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자료 ♣>/경전자료

팔만대장경

화엄행 2009. 4. 8. 00:01

 

해인사 팔만대장경판(일명 고려대장경판)은 지금부터 750여년전인 고려 고종 23년인 1236년부터 38년인 1251년까지 16년간에 걸쳐 제작된 8만 여장의 목판이다. 몽골의 병란을 맞아 국가가 위기에 처하였을 때 전국민이 일치단결 하여 부처님의 힘을 빌어 외적을 물리치겠다는 일념으로 장장 16년의 대장정을 거쳐 이루어진 우리 민족의 위대한 유산이다. 
경판의 재질은 지금까지 모두 자작나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산벚나무돌배나무가 대부분이었다. 경판은 위의 사진과 같이 앞뒤로 글자가 새겨진 부분과 마구리로 구성되고 총 길이는 68 혹은 78㎝이며 폭은 약 24㎝, 두께는 2.7-3.3㎝의 범위이다. 무게는 경판의 재질에 따라 4.4kg까지 나가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3∼3.5㎏정도이다. 경판은 한 면에 23행, 한 행에 14자, 전후 양면에 644자를 새겼다. 판의 후면 끝에는 경의 이름과 장 수, 천자문 차례의 함호를 새기고 좌우끝의 각목에도 동일한 표시를 남겼다. 이렇게 만들어진 경판은 81,258판 1511부 6802권으로 현재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보전에서 숨쉬고 있다. 
필자의 몇 년에 걸친 대장경판 재질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대장경판이 강화도 선원사에서 해인사로 옮겨왔다는 설의 의문점등 대장경의 현안문제를 조선왕조 실록의 자료와 함께 소개 한다. 

 
팔만대장경 경판 - 그 실체를 알아본다

대장경이란 무엇인가?. 왜 대장경판을 제작하게 되었는가?. 대장경판에는 무슨 나무를 사용하였는가?. 과연 강화도에서 해인사로 옮겨왔는가?. 옮겨왔다면 그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대장경은 어떻게 인쇄하였는가? 등 대장경 전반에 관한 내용을 알아본다.

 

팔만대장경 경판- 그 새기는 과정을 추정해본다

그 엄청난 대장경판을 어떻게 새겼는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는 대단히 궁금해 하지만 기록에는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다. 나무 재질을 전공한 필자의 관점에서 새긴 과정을 짐작해 본다.

 

팔만대장경 경판의 수종분석

경판의 수종조사 결과와 현재의 보존현황등을 종합적으로 기술한 내용 - 자작나무로 알려진 바와는 달리 경판을 만든 나무는 대부분 산벚나무와 돌배나무이다.

 

팔만대장경 경판의 보존현황 조사자료

 750년이 지난 오늘까지 대장경판은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그 실제 보존 현황을 알아본다.

 

팔만대장경 경판 제작에 사용한 나무의 수량과 비중

 대장경판을 만드는데 얼마나 많은 나무를 사용하였고 동원된 인원은 어느 정도인지를 추정해 본다.

 

CHANGES IN CELL STRUCTURE OF DRY ARCHAEOLOGICAL WOODEN PLATES, TRIPITAKA KOREANA

뉴질렌드 Rotorua에서  열린 제4차 목재조직학자 대회에서 발표한 내용- 대장경판 목재를 전자현미경으로 본 구조를 기술하고 있다.

 

팔만대장경 경판의 세포벽 열화

대장경판의 목재를 이루는 세포의 벽구조가 750여년을 지나는 동안 얼마 만큼 열화(劣化)되었는 지를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팔만대장경 경판 보관 경판전 기둥의 수종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인 수다라장과 법보전 기둥의 수종을 조사한 내용-수다라장은 잣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상수리나무등이며 법보전은 모두 느티나무이다.

 

사간경판 흰곰팡이 방제시험

 서사간장에 보관하고 있는 사간경판의 흰곰팡이 방제를 목적으로 경판에 해가 없는 조목초액을 사용하여 흰곰팡이의 발생억제 효과를 실험한 논문이다.

 


 

고려사 CD로 본 팔만대장경

<북한 사회과학원 민족고전연구소>에서 번역하고 <열린데이타베이스연구원>에서 개발 하였으며 <(주)누리미디어(전화 02-761-1661)>에서 제작한 고려사 CD에서 대장경 관련 부분을 검색한 내용이다.

 

조선왕조실록 CD로 본 팔만대장경

<대장경> 혹은 <대장경판>의 검색어로 찾은 대장경관련 조선왕조실록 내용을 발췌한 자료이다. 태조에서 효종에 이르는 250여년간에 걸쳐 일본은 대장경판의 하사를 끊임없이 요구하였고 심지어 사신이 단식투쟁까지 한 기록이 있다. 태조, 정조, 태종, 세종, 문.단종, 세조, 성종, 연산.중종, 명종.효종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팔만대장경 관련문헌 제목 모음

해인사에서 발간한 {고려대장경 연구자료집Ⅰ 및 Ⅱ}  2책의 문헌 목록과 최근의 관련 논문제목, <일연선사로 팔만대장경을 본다, 김정학저, 1998> 에서 발췌한 논문목록

 

팔만대장경판 관련 논문 모음

다른 분이 쓴 팔만대장경에 관한 주요 논문을 모아서 싣고 있습니다.

 

팔만대장경판의 보존을 위한 제언

대장경판의 보존은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가? 무엇보다 시급한 방화설비등 필자가 생각한 보존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골프장과 팔만대장경판

가야산의 골프장 건설이 대장경판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조감해 본다.

 

장경각 불사에 즈음하여

98년 2월 부터 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수다라장의 개축공사가 시행된다. 그러나 충분한 사전준비가 되지 않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내용을 알아본다.

 

팔만대장경판 보존의 비사(秘史)

팔만대장경판은 750여년 동안 수 많은 민족의 수난을 겪어면서도 고스란이 보존되었다. 그동안의 위기의 순간을 조선왕조 실록 등에서 알아본다.

 

해인사 순례기<만해 한용운>

만해가 동래온천을 거쳐 해인사를 처음 방문한 느낌을  수필형식으로 쓴 글이며 당시의 교통편, 동래온천 풍경묘사 등이 흥미롭다.

 

대장경관련 신문기사 모음

팔만 대장경관련 주요 중앙 일간지의 기사, 논평, 투고문등

 

고려대장경판과 사람들8         작가 이윤수씨가 '海印'지 98년 8월호에 기고한 인터뷰기사

 

고려대장경판의 재질로 본 판각지에 대한 고찰<인문과학 12집, 경북대>

     <한국중세의 역사와 문화>라는 주제로 98.11.30 경북대에서 개최된 학술회의에 발표한 원고-자연과학자가 본 경판의 판각지에 대한 견해로서 경판을 새긴장소가 강화도가 아니라 해인사 주변이라는 주장이다.

5천2백만자의 하이텍크, 팔만대장경<과학재단 웹진 2003년 11,12월호>

Tripitaka Koreana, A High-Tech Annal of 52Million Words<과학재단 웹진 2003년 11,12월호>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