀하셨다.
"나는 그 조무래기에게 봐줄만한 데가 있는가 했더니 원래 그랬었구나. 그 사람은 이후로 어디에 머물더라도 산이 가까이 있어도 땔감을 구할 수 없고, 물이 가까이 있어도 물을 마실 수 없으리라."
46.
자국 감담(資國惑潭)스님이 참례하자 스님께서 달을 가리켜 보여 주었는데 자국스님은 손을 세 번 내저었다.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대가 보지 못했다고 말하진 않겠네만 다만 대강 보았을 뿐이다."
47.
스님께서 법당에 앉아계신데 고두(庫頭)스님이 목어를 치자 화두(火頭)스님은 불덩이를 던지고 손뼉을 치며 크게 웃었다. 스님께서는 "대중 가운데 저런 사람이 있다니" 하시고, 이윽고 불러서 "왜 그랬느냐?" 하고 물으시니 화두스님은 말하였다.
"제가 죽을 먹지 않았더니 배가 고팠습니다. 그래서 목어소리를 듣고 기뻐하였습니다."
스님께서 고개를 끄덕이셨다.
뒷날 경청 도부(鏡淸道:864∼937)스님이 기뻐하며 말하였다.
"위산스님의 대중 가운데 사람이 없는 줄 알 뻔하였다."
와룡 구(臥龍球)스님이 말하였다.
"하마트면 위산스님의 대중 가운데 사람이 있는 줄 알 뻔하였다."
48.
스님께서 진흙으로 벽을 바르시는데 상공 이군용(李軍容)거사가 찾아와 관복을 입은 채로 스님 뒤에 와서 홀(笏)을 단정히 들고 서 있었다. 스님께서 돌아보시고는 다시 곁의 진흙 소반에서 진흙을 집으려는 시늉을 하자 이군용거사는 홀을 움직여 진흙을 받아내는 시늉을 하였다. 스님께서는 진흙 소반을 던져버리고 함께 방장실로 돌아갔다.
암두 전할(巖頭全豁:828∼887)스님은 이 말을 듣더니 말하였다.
"아아! 약해져가는 불법이여. 가엾은 위산스님이 벽 바르는 것도 마치질 못하다니."
명초 덕겸(明招德謙)스님은 말하였다.
"당시에 어떻게 했어야 암두스님에게 간파당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하더니, "진흙 소반을 돌려 벽을 바르는 시늉을 하다가 버리고 돌아갔어야지"라고 대신하였다.
황룡 오신(黃龍悟新)스님은 말하였다.
"암두스님이 평을 잘못했으니, 위산스님과 이군용거사의 기막힌 솜씨가 졸작이 되는 줄을 전혀 몰랐다 하리라."
49.
시어사(侍榮史) 육(陸)거사가 큰방으로 들어가면서 물었다.
"스승 노릇하는 많은 스님네들이 밥이나 축내는 스님들입니까? 아니면 참선하는 스님들입니까?"
스님께서 이 소리를 듣고 말씀하셨다.
"밥이나 축내는 스님도 아니고, 참선하는 스님도 아니라네."
"그러면 여기서 무얼 합니까?"
"시어사께서 그들에게 직접 물어보시게나."
50.
스님께서 하루는 유철마(劉鐵磨)스님이 오는 것을 보고 말씀하셨다.
"어서 오시오. 노자우(老牛:`이 늙은 암소야'의 뜻)!"
철마스님이 말했다.
"내일 오대산(五台山)에 큰 재회(齋會)가 있는데 스님께서도 가시겠습니까?"
스님께서 벌렁 눕는 시늉을 하시자 유철마스님은 나가버렸다.
정자 사일(淨慈師一:1177∼1176)스님은 말하였다.
"대중들은 말하기를 `누워버린 것은 가지 않는다는 뜻이므로 유철마는 분하고 수치스러워 가버렸다'라고 하나, 그렇지 않다. 평소에 위산 늙은이의 허리를 꺾을래야 꺾을 수 없더니 철마스님에게 한번 밀려 자빠지고는 지금까지 일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전혀 몰랐다 하리라. 위산스님을 부추켜 일으키려 하느냐. 대중은 한마디 던져 보아라."
대꾸가 없자 스님은 주장자로 대중들을 몽땅 쫓아버렸다.
51.
스님께서 하루는 원주스님을 불러서 그가 곧 오자 말씀하셨다.
"내가 원주를 불렀는데 네가 왜 왔느냐?"
원주스님은 대답하지 못했다.
조산 본적(曹山本寂:840∼901)스님은 대신 말하였다.
"스님께서 저를 부르지 않았다는 것을 알겠습니다."
또 시자를 시켜 수좌를 불러오라 하시고서는 수좌가 오자 말씀하셨다.
"나는 수좌를 불렀는데 네가 왜 왔느냐?"
수좌 역시 대답을 못했다.
조산스님은 대신 말하였다.
"시자를 시켜서 부르셨다면 오지 않았을 것입니다."
법안 문익(法眼文益:885∼958)스님은 대신 말하였다.
"조금 전에 시자가 불렀습니다."
52.
스님께서 상당(上堂)하시자 한 스님이 앞으로 나와 말하였다.
"스님께서는 대중을 위해 설법해 주십시오."
"나는 너 때문에 너무나도 피곤하다."
그 스님은 스님께 절을 올렸다.
뒷날 어떤 사람이 설봉 의존(雪峯義存:822∼908)스님에게 말씀드렸더니, 스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옛사람은 이처럼 노파심이 간절하였다."
현사 사비(玄沙師備:835∼908)스님은 말하였다.
"산두스님(山頭和尙:설봉)이 옛사람의 일을 그르쳤습니다."
설봉스님이 이 말을 듣고는 바로 현사스님에게 물었다.
"어느 곳이 노승이 옛사람의 일에서 빗나간 곳인가?"
현사스님은 말하였다.
"가엾은 위산스님이 그 스님의 질문을 받고 산산이 부서져 버렸습니다."
설봉스님은 이에 깜짝 놀랐다.
53.
한 스님이 찾아와 절을 올리자 스님이 일어나는 시늉을 하시니 그 스님이 말하였다.
"스님께서는 일어나실 필요없습니다."
"나는 앉은 적 없네."
"저도 절한 적 없습니다."
"어찌해서 절하지 않았느냐?"
그 스님은 대답이 없었다.
동안(同安)스님이 대신 말하였다.
"스님(위산)의 행동은 괴이할 것이 없다."
54.
한 스님이 물었다.
"위산의 삿갓 하나〔一頂笠〕를 만들지 않고는 막요촌(莫村:중국 서남쪽에 있는 소수민족이 사는 지역으로 수·당대 초기에 공을 세워 그 자손들은 대대로 役을 면제받았다)에 이르지 못한다 하니, 무엇이 위산의 삿갓입니까?"
스님께서 "이리 오너라" 하여 그 스님이 앞으로 가까이 가자, 스님께서는 그대로 걷어찼다.
55.
스님께서 한 스님에게 물으셨다.
"어디서 오느냐?"
"서경(西京)에서 옵니다."
"서경 주인공의 편지를 가지고 왔느냐?"
"감히 함부로 소식을 통하지 못하였습니다."
"천연 그대로 작가사승(作家師僧)이구먼."
"남은 국물, 쉰 밥은 누가 먹는지요?"
"그대만은 그것을 먹지 않으리라."
그 스님이 구역질하는 시늉을 하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병든 중을 부축하고 나가거라."
그러자 그 스님은 나가버렸다.
56.
한 스님이 물었다.
"무엇이 도입니까?"
"무심(無心)이 도이다."
"저는 모르겠습니다."
"모르는 그 주인공을 알아야 하리라."
"무엇이 그 모르는 주인공입니까?"
"그저 그대일 뿐, 다른 사람이 아니다."
다시 말씀하셨다.
"이제 모르는 그것이 바로 그대의 마음이며 그대의 부처임을 그대로 체득하기만 하면 된다. 만약 밖으로 향하여 하나하나 알음알이를 쌓아서 그것을 선도(禪道)라고 한다면 전혀 틀린다. 그것은 똥을 퍼다 붓는 것이지 결코 똥을 퍼내는 것이 아니어서 그대의 마음밭을 오염시킬 뿐이다. 그러므로 도가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
57.
한 스님이 위국(衛國)스님에게 참례하자 위국스님이 물었다.
"어디서 오시오?"
그 스님은 말하였다.
"하남(河南) 땅에서 옵니다."
"황하(黃河:황하는 河北에 있다)는 맑던가요?"
그 스님은 대답이 없었다. 그러자 스님(위산)께서 대신 말씀하셨다.
"좀스러운 여우야! 가고 싶으면 가면 되지 망설여 무엇 하려느냐!"
58.
스님께서 시중(示衆)하셨다.
"그대들은 각자 깨달은 것을 나에게 내놔보아라."
이때 지화(圍和)상좌가 앞으로 나와 절을 올리니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착함도 생각하지 말고 악함도 생각하지 말아라. 바로 이런 상태에서 지화상좌의 본래면목을 나에게 가져와 보아라."
"바로 그런 상태는 제가 신명(身命)을 놓아 버릴 곳입니다."
"그대는 공(空)에 떨어지지 않았을까?"
"제가 공에 떨어질 만한 공이 있다고 보았다면, 무엇 때문에 그곳에다 신명을 놓겠습니까?"
"이 자리에서 묻지 그러느냐?"
"이 자리에서 스님께 물을 것이 있다고 보지를 않습니다."
"그대는 박복해서 우리 불법을 잡아 일으키지 못하겠구나."
59.
앙산스님과 북암주(北主)가 올라와 문안을 드렸는데 이때 한 관리가 차를 마시고 있었다. 스님께서 보시고는 그 관리를 가리키며 말씀하셨다.
"옛 부처와 동참하고 왔구나."
암주가 말하였다.
"돌아가신 뒤에 이 말씀을 거론하는 이를 찾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바로 지금은 어떠한가?"
"혀를 물고 있을 수는 있어도 대답하라면 못하겠습니다."
"관리가 보고 있는데 자기 말도 못하는군."
"앙산스님이 이 대답을 탐탁하게 여기질 않습니다."
"암주 노릇도 어렵겠군."
60.
스님께서 하루는 여의주(如意珠)를 꺼내 보여주시고 다시 이런(○◎)모습을 그리시더니 말씀하셨다.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바로 이 여의주를 얻으리라. 말해라, 말해!"
이때 어떤 스님이 말하였다.
"이 여의주는 본래 스님 것이 아닙니다."
스님이 말씀하셨다.
"얻어도 쓸모가 없겠다."
또 어떤 스님이 말하였다.
"설사 저에게 준다 해도 둘 곳이 없습니다."
61.
한 스님이 물었다.
"위로 모든 성인들로부터 지금까지에 대해 스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눈앞에 있는 것이 무엇이냐?"
"이것이 바로 그것이 아닐는지요."
"그게 무엇인데?"
"조금 전에 대답한 것일 뿐입니다."
"그대가 그것을 버렸으니 이젠 일삼지 말아라."
장산 근(蔣山懃)스님은 말하였다.
"질문도 너무 준험하고 대답도 지나치게 호사스러워 둘다 완전하지 못하였다."
62.
한 스님이 물었다.
"무엇이 백장스님의 진면목입니까?"
스님께서는 선상(禪滅)에서 내려와 차수(叉手)하고 섰다. 그러자 그 스님이 또 물었다.
"무엇이 스님의 진면목입니까?"
스님께서는 다시 앉으셨다.
63.
스님께서 상당하여 말씀하셨다.
"노승이 죽은 뒤에 산 밑에 가서 한 마리 물빛소〔水牛〕로 태어나 왼쪽 겨드랑에 `위산의 중 아무개'라고 쓸 터인데, 이때 위산의 중이 물빛소가 되었다고 해야겠느냐, 아니면 물빛소가 위산의 중이 되었다고 해야겠느냐? 결국 무어라고 불러야 하겠느냐?"
앙산스님이 앞으로 나가서 절을 올리고 물러났다.
운거 도응(雲居道膺:?∼902)스님이 말하였다.
"스님에겐 다른 이름이 없다."
자복 여보(資福如¿)스님은 대신 일원상(一圓相)을 만들어 일으켜 세웠고, 파초 청(芭蕉淸)스님은 대신 이 ○牛의 모양을 만들어 보여주면서 이르기를 "같은 길을 가는 사람만이 알리라"하였다.
남탑 광용(南塔光涌)스님이 말하였다.
"1천 5백의 선지식들이 겨우 반씩만 얻었을 뿐이다."
파초 철(芭蕉徹)스님이 대신하되 "그때 이런 모양(○物○禮)을 지어보였어야 하리라" 하고는 또 말하였다.
"할 말 다했고 주도 달아주었으니 깨닫는 것이 좋겠다."
보령 용(保寧勇)스님이 말하였다.
"스님같은 분은 진탕에도 들어가고 물에도 들어간다."
천 화
스님께서 종문의 가르침을 펴고 선양하기 40여 년에 통달한 사람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대중(大中) 7년(853) 정월 9일에 세수하고 편안히 앉은 채로 태연히 입적하시니 세수(世困)는 83세, 법랍은 64세였다. 위산(山)에 탑을 세우고 시호는 대원선사(大圓禪師)라 하였으며, 탑호는 청정(淸淨)이라 하였다.
* 전좌(冶座):선방에서 대중들의 상좌(滅座)·와구(臥具)·음식(飮食) 등의 사무를 맡은 소임을 말한다.
* 등롱(燈籠):절마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엄구로, 별의미 없이 사용하는 말. 노주(露柱)에 짝이 되어 쓰인다.
* 줄탁(啄):제자의 노력과 스승의 지도가 딱 들어맞는 것을 병아리가 부화되는 것에 비유한 것.
* 정성성문(定性聲聞):고정적인 성문승.
* 일시적인 사건:무종의 법난 때 강제로 환속되었던 일을 말함.
* 작가(作家):탁월한 역량과 안목을 갖춘 선승.
* 조도(鳥道)와 현로(玄路):새나 겨우 지나갈 수 있는 좁은 길과 아주 그윽한 거리를 말함. 여기서는 깨달은 이치를 여기에 비유했다.
* 신위(信位):신앙의 단계.
* 인위(人位):믿음의 자취마저도 사라지고 본래면목이 그대로 드러난 개성의 단계.
* 정어(呈語):말을 바친다는 뜻으로 선사들이 자신이 수행하는 상태를 스승께 언어로써 말씀드려 감정을 받는 것.
* 시어사(侍榮史):비법(非法)을 검찰하는 벼슬아치의 관명.
* 노자우(老特牛):늙은 암소라는 뜻이 바뀌어 수행이 완성된 사람에게 붙여주는 경칭.
* 전어(轉語):본래의 말에서 변하여 나온 말. 격외(格外)의 이야기.
* 산두스님(山頭和尙):산두(山頭)는 장례식장의 뜻으로써 여기서는 설봉스님을 산송장에 빗대어 한 말이다.
* 일정립(一頂笠):삿갓의 한 종류인데, 여기서는 위산(僞山)의 종지를 뜻.
* 막요촌(莫役村):`부역이 없는 마을'이란 뜻으로 위산 밑에 있는 마을 이름.
* 작가사승(作家師僧):본색종장(本色宗翌) 또는 출격종장(出格宗翌)의 뜻.
* 4대(四大):육신을 이루고 있는 세 가지 요소로, 지(地)·수(水)·화(火)·풍(風)을 말한다.
* 계품(戒品):5계, 10계, 250계 등 계의 품류와 종류.
* 3상(三常):의복·음식·수면을 말함.
* 도철():욕심이 많아서 자신을 망치는 짐승의 일종.
* 4은(四恩):부모·스승·국가·시주의 은혜.
* 물색(物色):허공꽃.
* 대원(大圓):위산스님의 시호.
'<♣ 학술자료 ♣> > 경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글대장경 목록 목차 ★★★ (0) | 2009.04.08 |
---|---|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CBETA 電子版 (pdf.) (0) | 2009.04.08 |
★ 신찬속장경목록.hwp / 목록불장 hwp/ 중한대조 hwp ★ (0) | 2009.04.08 |
【僞山錄】- 위산경책 (0) | 2009.04.08 |
僞山錄】- 행록 (0) | 2009.04.08 |
☆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 (1) ~ (33) (0) | 2009.04.08 |
☆ 敦煌本 六祖壇經 ☆ (0) | 2009.04.08 |
組師語錄의 종류 (0) | 200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