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 * 독경 ♣>/성지 * 여행

瑞山 島飛山 浮石寺. 190528

화엄행 2019. 6. 21. 12:52

瑞山 島飛山 浮石寺. 190528 (음 4월 24일)


http://www.dapsa.kr/blog/?p=25504



서산 도비산 부석사, 서해바다 경치가 아름다운 사찰  

       


충남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 도비산(島飛山) 중턱에 위치한 전통사찰인 부석사(浮石寺)이다. 화엄십찰 중 하나인 영주 부석사와 마찬가지로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며 사찰의 이름도 같다. 의상대사와 부석바위에 얽힌 전설 또한 서로 비슷하다. 이는 부석사가 있는 서산 천수만과 태안반도 일대가 중국과의 해상교류 창구였기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조선초 무학대사가 크게 중건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고려때 이곳에 조성된 금동관음보살상이 일본 대마도 관음사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볼 때 그 이전에도 비교적 큰 규모의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석사는 도비산(해발 352m) 중턱에 호수로 바뀐 천수만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자리잡고 있다. 사찰 뒷편 언덕에 부석바위와 비슷하게 생긴 바위들이 많고 도비산 또한 산이 바다에 떠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의상대사가 창건한 영주 부석사와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을 중심으로 산신각, 심검당, 요사채 등의 건물과 강당 건물인 안양루 등이 있다. 극락전에 모셔졌던 아미타불은 1980년 도난 당했으며, 대마도에 있던 불상 또한 고려말 왜구가 약탈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천수만이 내려다 보이는 도비산 중턱에 자리잡은 서산 부석사. 영주 부석사처럼 사찰 건물들이 체계적으로 배치되어 있지는 않지만 비슷한 느낌을 준다.

천년고찰 기도영험도량 부석사,  충남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
부석사는 신라의 대표적 고승 의상대사(625~702년)가 서기 677년 창건한 절로 알려져 있다. 2005년 심검당 보수과정에서 나온 상량기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중국에 갔다 온 인연으로 부석사를 창건한 이래로’라는 내용으로 보아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설화는 오랫동안 전해져 온 사실을 알 수 있다. 의상대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와 쌍벽을 이루던 고승으로 알려져 있다. 의상대사는 왕족출신으로 경주 황복사에서 20세에 스님이 되었다. 당시는 불교가 전래된 지얼마되지 않아 불교의 교학이 미천하여 불교학의 선진국인 당나라에 구법유학을 가서 공부를 하고 오는 것이 유행하던 시절이었다. 이에 의상과 원효가 함께 유학길에 올랐다. (진덕여왕 4년, 605) 처음에 시도한 여정은 고구려를 통해 요동반도로 들어가는 길이었으나 고구려 병사에게 잡혀 첩자로 오인을 받아 고초를 겪은 이후 경주로 다시 남하하게 된다. 이후 재차 당나라 구법유학의 길을 나서는데 이번에 선택한 길은 바닷길이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당항성(경기도 화성)을 통해서 당나라에 가기 위해 배를 기다렸다고 한다. 원효는 해골물을 마시게 되는 인연으로 깨친 바 있어 되돌아오고 의상은 배를 타고 중국에 도착했다. 이 떄는 의상의 나이 36세 되던 해(660년)의 일이었다. 도착한 곳은 당나라 등주(登州)였는데 한 신도의 집에 잠시 머물렀다. 그 때 그 집의 선묘라는 딸이 의상에게 반하여 사모의 정을 품었으나 끝내 대사의 마음을 움직일 수는 없었다. 이에 선묘는 “세세생생 스님께 귀명하여 스님께 필요한 모든 것을 바치겠습니다.”라며 소원을 말하고 마음을 미루어 두었다. 세월이 흘러 의상이 종남산의 지장사에서 지엄게게 화엄학을 배우고 돌아오는 길에 그 신도의 집에 들러 지난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때 선묘는 의상에게 청혼을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의상의 배는 이미 떠난 후 선묘는 바다에 몸을 던지며 이 내 몸이 용이 되어 저배를 무사히 귀국하게 할 것이라는 발원을 하였다. 귀국 후 의상은 선묘의 넋을 천도하기 위한 절을 지을 명당 자리를 찾아 나서는데 대사의 발길이 멈춘 곳은 당나라를 마주하고 있는 서해 바닷가 천하의 3대 명당자리 도비산이었다. 도비산이란 이름은 마치 섬이 날아가는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불리는 이름으로 우리나라 3대 명당자리에 속하는 곳이다. 의상대사는 이곳이야말로 법륜을 새길만한 곳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이곳은 백제의 멸망후 아직 백제의 유민들의 민심이 흉흉하던 지역이라 사람들의 반대가 많았다. 항상 의상을 따라 다니던 선묘는 곧 의상의 뜻을 알아채고는 허공중에 커다란 바위들을 띄워 사람들을 물리친뒤 바다에 그 돌을 띄워 놓으니 감히 사람들이 범접하지 못하였다. 이래서 지역주민들은 바다에 떠 있던 돌을 부석 혹은 검은여라고 부르고 이곳에서 일년에 한 번 재를 지내게 된다. 이후 부석사는 무학대사가 중창하고 근세에는 참선의 중흥조로 불리는 경허선사가 제자인 만공선사와 머물렀던 절로 호서지방의 명찰이라 할 수 있다. (안내문, 서산 부석사, 2015년)

OLYMPUS DIGITAL CAMERA사찰 아래에 서해안 경치를 감상할 수 있도록 높은 누각을 세워 놓고 있다.











심검당에 걸린 <부석사> 편액에는 ‘칠십옹(七十翁)이라는 관지와 두인을 비롯한 ‘송월면, 만공(宋月面, 滿空)’이라는 도서가 있다. 나무결이 드러난 느티나무 액판의 가장자리를 파서 변죽을 대신 한 이 편액은 만공이 덕숭산 산정에 전월사(轉月舍)라는 띠집을 짓고 지내던 1940년에 쓴 것으로, 아마도 그 무렵에 절을 중창했던 것으로 보인다. 편액의 글씨는 강직(剛直)한 성정과 담대(膽大)한 기상이 잘 드러난 심후(深厚)한 필선의 행서이다.

출처 : 현대불교신문(http://www.hyunbulnews.com)


한편 <심검당 尋劍堂> 편액은 경허선사의 글씨라 한다.

















































三日修心道場 (삼일수심도량)